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등장인물의 성격
1) 성춘향
2) 이몽룡
3) 변학도
4) 월매, 향단, 방자
2. 주제 의식
3. 소설사적 의의
4.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등장인물의 성격
1) 성춘향
2) 이몽룡
3) 변학도
4) 월매, 향단, 방자
2. 주제 의식
3. 소설사적 의의
4.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춘향전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은 당시 시대가 바라는 전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각자의 욕망을 가지고 이익을 위해 움직이는 성격도 가지고 있다. 전형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가지는 이기적인 욕망까지도 표현한 인물의 성격을 통해 더욱 입체적인 이야기 전개가 나타날 수 있었으며 생동감 있는 성격이 형성될 수 있었다. 춘향전이 가지는 마지막 의의는 바로 저항적 주제 의식을 가진다는 것이다. 춘향전의 대표적인 갈등 상황으로 묘사되는 춘향의 변학도의 수청 거부는 당시 민중이 가지고 있던 지배층에 대한 반항 심리가 그대로 표현된 것이다. 당시 실학 정신, 근대정신, 서민의식이 모두 반영된 춘향전의 이러한 주제 의식은 당시의 시대 상황을 잘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시사점
춘향전은 소설의 전개 방식이나, 춘향전이 가지는 소설사적 의의를 볼 때 굉장히 입체적인 면모를 가진 소설임을 알 수 있다. 당시에는 찾아보기 어렵던 현실적이면서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를 무대로 한 소설, 사실적인 인물묘사가 포함된 이 소설은 당대를 살아가던 민중들의 공감을 끌어내기엔 충분했을 것이다. 또한 단순히 교훈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전형적인 인물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라, 전형적인 인물들의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이익적인 심리를 묘사함으로써 더 큰 공감을 얻었을 것이다. 또, 탐관오리의 표본으로 묘사된 변학도의 몰락 서사를 통해 고통받던 민중은 대리만족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춘향전은 등장인물이 가진 욕망을 서사하면서 동시에 독자의 욕망도 파악하고 있었다. 평민 독자는 자신보다 높은 권력을 가진 변학도에게 저항하고, 현실에서 찾기 어려운 완벽한 인물인 몽룡이 등장해 춘향을 구해주는 이야기를 보면서 자신의 처지를 이입 시켜 공감하면서 동시에 판타지적인 욕망까지 충족시킬 수 있다. 양반 독자의 경우는 몽룡이 춘향에게 사랑에 빠져서 하는 행동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게 된다. 당시 시대적 상황으로 보면 몽룡과 같이 사랑하는 여인을 보러 밤에 몰래 나오는 등의 행동은 금기시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몽룡이 춘향을 만나기 위해 매일 외출을 하고 춘향의 빼어난 미모를 사모하는 등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드러내지 못하는 욕망을 몽룡을 통해 대리만족했을 것으로 알 수 있다. 춘향전은 판소리계 소설이라는 특징으로 초기에 평민들 사이에서만 유행했지만, 이러한 욕망의 구조를 통해 이후 양반계층까지 널리 유행하게 될 수 있었다.
Ⅲ. 결론
춘향전이 당대를 대표하던 소설이 될 수 있었고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 남아 계속해서 회자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현실을 고려하고 반영하고, 독자의 욕망을 대신 풀어주는 욕망의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는 특징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결국 우리가 가진 고유한 정서와 심리상태를 온전히 표현할 수 있는 장치이며, 그러한 내용이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다시 향유되는 등 계속해서 순환의 구조를 가진다. 문화의 순환을 통해 우리는 과거의 대중문화를 접할 수 있고, 현재 우리 사회의 대중문화를 미래 세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담긴, 우리의 진실한 이야기가 담긴 소설이 그 문화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교재
2. 하성백, 「국학연구론총(Journal of Koreanology」, 『춘향전의 문화원형 연구』, Vol.0 No.11 [2013], 2013, https://url.kr/byfui2
3. 장순희, 「韓國文學論叢(Thesises on Korean literature)」, 『춘향전의 인물과 독자의 욕망 구조』, Vol.55 No.- [2010], 2010, https://url.kr/wc7mef
4. 시사점
춘향전은 소설의 전개 방식이나, 춘향전이 가지는 소설사적 의의를 볼 때 굉장히 입체적인 면모를 가진 소설임을 알 수 있다. 당시에는 찾아보기 어렵던 현실적이면서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를 무대로 한 소설, 사실적인 인물묘사가 포함된 이 소설은 당대를 살아가던 민중들의 공감을 끌어내기엔 충분했을 것이다. 또한 단순히 교훈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전형적인 인물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라, 전형적인 인물들의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이익적인 심리를 묘사함으로써 더 큰 공감을 얻었을 것이다. 또, 탐관오리의 표본으로 묘사된 변학도의 몰락 서사를 통해 고통받던 민중은 대리만족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춘향전은 등장인물이 가진 욕망을 서사하면서 동시에 독자의 욕망도 파악하고 있었다. 평민 독자는 자신보다 높은 권력을 가진 변학도에게 저항하고, 현실에서 찾기 어려운 완벽한 인물인 몽룡이 등장해 춘향을 구해주는 이야기를 보면서 자신의 처지를 이입 시켜 공감하면서 동시에 판타지적인 욕망까지 충족시킬 수 있다. 양반 독자의 경우는 몽룡이 춘향에게 사랑에 빠져서 하는 행동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게 된다. 당시 시대적 상황으로 보면 몽룡과 같이 사랑하는 여인을 보러 밤에 몰래 나오는 등의 행동은 금기시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몽룡이 춘향을 만나기 위해 매일 외출을 하고 춘향의 빼어난 미모를 사모하는 등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드러내지 못하는 욕망을 몽룡을 통해 대리만족했을 것으로 알 수 있다. 춘향전은 판소리계 소설이라는 특징으로 초기에 평민들 사이에서만 유행했지만, 이러한 욕망의 구조를 통해 이후 양반계층까지 널리 유행하게 될 수 있었다.
Ⅲ. 결론
춘향전이 당대를 대표하던 소설이 될 수 있었고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 남아 계속해서 회자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현실을 고려하고 반영하고, 독자의 욕망을 대신 풀어주는 욕망의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는 특징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결국 우리가 가진 고유한 정서와 심리상태를 온전히 표현할 수 있는 장치이며, 그러한 내용이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다시 향유되는 등 계속해서 순환의 구조를 가진다. 문화의 순환을 통해 우리는 과거의 대중문화를 접할 수 있고, 현재 우리 사회의 대중문화를 미래 세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담긴, 우리의 진실한 이야기가 담긴 소설이 그 문화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교재
2. 하성백, 「국학연구론총(Journal of Koreanology」, 『춘향전의 문화원형 연구』, Vol.0 No.11 [2013], 2013, https://url.kr/byfui2
3. 장순희, 「韓國文學論叢(Thesises on Korean literature)」, 『춘향전의 인물과 독자의 욕망 구조』, Vol.55 No.- [2010], 2010, https://url.kr/wc7me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