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물질 및 행위 중독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Ⅱ. 중독은 뇌의 질환이라는 근거는 무엇일까?
Ⅲ. 중독의 치료모델 중 공중보건모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Ⅳ. 중독의 치료모델 중 미네소타모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Ⅱ. 중독은 뇌의 질환이라는 근거는 무엇일까?
Ⅲ. 중독의 치료모델 중 공중보건모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Ⅳ. 중독의 치료모델 중 미네소타모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많은 신이다. 또한 우리의 지도자는 신뢰할 수 있는 봉사자일 뿐, 다스리는 사람이 아니다. 3 전통은 술을 끊겠다는 열망이 이 모임의 멤버가 되기 위한 유일한 조건이다. 4 전통은 각 그룹은 다른 그룹이나 모임 전체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제외하면 반드시 자율적이어야 한다. 5 전통은 각 그룹의 유일한 근본적인 목적은 아직 고통 받고 있는 알코올 중독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6 전통은 관계 기관이나 외부 기업에 보증, 융자, 모임의 이름을 빌려주는 일등이 금지된다. 돈과 재산, 명성의 문제는 근본 목적에서 벗어나게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7 전통은 모든 그룹은 외부 기부금을 사절하고, 전적으로 자립한다. 8 전통은 본 모임은 직업적인 모임이 될 수 없지만 서비스 센터에는 전임 직원을 둘 수 있다. 9 전통은 모임은 결코 조직화 되어서는 안 되지만, 봉사부서나 위원회를 만들 수 있고, 그들은 봉사의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책임을 가지게 된다. 10 전통은 본 모임은 외부의 문제에 대해서 어떠한 의견도 표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들의 이름이 공론에 들먹여 지는 것은 안 된다. 11전통은 본 모임의 홍보 원칙은 적극적인 선전보다는 본래의 매력에 기초를 두므로, 대중 매체에서는 익명을 지켜야 한다. 12전통은 익명은 본 모임의 모든 전통의 기본이고, 이는 각 개인보다 항상 모임의 원칙을 먼저로 두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우기 위함이다. Chappel, JN; Dupont, RL (1999). “Twelve-Step and Mutual-Help Programs for Addictive Disorder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2 (2): 425. doi:10.1016/S0193-953X(05)70085-X. PMID 10385942.
이렇듯 미네소타 모델은 공동체 모임을 만들어 중독을 인정하고, 함께 이겨가는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치료적 효과가 나타난 모델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중독치료지침서. 이해국, 김성곤, 한국중독정신의학회. 보건복지부 지정 알코올사업지원단. 2011.
서정석(Jeong Seok Seo).(2015). 중독과 뇌 : 뇌 과학적 근거부터 중독 예방교재 개발과 중독관리법안 제정까지. 중독정신의학, 19(2): 45-48
곽은진.(2003). 알코올중독 치료모델의 평가 : 기독교 통합이론의 관점에서. 아세아연합신학대 대학원
노성원1·이해국2†·기선완.(2009).알코올정책의 개념과 효과성
최삼욱.(2013). 유해약물 중독 청소년 문제행동 진단 및 상담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Tonigan, Scott J; Connors, Gerard J; Miller, William R (2000년 12월). “Special Populations in Alcoholics Anonymous” (PDF). 《Alcohol Health and Research World》 22 (4): 281285. PMID 15706756.
“The Twelve Traditions”. 《The A.A. Grapevine》 (Alcoholics Anonymous) 6 (6). 1949년 11월. ISSN 0362-2584. OCLC 50379271.
Chappel, JN; Dupont, RL (1999). “Twelve-Step and Mutual-Help Programs for Addictive Disorder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2 (2): 425. doi:10.1016/S0193-953X(05)70085-X. PMID 10385942.
이렇듯 미네소타 모델은 공동체 모임을 만들어 중독을 인정하고, 함께 이겨가는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치료적 효과가 나타난 모델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중독치료지침서. 이해국, 김성곤, 한국중독정신의학회. 보건복지부 지정 알코올사업지원단. 2011.
서정석(Jeong Seok Seo).(2015). 중독과 뇌 : 뇌 과학적 근거부터 중독 예방교재 개발과 중독관리법안 제정까지. 중독정신의학, 19(2): 45-48
곽은진.(2003). 알코올중독 치료모델의 평가 : 기독교 통합이론의 관점에서. 아세아연합신학대 대학원
노성원1·이해국2†·기선완.(2009).알코올정책의 개념과 효과성
최삼욱.(2013). 유해약물 중독 청소년 문제행동 진단 및 상담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Tonigan, Scott J; Connors, Gerard J; Miller, William R (2000년 12월). “Special Populations in Alcoholics Anonymous” (PDF). 《Alcohol Health and Research World》 22 (4): 281285. PMID 15706756.
“The Twelve Traditions”. 《The A.A. Grapevine》 (Alcoholics Anonymous) 6 (6). 1949년 11월. ISSN 0362-2584. OCLC 50379271.
Chappel, JN; Dupont, RL (1999). “Twelve-Step and Mutual-Help Programs for Addictive Disorder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2 (2): 425. doi:10.1016/S0193-953X(05)70085-X. PMID 10385942.
추천자료
[알코올 중독][알콜 중독][알코올 의존증][알콜 의존증]알코올 중독(알콜 중독, 알콜 의존증)...
가족복지의 개념 대상 접근방법
지역사회 지적장애인 재활 개입 사례
가족복지
알콜중독자 가족에 대한 개입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이해 - 집단사회복지실천, 집단사회복지실...
★추천자료★[알코올 중독 가족 사회복지 개입 사례] 알코올 중독 가족 알코올 가족 특성, 알...
[심리학과 심리치료] 교류분석에 대한 개관적 이해 - 철학적 전제, 성격모델과 건강모델과 이...
약물남용의 개념, 원인, 종류, 유형, 치료모델, 해결방안
전략적 가족치료의 세 가지 모델(MRI의 의사소통이론, 헤일리의 기법, 밀란모델)에 대하여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