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분하지 못한다는 것이 남성도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에 따라 여성으로 변화한다는 것이 합당하지 않고, ‘생물학적 여성’이 여성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3. 결론
향연을 통해 우리는 인간이 어떤 사랑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속에서 성에 대한 사실도 새롭게 알 수 있다. 우리는 인간의 부절로 인해 성이 두 개로 나누어졌다는 내용을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성을 이분법적으로 나눈 것이 우리 사회에 극심한 진통을 유발하는 동성애와 트랜스젠더 즉, 성전환에 대한 이야기의 근간이 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동성애와 성전환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해야하는 것일까를 생각해본다면, 우리가 구형이 아닌 ‘제대로 된 인간’으로 변화한 것은 신들에 의한 것이며 합당한 이유가 있었다는 점을 바탕으로 동성애와 성전환 자체가 과거의 개념에서는 납득할 수 있고 포용될 수 있는 부분이었다면, 우리 사회에서의 여러 문제들을 기반으로 그 또한 변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동성애와 성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은 쉽게 해결될 수 없으며, 그 문제들의 근본은 윤리적인 문제가 가장 크다. 동성애라는 행위 자체가 인정받기 보다는 새로운 사회적 구성원으로의 인정을 위한 행위, 그리고 자신의 또 다른 욕구를 채우기 위한 행동으로 발생하는 대리모 문제나 에이즈 감염 문제 등은 인간의 올바른 사랑의 행위로 정의될 수 없다. 또한, 성전환의 경우도 진정한 여성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지만, 자신의 느낌 혹은 경험에 의해 성별을 결정한다는 문제도 우리가 깊게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성전환을 받은 사람들의 합당한 이유로 손꼽는 것은 바로 태어날 때 자신의 성을 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우리 모두 자신의 성별을 정하지 않고 태어났으며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고 있다는 점을 망각해서는 안된다.
4. 참고문헌
1) 허호익. \"동성애에 관한 핵심 쟁점-범죄인가 질병인가 소수의 성지향인가?.\" 장신논단 38.- (2010): 237-260.
http://www.riss.kr/link?id=A100495595
2) 연합뉴스, 성전환 후 강제 전역’ 변희수 전 하사 숨진 채 발견,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3174000064?input=1195m
3) 이데일리, 바이든, 트렌스젠더 軍복무 및 입대 다시 허용 ‘트럼프 뒤집기’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50326628921656&mediaCodeNo=257&OutLnkChk=Y
4) 연합뉴스, 남성 성전환 엘리엇 페이지 티셔츠 차림 편안 눈물,
https://www.yna.co.kr/view/AKR20210430004000075?input=1195m
5) 서울신문, 동성 아들 부부의 손녀 대리출산한 할머니, 새로운 가족의 2년 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501500052&wlog_tag3=naver
6) 국민일보, 동성애는 다른 것이지 틀린 게 아니다라는 세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88864&code=23111413&cp=nv
7)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대리모 관련 문제점 고찰 및 입법정책방안 모색,
https://www.nl.go.kr/app/nl/search/common/download.jsp?file_id=FILE-00008149386
8) 비마이너, HIV 감염인의 장애인정, 새로운 장애인운동 될까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99
9) 중앙일보, 숙대 성전환 합격, 두쪽난 여대 페미 단체 “1만명 반대 서명”
https://news.joins.com/article/23698076
10) 녹색당, 트랜스젠더 배제하며 페미니즘을 말하는가,
http://www.kgreens.org/commentary/%EB%85%BC%ED%8F%89-%ED%8A%B8%EB%9E%9C%EC%8A%A4%EC%A0%A0%EB%8D%94-%EB%B0%B0%EC%A0%9C%ED%95%98%EB%A9%B0-%ED%8E%98%EB%AF%B8%EB%8B%88%EC%A6%98%EC%9D%84-%EB%A7%90%ED%95%98%EB%8A%94%EA%B0%80/
3. 결론
향연을 통해 우리는 인간이 어떤 사랑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속에서 성에 대한 사실도 새롭게 알 수 있다. 우리는 인간의 부절로 인해 성이 두 개로 나누어졌다는 내용을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성을 이분법적으로 나눈 것이 우리 사회에 극심한 진통을 유발하는 동성애와 트랜스젠더 즉, 성전환에 대한 이야기의 근간이 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동성애와 성전환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해야하는 것일까를 생각해본다면, 우리가 구형이 아닌 ‘제대로 된 인간’으로 변화한 것은 신들에 의한 것이며 합당한 이유가 있었다는 점을 바탕으로 동성애와 성전환 자체가 과거의 개념에서는 납득할 수 있고 포용될 수 있는 부분이었다면, 우리 사회에서의 여러 문제들을 기반으로 그 또한 변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동성애와 성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은 쉽게 해결될 수 없으며, 그 문제들의 근본은 윤리적인 문제가 가장 크다. 동성애라는 행위 자체가 인정받기 보다는 새로운 사회적 구성원으로의 인정을 위한 행위, 그리고 자신의 또 다른 욕구를 채우기 위한 행동으로 발생하는 대리모 문제나 에이즈 감염 문제 등은 인간의 올바른 사랑의 행위로 정의될 수 없다. 또한, 성전환의 경우도 진정한 여성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지만, 자신의 느낌 혹은 경험에 의해 성별을 결정한다는 문제도 우리가 깊게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성전환을 받은 사람들의 합당한 이유로 손꼽는 것은 바로 태어날 때 자신의 성을 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우리 모두 자신의 성별을 정하지 않고 태어났으며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고 있다는 점을 망각해서는 안된다.
4. 참고문헌
1) 허호익. \"동성애에 관한 핵심 쟁점-범죄인가 질병인가 소수의 성지향인가?.\" 장신논단 38.- (2010): 237-260.
http://www.riss.kr/link?id=A100495595
2) 연합뉴스, 성전환 후 강제 전역’ 변희수 전 하사 숨진 채 발견,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3174000064?input=1195m
3) 이데일리, 바이든, 트렌스젠더 軍복무 및 입대 다시 허용 ‘트럼프 뒤집기’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50326628921656&mediaCodeNo=257&OutLnkChk=Y
4) 연합뉴스, 남성 성전환 엘리엇 페이지 티셔츠 차림 편안 눈물,
https://www.yna.co.kr/view/AKR20210430004000075?input=1195m
5) 서울신문, 동성 아들 부부의 손녀 대리출산한 할머니, 새로운 가족의 2년 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501500052&wlog_tag3=naver
6) 국민일보, 동성애는 다른 것이지 틀린 게 아니다라는 세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88864&code=23111413&cp=nv
7)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대리모 관련 문제점 고찰 및 입법정책방안 모색,
https://www.nl.go.kr/app/nl/search/common/download.jsp?file_id=FILE-00008149386
8) 비마이너, HIV 감염인의 장애인정, 새로운 장애인운동 될까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99
9) 중앙일보, 숙대 성전환 합격, 두쪽난 여대 페미 단체 “1만명 반대 서명”
https://news.joins.com/article/23698076
10) 녹색당, 트랜스젠더 배제하며 페미니즘을 말하는가,
http://www.kgreens.org/commentary/%EB%85%BC%ED%8F%89-%ED%8A%B8%EB%9E%9C%EC%8A%A4%EC%A0%A0%EB%8D%94-%EB%B0%B0%EC%A0%9C%ED%95%98%EB%A9%B0-%ED%8E%98%EB%AF%B8%EB%8B%88%EC%A6%98%EC%9D%84-%EB%A7%90%ED%95%98%EB%8A%94%EA%B0%80/
추천자료
월든을 읽고
토마스 만의 소설 '베니스에서의 죽음'연구
[열린사회와 21세기 공통] 추천도서 가운데 한 권 이상 (두 권 이내)을 읽고 서평을 작성하되...
도덕 윤리학 이론 (이론 경험 사례 교육에의 활용 방법)
교육학개론 중간과제물 (동굴의 비유)
아동문학 ) 국내외 아동문학상 수상 그림책 중 3∼5세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적합한 그림책...
[ 아동문학 ) 국내외 아동문학상 수상 그림책 중 3∼5세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적합한 그림...
동서양고전의이해 ) 교재 동서양 고전의 이해 1-15장 각각 장의 마지막에는 ‘3. 원문 읽기’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