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망 ) 회선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통신망 ) 회선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2019학년도 『정보통신망』의 기말시험 기출문제 중 6개 문제(5, 10, 15, 23, 29, 33번)에 대해 풀이를 해설하시오. 단, 문제에서 다루는 주요 용어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정답은 왜 정답인지, 오답은 왜 오답인지를 상세히 설명할 것. [30점]

2. 제3장 주관식 7번 연습문제
네트워크 형태의 5가지 기본 형태를 나열하고, 구조와 특징을 설명하시오.

3. 제4장 주관식 4번 연습문제
회선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4. 제7장 주관식 10번 연습문제
IEEE 802 위원회 산하의 작업 그룹 (working group)들과 그들의 연구분야를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5. 제8장 주관식 5번 연습문제
대칭 키 암호화 방식과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술 개발과 표준화를 수행한다.
5. 대칭 키 암호화 방식과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이란 송신자와 수신자가 하나의 키를 공유하여 암호화/복호화 과정을 진행하는 것으로 공개 키 암호화 방법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평문을 암호화하는 것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은 안전하게 키를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암호화 통신을 하는 송신자와 수신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키가 노출되지 않도록 간직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는 알고리즘이 공개되어도 키를 알지 못할 경우 암호문을 해독할 수 없게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암호화 통신을 하는 상대방이 많을 경우 관리해야 하는 키도 많아지므로 관리하는 것에 대한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은 두 개의 키를 이용하여 진행되어, 하나의 키는 공개적으로 누구나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자신만 비밀로 보관하는 방법이다. 이를 이용하면 대칭 키 암호화 방식에서 문제가 되는 키의 관리 및 분배의 문제를 해결해 주게 된다. 즉, N 명의 사람과 통신을 진행할 때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은 N(N-1)/2의 키가 필요하지만,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은 2N 개의 키만 필요하게 된다. 다만,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선택적 평문 공격에 대해서는 취약성을 갖고 있다.
참고문헌
이강원 외 1인,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2016년, 구미서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https://terms.naver.com/list.naver?searchId=au600
박성경 외 2인, (1988). 해밍코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Hybrid ARQ 시스템의 성능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198811920631894&oCn=JAKO198811920631894&dbt=JAKO&journal=NJOU00290628
이명수, (2011). 에러율이 높은 환경의 이동통신망에서 처리율 향상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f1ffc21bb34b384ffe0bdc3ef48d419
양주연, (2018). 그룹특징기반 슬라이딩 윈도우 클러스터링기법 성능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02cd82c3674b1c2fffe0bdc3ef48d419
양대일, 정보 보안 개론, 2013년, 한빛아카데미
박상철, (2001). 라우터 기반 바이러스 감염 파일 차단 시스템 설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ee7690756a70703f
김주현, (2009). 작업 표시줄의 풍선도움말과 브라우저상의 이미지 비교를 통한 인지 기반의 피싱 및 파밍 방지 기법, 인하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8e0c2a1f94c4a32fffe0bdc3ef48d419
CCTV 뉴스, 2020.10.06., WAN? WLAN? 어디에 쓰는 걸까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852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8 정보통신표준화 백서
https://www.tta.or.kr/data/androReport/whiteBook/20_4%ED%8E%B82%EC%9E%A5_%EA%B5%AD%EC%A0%9C%ED%91%9C%EC%A4%80%ED%99%94%EA%B8%B0%EA%B5%AC%ED%99%9C%EB%8F%99%ED%98%84%ED%99%A9.pdf
송옥주, (2003). RSA 암호화를 이용한 웨이블릿기반 공개키 워터마킹 기법, 중앙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4e8f7556772f58fd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