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건강 불평등의 정의
(2) 건강 불평등을 설명하는 여러 모델
(3) 코로나 19 시대를 겪으면서 더욱 심화하고 있는 건강 불평등
(4) 사회문제로써 건강 불평등의 해결 방법 논의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건강 불평등의 정의
(2) 건강 불평등을 설명하는 여러 모델
(3) 코로나 19 시대를 겪으면서 더욱 심화하고 있는 건강 불평등
(4) 사회문제로써 건강 불평등의 해결 방법 논의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특히 요즘 아동학대 사례가 빈번히 밝혀지고 있다. 이미 국가에 등록이 되어 있는 시민들 외에 새로 태어난 아이들이 방치되어 있지는 않은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은 단위의 모니터링을 사회단체에서 시작해 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인 단위의 노력이다. 경제 상위층의 개인들은 자신들이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일련의 행동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스스로 각성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취약층도, 국가 시스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학습하고자 하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근래에는 복지 서비스가 모바일이나 웹상으로 공지되는 일도 많음으로, 혹시 기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주변의 공공 도서관이나 공공 기관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그러나 역시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경제적으로도 시간적으로도 여유가 없는 취약층에게 스스로 노력하라고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이 더 노력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공공 서비스가 개선되는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건강 불평등의 개념을 설명하고, 세계적인 지표와 국내 지표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건강 불평등 상태를 진단해 보았다. 또한, 안타깝게도 코로나 19로 인해 이러한 건강 불평등 격차가 심해지고 있는 현실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지 대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먼저, 우리나라가 의료 선진국이라고만 생각하였는데, 건강 불평등 지수가 비슷한 수준의 소득을 가진 국가들에 비해 중하위권이라는 것에 굉장히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다시 생각해보니, 우리나라의 높은 의료 서비스 마저, 가진 자들을 위한 서비스 중심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강남구에 즐비한 성형외과들과 미용을 위한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피부과, 치과, 안과 등, 정말로 생존을 위해 찾는 이들에게는 대한민국 의료 서비스 수준이 어떻게 느껴질지 궁금해졌다.
또한, 코로나 19 알림이나 기타 국가 복지와 관련된 소식들을 보통 모바일로 받아 보는데, 어떤 이들에게는 모바일 시스템조차도 확보되어 있지 않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진 이들에게는 더욱더 편리한 시스템이지만,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아예 배제되어 버리는, 소외의 시스템인 것이다.
4. 참고문헌
트렌드 지식 사전 2,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2014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638371
헬스 커뮤니케이션, 정의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179877
‘포스트 코로나’ 세계, 네 개의 키워드를 주목하라, 유종일, 프레시안, 2020년 4월 20일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42010434564354?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코로나 경제 위기, 긴축재정은 불평등을 심화한다, 정승민, 프레시안, 2021년 1월 4일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62415554288140?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European health inequality through the \'Great Recession\': social policy matters, Kjetil A van der Wel, Therese Saltkjel, Wen-Hao Chen, Espen Dahl, Knut Halvorsen, 2018 Mar 2.
https://pubmed.ncbi.nlm.nih.gov/29500841/
마지막으로 개인 단위의 노력이다. 경제 상위층의 개인들은 자신들이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일련의 행동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스스로 각성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취약층도, 국가 시스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학습하고자 하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근래에는 복지 서비스가 모바일이나 웹상으로 공지되는 일도 많음으로, 혹시 기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주변의 공공 도서관이나 공공 기관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그러나 역시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경제적으로도 시간적으로도 여유가 없는 취약층에게 스스로 노력하라고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이 더 노력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공공 서비스가 개선되는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건강 불평등의 개념을 설명하고, 세계적인 지표와 국내 지표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건강 불평등 상태를 진단해 보았다. 또한, 안타깝게도 코로나 19로 인해 이러한 건강 불평등 격차가 심해지고 있는 현실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지 대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먼저, 우리나라가 의료 선진국이라고만 생각하였는데, 건강 불평등 지수가 비슷한 수준의 소득을 가진 국가들에 비해 중하위권이라는 것에 굉장히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다시 생각해보니, 우리나라의 높은 의료 서비스 마저, 가진 자들을 위한 서비스 중심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강남구에 즐비한 성형외과들과 미용을 위한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피부과, 치과, 안과 등, 정말로 생존을 위해 찾는 이들에게는 대한민국 의료 서비스 수준이 어떻게 느껴질지 궁금해졌다.
또한, 코로나 19 알림이나 기타 국가 복지와 관련된 소식들을 보통 모바일로 받아 보는데, 어떤 이들에게는 모바일 시스템조차도 확보되어 있지 않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진 이들에게는 더욱더 편리한 시스템이지만,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아예 배제되어 버리는, 소외의 시스템인 것이다.
4. 참고문헌
트렌드 지식 사전 2,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2014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638371
헬스 커뮤니케이션, 정의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179877
‘포스트 코로나’ 세계, 네 개의 키워드를 주목하라, 유종일, 프레시안, 2020년 4월 20일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42010434564354?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코로나 경제 위기, 긴축재정은 불평등을 심화한다, 정승민, 프레시안, 2021년 1월 4일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62415554288140?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European health inequality through the \'Great Recession\': social policy matters, Kjetil A van der Wel, Therese Saltkjel, Wen-Hao Chen, Espen Dahl, Knut Halvorsen, 2018 Mar 2.
https://pubmed.ncbi.nlm.nih.gov/29500841/
추천자료
사회문제론 기말] 한국 사회에서 건강 불평등은 점차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1) ...
사회문제론 기말 2021년] 한국사회에서 건강불평등은 점차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2021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사회문제론) 한국 사회에서 건강 불평등은 점차 중요한 사회문...
사회문제론 기말] 한국 사회에서 건강 불평등은 점차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건강...
사회문제론 기말] ① 건강불평등 정의 ② 건강불평등을 설명하는 여러 모델 ③ 코로나19 시대를 ...
[사회문제론 2021 기말] 한국 사회에서 건강 불평등은 점차 중요한 사회문제 1) 건강 불평등...
사회문제론 ) 건강 불평등을 정의하고, 건강 불평등을 설명하는 여러 모델을 설명한 후 코로...
사회문제론 ) 건강 불평등을 정의하고, 코로나19 시대를 겪으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는 건강 ...
사회문제론 ) 코로나19 시대를 겪으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는 건강 불평등의 문제를 구체적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