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학개론 ) 국내 환경오염 사건 세 가지를 선정하여, 1) 사건의 경과(사진 포함), 2) 원인 환경오염 물질 및 피해가 발생한 원리와 기전(mechanism), 3) 생태계 또는 인체 피해 현황, 4) 교훈 및 사건 이후의 변화를 조사하고 정리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보건학개론 ) 국내 환경오염 사건 세 가지를 선정하여, 1) 사건의 경과(사진 포함), 2) 원인 환경오염 물질 및 피해가 발생한 원리와 기전(mechanism), 3) 생태계 또는 인체 피해 현황, 4) 교훈 및 사건 이후의 변화를 조사하고 정리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두산전자 페놀유출사고로 인한 수질오염
(2) SEA PRINCE호 좌초로 인한 해양오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사고 이후에 정부 차원의 개선 대책이 마련되었다. 사고 직후 대응 체계의 미흡에 대한 반성으로 관련 기관의 책임이 부각되면서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 대응 표준매뉴얼을 개설하였고 불화수소누출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함에 따라 대응 대책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유해화학물질 사고 안전관리 개선대책을 발표하고 대책을 이행에 대한 실효성의 제고를 위한 관련 법령의 개정과 제도화를 이루어 냈다. 특히 사회적 제도를 개선한다고 하여도 현장에서 적용되지 않는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를 근원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현장 문화의 개선과 기업의 노력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정책조정회의를 통해 산업계와 함께하는 화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하였다. (설명자료)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화학안전의 교훈. 환경부.
3. 결론
산업화가 진행된 이래로 전 세계는 다양한 환경오염의 그림자를 피할 수 없어 졌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비교적 작은 국가에서 빠른 경제성장이 발생하면서 환경적 규제 없이 산업화와 도시화가 이뤄졌고 그 결과를 환경오염이라는 다시 정상적으로 돌려놓기 힘든 형태로 받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은 국민에게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국민의 생명과 신체에 피해를 입히는 리스크 사회로 몰아가고 있다. 특히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화학물질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너무 당연시되면서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와 같은 화학 사고를 포함하여 환경오염은 예상지 못한 시기에 가늠할 수 없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2000년대 이후로 국내의 화학물질 유출 사고를 비롯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산업 현장의 사고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언제든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사회에 살아가면서 더 이상 피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받아드리고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다양한 사건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기 때문에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책 마련과 실천이 중요하다.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사고가 발생함과 동시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신속한 대응체계의 설립과 현실적인 조치의 실효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후 복구 대책을 강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두산전자의 페놀유출사고로 인한 수질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겪으면서 비슷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 현장인 기업에서 폐수 처리 시설 관리와 정수장 수질 시험을 강화하는 등의 기업 차원의 노력을 위한 제도가 시행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 수질 자동측정망을 설치하고 수계 폐수배출 감시경보 체계를 확립하는 등의 국민을 위한 제도의 개선이 이뤄졌다.
SEA PRINCE호 사건을 통해 개선된 정부의 변화와 그 효과는 이후인 2007년 충청남도 태안반도에서 발생한 기름유출 사고의 대응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당시 허베이스피리트호가 좌초되면서 원유 12,537t의 원유가 해상에 유출되면서 총 4만여 가구의 주민이 피해를 입었고 기름이 지속해서 유출되면서 태안을 포함한 주변 11개 지역이 특별 재난 구역으로 선포되었다. 사고로 인한 피해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태안의 해안이 파괴되어 어업과 관광업에 종사하는 주민이 대부분인 태안 지역사회의 와해는 물론 지역경제의 변화와 주민건강의 악화와 지역사회의 갈등 등의 발생으로 이어졌다.
태안의 기름유출 사고가 동양의 기적으로 평가 받는 이유는 SEA PRINCE호와 같은 기름유출 사고가 일어났음에도 빠른 대응으로 그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는 점에 있다. SEA PRINCE호 사건 이후에 비슷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문제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국가 방제 지휘체계를 확립하였고 그 일환으로 설립된 한국해양오염방제조합은 오염방제장비와 관련 약품을 비축하여 이를 활용한 유류방제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특히 해양경찰청으로 방제 업무의 지휘 체제가 일원화면서 직접적으로 정부의 승인을 받아 일률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면서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역시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 대응 표준매뉴얼 개설과 유해화학물질 사고 안전관리 개선대책을 발표로 이어져 화학물질 관리법과 같은 관련 법령의 개정과 제도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다양한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기업적으로나 국가적으로 해당 사건을 단기적으로 해결하는데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금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해 관련 법령을 제정하고 제도를 현장에 적용하여 비슷한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강성길, 강창구 (2003). 해양오염사고 사례분석: Sea Prince호 사고를 중심으로.
大韓造船學會誌 Vol.40 No.2 [2003]. 대한조선학회.
http://www.riss.kr/link?id=A60109699
[그후 10년] 시프린스호 기름유출. 2005.07.21. 이해석, 김상진 기자.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1641141
김재영 외 2인 (2019). 불화수소 누출사고 사례를 통한 주변 농작물의 환경피해.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8 No.1 [2019]. 한국환경농학회지.
http://www.riss.kr/link?id=A106108237
낙동강 페놀오염사고.
(설명자료)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화학안전의 교훈.
환경부
http://www.me.go.kr/
차철환 (1991). 우리나라의 환경오염과 건강.
環境과 産業醫學 Vol.1 No.1 [1991]. 漢陽大學校 環境 및 産業醫學硏究所.
http://www.riss.kr/link?id=A2019439
\"호스 연결없이 원료밸브 열려 불산누출사고\"(종합). 2012.10.09. 김선형 기자.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21009131051053
[Why] 페놀사고, 왜 낙동강에서만···. 2008.03.07. 문일 교수. 중앙일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3/07/2008030700881.html
  • 가격3,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2.08.1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