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중문화와영화비평
1. 본교재 사진에서 언급된 영화나 드라마 한 편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해당 영화나 드라마를 스테판 샤프가 [영화구조의 미학]에서 언급했던 형식비평을 활용하여 분석하시오. (40점)
2.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설명하고, 그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하시오. (30점)
1번 문제의 경우 스테판 샤프의 여덟 가지 형식비평의 요소들을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야 함
- 2번 문제의 경우 반드시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야 함"
참고문헌
1. 본교재 사진에서 언급된 영화나 드라마 한 편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해당 영화나 드라마를 스테판 샤프가 [영화구조의 미학]에서 언급했던 형식비평을 활용하여 분석하시오. (40점)
2.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설명하고, 그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하시오. (30점)
1번 문제의 경우 스테판 샤프의 여덟 가지 형식비평의 요소들을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야 함
- 2번 문제의 경우 반드시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야 함"
참고문헌
본문내용
언어학자 소쉬르가 기호로 구성된 체계를 제안하였으며, 언어의 구성으로는 기표와 기의가 있다고 하였다. 기의는 개념 그 자체를 의미하며 기표는 청각, 영상적인 의미를 가진다. 언어기호가 결합하는 것은 하나의 개념과 하나의 청각영상이라고 말했는데, 구조주의는 이러한 부분을 구조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주의를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 구조주의는 모두 인정하고 있으며, 포스트 구조주의는 이러한 부분을 탈피하고자 하는 성격이 강했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은 약간 다른 방향으로 재해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4)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점
포스트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 둘 다 구조주의를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구조주의와 관련되어있는 주요 이론은 이항 대립인데, 이는 인간의 논리가 텍스트로 제공되는 어떤 이론적이며 개념적인 대립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이항 쌍을 이룬다고 설명되어 진다. 그러나 포스트 구조주의는 이들의 관계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부차적 대응의 용어에 대해 집적으로 용어의 의존성을 표출하고 있으며, 계층으로부터 지배적 관계에서의 본질적인 특징 개념을 거부하고 있다.
그러므로 포스트 구조주의는 구조주의를 받아들이되 기존에 지식이 어떤 방식으로 생산되고 연구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비판한다고 할 수 있다. 역사와 문화가 근본적으로 구조에 관해 진행되는 연구를 좌지우지하므로, 포스트 구조주의에 대한 접근으로는 한 대상을 이해하기 위해 대상을 그 자체와 대상을 생산하게 되는 지식의 체계 모두를 연구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 주장한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은 구조주의는 받아들이되, 근대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받아 들었으며 일부 예술계에서는 사실주의(Realism)에 대한 반발도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역사가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그동안 수없이 많았던 근대주의들의 주요 개념에 대한 반발과 차용으로부터 근대주의를 확장 또는 대체를 시킨 사조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합리성이나 진보, 객관성과 같은 이상적인 부분에 의미를 많이 둔다는 것인데, 이는 포스트 구조주의의 구조주의를 반하는 성격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증주의나 실재 주의 운동, 계몽사상 등이 등장하는 19세기에 여러 사조를 중시해 가는 풍조를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축에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경제나 사회적으로 특수한 상황으로부터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이 나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상가나 저술가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이 근대주의에 대한 확장일 뿐이라는 언급을 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나 사상을 새롭게 연 것이 아니라 기존에 대해 맥을 잇되 조금 더 포괄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레버넌트, 마이클 푼케 저, 최필원 역, 오픈하우스, 2016
Levinas, Emmanuel. Humanism of the Other.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3. p. 11-12.
현대 영화이론의 모든 것, 위르겐 펠릭스 저, 이준서 역, 도서출판 앨피, 2004
4)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점
포스트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 둘 다 구조주의를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구조주의와 관련되어있는 주요 이론은 이항 대립인데, 이는 인간의 논리가 텍스트로 제공되는 어떤 이론적이며 개념적인 대립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이항 쌍을 이룬다고 설명되어 진다. 그러나 포스트 구조주의는 이들의 관계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부차적 대응의 용어에 대해 집적으로 용어의 의존성을 표출하고 있으며, 계층으로부터 지배적 관계에서의 본질적인 특징 개념을 거부하고 있다.
그러므로 포스트 구조주의는 구조주의를 받아들이되 기존에 지식이 어떤 방식으로 생산되고 연구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비판한다고 할 수 있다. 역사와 문화가 근본적으로 구조에 관해 진행되는 연구를 좌지우지하므로, 포스트 구조주의에 대한 접근으로는 한 대상을 이해하기 위해 대상을 그 자체와 대상을 생산하게 되는 지식의 체계 모두를 연구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 주장한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은 구조주의는 받아들이되, 근대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받아 들었으며 일부 예술계에서는 사실주의(Realism)에 대한 반발도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역사가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그동안 수없이 많았던 근대주의들의 주요 개념에 대한 반발과 차용으로부터 근대주의를 확장 또는 대체를 시킨 사조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합리성이나 진보, 객관성과 같은 이상적인 부분에 의미를 많이 둔다는 것인데, 이는 포스트 구조주의의 구조주의를 반하는 성격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증주의나 실재 주의 운동, 계몽사상 등이 등장하는 19세기에 여러 사조를 중시해 가는 풍조를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축에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경제나 사회적으로 특수한 상황으로부터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이 나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상가나 저술가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이 근대주의에 대한 확장일 뿐이라는 언급을 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나 사상을 새롭게 연 것이 아니라 기존에 대해 맥을 잇되 조금 더 포괄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레버넌트, 마이클 푼케 저, 최필원 역, 오픈하우스, 2016
Levinas, Emmanuel. Humanism of the Other.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3. p. 11-12.
현대 영화이론의 모든 것, 위르겐 펠릭스 저, 이준서 역, 도서출판 앨피,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