목차
1. 서론
2. 본론
1) 스테린정
2) 아나모틴정
3) 대원디아제팜정2mg
4) 타이론정
5) 타이레놀8시간이알서방정
6) 각 약물의 부작용 및 간호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스테린정
2) 아나모틴정
3) 대원디아제팜정2mg
4) 타이론정
5) 타이레놀8시간이알서방정
6) 각 약물의 부작용 및 간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중하게 투여를 해야 한다.
2). 아나모틴정
아나모틴정의 경우 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이수화물이다. 흰색 고체의 장방형의 모양이고 필름 코팅정제가 되어있다. 첨가 물질에는 히프로멜로오스2910,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유당수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산화티탄,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나우바납,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이 있다.
아나모틴정의 효능은 속쓰림, 구역, 구토 등의 기능성호과불량으로 인한 소화기증상을 완화시켜준다. 복용 용량은 성인 기준 1일 15mg을 3회로 나누어서 식전이나 식후에 경구 투입한다.
아나모틴정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2주 정도 투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소화기 증상에 개선이 보이지 않는 경우 장기간의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또한 해당 약물의 소화관운동촉진작용은 콜린작동선 신경의 관련성으로 인해서 항 콜린제와 병용해서 투여하면 약의 작용이 감소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복용하는 시간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임신중의 여성일 경우 해당 약물이 임신 중에 투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안정성의 확보가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임부나 임신의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경우 피해야 한고,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3). 대원디아제팜정2mg
대원디아제팜정2mg은 백색의 원형 정제제품이며, 신경증으로 인항 불안과 긴장을 풀어부고 정신신체장애인 소화기 질환, 순환기 질환, 갱년기장애, 자율신경실조증으로 오는 불안감, 긴장감, 우울감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해당 약물의 경우 마취 전에 투약하여 릴렉스하는 효능을 가지기도 하며, 알코올 금단증상에도 사용이 되어, 담배의 유혹을 참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골격근경련이나 결신발작 간질의 치료 보조제의 효능도 있다.
성인의 경우 디아제팜으로서 1회에 2-10mg을 1일 2~4회로 경구 투여 한다 그리고 골격근경련일 경우 1일에 3~4회로 투여한다. 앞에서 소개했듯이 해당 약물이 마취 전에 투약하는 약으로 사용이 되기 때문에 사용할 당시에는 1일 5~10mg을 마취전이나 수술하기 전에 미리 경우투여를 해준다. 소아에게도 투여가 가능하지만 최저유효량의 치료로 시작을 하여 필요에 따라서 양을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투여기간은 최소화해야 한다. 그리고 6개월 이하의 영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4). 타이론정
타이론정의 경우 티로프라미드염산염이며 흰색의 원형으로 필름코팅된 약물이다. 식약처에서는 진경제로 분류하고 있으며, 간담도산통, 다양한 원인에 의한 복부산통, 신장과 요관의 산통등 급성 경령성 동통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위장관 이상움동증, 담석증, 담낭염, 수술 후의 유착에 대한 증상을 완화해주는 효능이 있다. 해당 약물의 경우 성인기준으로 티로프라미드염산염으로 1회에 100mg 정도이기 때문에 1일 2~3회로 경구 투여를 하며, 연령과 증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증감을 해야 한다.
5). 타이레놀8시간이알서방정
해당 약물의 경우 백색의 장방형 필름코팅제 약물이며, 주 성분이 아세트 아미노펜이며, 미결정셀룰로오스, 분말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은 첨가제로 들어갔다. 식약처 분류코드에는 해열, 진통, 소염제로 되어있다. 효능으로는 해열과 감기에서 오는 동통(=통증), 치통, 근육통을 완화시켜준다. 투여할 때에는 12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은 1일 8시간 마다 2정씩 복용해야 하고 24시간 내에 투여한 개수가 6정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6) 각 약물의 부작용 및 간호
- 스테린정은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을 가지고 있는 환자, 비스테로이드 소염 진통제의 투여로 인한 위염, 위궤양 환자, 위절제술을 받은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환자, 십이지장궤양을 합병한 환자에 대해서는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한다. 해당 약물은 임상시험 당시 급 만선 위염에 대해서 최대 2주까지만 투여를 진행한 전적이 있으며, 2주간 투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에 대한 개선이 보이지 않을 경우 약사 또는 의사와의 상의가 필요하다. 스테린정의 투여로 인해서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
국내에서 급 또는 만성 위염에 대한 제 3상의 임상시험에 참여한 386명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반응
분류
중상
소화기계
때때로구역(0.78%), 식욕부진(0.52%), 설사(0.52%), 구토(0.26%), 속쓰림(0.26%), 상복부통(0.26%)
정신신경계
때때로 어지러움(0.26%), 두통(0.26%)
피부
때
2). 아나모틴정
아나모틴정의 경우 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이수화물이다. 흰색 고체의 장방형의 모양이고 필름 코팅정제가 되어있다. 첨가 물질에는 히프로멜로오스2910,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유당수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산화티탄,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나우바납,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이 있다.
아나모틴정의 효능은 속쓰림, 구역, 구토 등의 기능성호과불량으로 인한 소화기증상을 완화시켜준다. 복용 용량은 성인 기준 1일 15mg을 3회로 나누어서 식전이나 식후에 경구 투입한다.
아나모틴정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2주 정도 투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소화기 증상에 개선이 보이지 않는 경우 장기간의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또한 해당 약물의 소화관운동촉진작용은 콜린작동선 신경의 관련성으로 인해서 항 콜린제와 병용해서 투여하면 약의 작용이 감소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복용하는 시간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임신중의 여성일 경우 해당 약물이 임신 중에 투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안정성의 확보가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임부나 임신의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경우 피해야 한고,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3). 대원디아제팜정2mg
대원디아제팜정2mg은 백색의 원형 정제제품이며, 신경증으로 인항 불안과 긴장을 풀어부고 정신신체장애인 소화기 질환, 순환기 질환, 갱년기장애, 자율신경실조증으로 오는 불안감, 긴장감, 우울감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해당 약물의 경우 마취 전에 투약하여 릴렉스하는 효능을 가지기도 하며, 알코올 금단증상에도 사용이 되어, 담배의 유혹을 참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골격근경련이나 결신발작 간질의 치료 보조제의 효능도 있다.
성인의 경우 디아제팜으로서 1회에 2-10mg을 1일 2~4회로 경구 투여 한다 그리고 골격근경련일 경우 1일에 3~4회로 투여한다. 앞에서 소개했듯이 해당 약물이 마취 전에 투약하는 약으로 사용이 되기 때문에 사용할 당시에는 1일 5~10mg을 마취전이나 수술하기 전에 미리 경우투여를 해준다. 소아에게도 투여가 가능하지만 최저유효량의 치료로 시작을 하여 필요에 따라서 양을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투여기간은 최소화해야 한다. 그리고 6개월 이하의 영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4). 타이론정
타이론정의 경우 티로프라미드염산염이며 흰색의 원형으로 필름코팅된 약물이다. 식약처에서는 진경제로 분류하고 있으며, 간담도산통, 다양한 원인에 의한 복부산통, 신장과 요관의 산통등 급성 경령성 동통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위장관 이상움동증, 담석증, 담낭염, 수술 후의 유착에 대한 증상을 완화해주는 효능이 있다. 해당 약물의 경우 성인기준으로 티로프라미드염산염으로 1회에 100mg 정도이기 때문에 1일 2~3회로 경구 투여를 하며, 연령과 증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증감을 해야 한다.
5). 타이레놀8시간이알서방정
해당 약물의 경우 백색의 장방형 필름코팅제 약물이며, 주 성분이 아세트 아미노펜이며, 미결정셀룰로오스, 분말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은 첨가제로 들어갔다. 식약처 분류코드에는 해열, 진통, 소염제로 되어있다. 효능으로는 해열과 감기에서 오는 동통(=통증), 치통, 근육통을 완화시켜준다. 투여할 때에는 12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은 1일 8시간 마다 2정씩 복용해야 하고 24시간 내에 투여한 개수가 6정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6) 각 약물의 부작용 및 간호
- 스테린정은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을 가지고 있는 환자, 비스테로이드 소염 진통제의 투여로 인한 위염, 위궤양 환자, 위절제술을 받은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환자, 십이지장궤양을 합병한 환자에 대해서는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한다. 해당 약물은 임상시험 당시 급 만선 위염에 대해서 최대 2주까지만 투여를 진행한 전적이 있으며, 2주간 투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에 대한 개선이 보이지 않을 경우 약사 또는 의사와의 상의가 필요하다. 스테린정의 투여로 인해서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
국내에서 급 또는 만성 위염에 대한 제 3상의 임상시험에 참여한 386명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반응
분류
중상
소화기계
때때로구역(0.78%), 식욕부진(0.52%), 설사(0.52%), 구토(0.26%), 속쓰림(0.26%), 상복부통(0.26%)
정신신경계
때때로 어지러움(0.26%), 두통(0.26%)
피부
때
추천자료
신생아(소아 당뇨, 부당경량아) CASE STUDY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Mental Retardation Case study
Decortication (흉막박피술)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케이스
소아당뇨 IDDM type 1 diabetes mellitus case study
간경화 케이스 icu 및 병동 실습 간호과
울혈성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Parkinsons disease CASE STUDY (파킨슨,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성인간호학실습 급성위염,급성간염 case (A+ 보장 간호진단 4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