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물인터넷의 개념
(2) 사물인터넷의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
(3) 미래 전망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사물인터넷의 개념
(2) 사물인터넷의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
(3) 미래 전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일상이 펼쳐질 것이다. 웨어링(wearing) 디바이스를 안경과 같은 신체와 밀접한 도구로 받아들이며, 첨단의 생활을 즐기게 되는 것이다. 집에 도착하기 전에 내 집 안의 사물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여 나를 맞이할 준비를 모두 마친다면 얼마나 편안할까?
이러한 즐거운 상상외에도, 사물인터넷 도입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겪게 될 변화는 무궁무진하다. 가장 기대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다양한 직업의 탄생이다. ‘사물인터넷 사업기획자’, ‘사물인터넷 기기 관리자’ 등 높은 청년실업률에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초등학교에 코딩 수업이 도입된 것도 바로 이러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흐름 중 하나일 것이다.
사물인터넷 관련 직업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먼저, ‘사물인터넷 사업기획자’란, 교통·환경·복지 등 사회 분야에서 문제점을 찾아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대안을 찾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용도와 목적에 맞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및 제품을 기획하고, 필요한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보안 문제 등 다각도에서 리스크(risk)를 점검한다. 기술 구축 과정에서 빅데이터 전문가나 컴퓨팅 개발자, 앱 개발자 등 다양한 사람들과 협업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기획 단계를 넘어 실질적으로 상품 및 서비스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기기 관리 기술을 가진 전문가도 필수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새로운 기술과 산업이 발달한다는 것은 이렇듯,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부디 사물인터넷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초월하여 현대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해결사로 등장하기를 기대해 본다.
3. 결론
인류의 지난 역사를 돌아보면, 변화의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10년 전과 현재까지의 변화 속도는 20년 전부터 10년 전까지 변화 속도의 몇 배일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가 두려운 면도 있지만 설레는 기분이 더 크다. 스마트폰으로 연결된 지금의 생활도 과거에는 상상 못 한 편리함으로 다가오는데, 이 이상이 있다면 어떤 느낌일까? 얼마나 더 많은 것들을 해낼 수 있을까? 다양한 상상을 해볼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4. 참고문헌
사물인터넷의 미래, 박종현 외 8명, 전자신문사, 2014년
사물인터넷 보안, ICT 시사상식 201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6년
사물인터넷사업기획자, 한국직업사전,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2016년
이러한 즐거운 상상외에도, 사물인터넷 도입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겪게 될 변화는 무궁무진하다. 가장 기대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다양한 직업의 탄생이다. ‘사물인터넷 사업기획자’, ‘사물인터넷 기기 관리자’ 등 높은 청년실업률에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초등학교에 코딩 수업이 도입된 것도 바로 이러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흐름 중 하나일 것이다.
사물인터넷 관련 직업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먼저, ‘사물인터넷 사업기획자’란, 교통·환경·복지 등 사회 분야에서 문제점을 찾아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대안을 찾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용도와 목적에 맞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및 제품을 기획하고, 필요한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보안 문제 등 다각도에서 리스크(risk)를 점검한다. 기술 구축 과정에서 빅데이터 전문가나 컴퓨팅 개발자, 앱 개발자 등 다양한 사람들과 협업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기획 단계를 넘어 실질적으로 상품 및 서비스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기기 관리 기술을 가진 전문가도 필수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새로운 기술과 산업이 발달한다는 것은 이렇듯,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부디 사물인터넷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초월하여 현대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해결사로 등장하기를 기대해 본다.
3. 결론
인류의 지난 역사를 돌아보면, 변화의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10년 전과 현재까지의 변화 속도는 20년 전부터 10년 전까지 변화 속도의 몇 배일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가 두려운 면도 있지만 설레는 기분이 더 크다. 스마트폰으로 연결된 지금의 생활도 과거에는 상상 못 한 편리함으로 다가오는데, 이 이상이 있다면 어떤 느낌일까? 얼마나 더 많은 것들을 해낼 수 있을까? 다양한 상상을 해볼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4. 참고문헌
사물인터넷의 미래, 박종현 외 8명, 전자신문사, 2014년
사물인터넷 보안, ICT 시사상식 201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6년
사물인터넷사업기획자, 한국직업사전,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2016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