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부 계획 (집행 기관, 집행 기간, 집행 대상, 집행 단계 등),
2) 기대 효과에 대해서 기술하는 것입니다.
2) 기대 효과에 대해서 기술하는 것입니다.
본문내용
최종 목표로 하게 된다.
집행 단계의 마지막, 이와 같은 활동에 관련하여 전 국민이 알 수 있고 또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각종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홍보하고 또한 게시해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사이트, 혹은 홍보용 SNS(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개설 후 관련 글 업로드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2) 기대 효과
현재 우리의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가장 최전방에서 저출산의 문제를 상대해야 하며, 또한 여전히 아직도 출산은 물론 결혼의 고민 갈림길에서 걱정하고 있는 2030의 솔직한 목소리가 가장 크다고 생각하였다.
이들이 지금 사회 생활을 갓 시작하면서 가장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삶을 살기 위해서 나는 결혼이라는 제도를 택하게 될 것인지, 그리고 결혼을 택하게 된다면 이후 출산을 택하게 될 것인지에 대한 수많은 갈림길에 놓여져 있는 것은 분명하다.
사실 이들의 솔직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서포터의 목적으로 모임을 생성할 경우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일단 각종 법령과 조례를 만드는 각 지자체의 의회들과 연관시켜서 지금 2030들이 모두 자신에게 필요한 출산 관련 법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솔직한 의견을 듣는 것이 가장 우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아야 한다. 그들의 공통된 점은 바로 나이대가 2030이라는 것이지만, 미혼인 상태의 참여자, 기혼이지만 아이는 없는 참여자, 기혼이며 아이 출산 경험이 있는 참여자, 육아의 경험이 있는 참여자들이 각각의 집단 그리고 자신의 상황에서 내는 의견들은 정말 실로 다양할 것이다.
이렇게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의견을 내는 과정에서 각 집단에 소속되어 있던 모든 젊은이들이 사실 자기와 다른 상황에 소속되어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이해하고 또 수용할 수도 있으며, 그에 대해서 토론을 진행할 수도 있다. 자신의 기준에서 옳고 그름, 그리고 다름을 인정하는 과정을 배우게 된다는 것이다. 어디에서도 잘 들을 수 없었던 현실 육아와 출산의 문제, 그리고 그들이 출산을 주저하게 만드는 모든 현실 상황을 이미 겪어본 육아를 하는 2030세대들의 의견들이 모두 소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각 분야에서 내는 여러 의견들 중에서도 가장 실효성 있으며 실현 가능한 것을 하나 채택하여 국회에서 활동하는 의원들과 관련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목표이겠지만, 여기서 모두 나왔던 것을 모아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은 꼭 사용되어야 하며 사용해야만 한다.
현재 2030세대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변화 시대에서 청소년 그리고 청년기를 보내며 그 혼돈 속 중점에 있던 세대들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보다도 디지털 문화에 밝으며, 그리고 디지털 시대 중점에서 살아가고 있는 세대들이다. 온라인 플랫폼은 그들에게는 한 문화이며 뗄 수 없는 분야인 것이다. 이렇기에 그들이 가장 친숙하다고 느낄 수 있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토론과 홍보 역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토론이 올바르게 된다면 출산과 육아를 오해하고 있었던 미혼 및 기혼 세대들에겐 진정한 상황과 현실을 알려줄 수 있고, 왜 그들이 출산을 택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서 기혼 세대들은 그들이 겪은 내용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조언을 해줄 수 있다. 마냥 출산에 대해서 강요하는 것이 아닌, 그들의 상황에 맞추어 익숙하게 만들며 그들의 생각을 변화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또한 생각을 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활발한 소통을 시의회 혹은 도의회 활동 기간 동안 하며 여기서 나온 아이디어 중 하나를 채택, 법령으로 발전시키는 기획 회의 역시 진행한다. 이러한 상위 기관에서 정해진 내용을 바탕으로 국회 및 정부에 정말 실무에 나가 있는 2030이 출산에 대한 어떤 실질적인 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정리한 이 자료는 비단 실제로 법으로 채택되지 않더라도, 그에 관련하여 저출산 정책을 수렴, 재정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참고 문헌]
- 대한민국 통계청, (2020), KIOSK 국가통계지표, 출처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1A21&checkFlag=N
- 대한민국 통계청, 통계표준용어, http://kostat.go.kr/
-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2020), 2020 청소년 종합 실태조사, http://csky.gallup.co.kr/
집행 단계의 마지막, 이와 같은 활동에 관련하여 전 국민이 알 수 있고 또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각종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홍보하고 또한 게시해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사이트, 혹은 홍보용 SNS(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개설 후 관련 글 업로드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2) 기대 효과
현재 우리의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가장 최전방에서 저출산의 문제를 상대해야 하며, 또한 여전히 아직도 출산은 물론 결혼의 고민 갈림길에서 걱정하고 있는 2030의 솔직한 목소리가 가장 크다고 생각하였다.
이들이 지금 사회 생활을 갓 시작하면서 가장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삶을 살기 위해서 나는 결혼이라는 제도를 택하게 될 것인지, 그리고 결혼을 택하게 된다면 이후 출산을 택하게 될 것인지에 대한 수많은 갈림길에 놓여져 있는 것은 분명하다.
사실 이들의 솔직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서포터의 목적으로 모임을 생성할 경우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일단 각종 법령과 조례를 만드는 각 지자체의 의회들과 연관시켜서 지금 2030들이 모두 자신에게 필요한 출산 관련 법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솔직한 의견을 듣는 것이 가장 우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아야 한다. 그들의 공통된 점은 바로 나이대가 2030이라는 것이지만, 미혼인 상태의 참여자, 기혼이지만 아이는 없는 참여자, 기혼이며 아이 출산 경험이 있는 참여자, 육아의 경험이 있는 참여자들이 각각의 집단 그리고 자신의 상황에서 내는 의견들은 정말 실로 다양할 것이다.
이렇게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의견을 내는 과정에서 각 집단에 소속되어 있던 모든 젊은이들이 사실 자기와 다른 상황에 소속되어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이해하고 또 수용할 수도 있으며, 그에 대해서 토론을 진행할 수도 있다. 자신의 기준에서 옳고 그름, 그리고 다름을 인정하는 과정을 배우게 된다는 것이다. 어디에서도 잘 들을 수 없었던 현실 육아와 출산의 문제, 그리고 그들이 출산을 주저하게 만드는 모든 현실 상황을 이미 겪어본 육아를 하는 2030세대들의 의견들이 모두 소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각 분야에서 내는 여러 의견들 중에서도 가장 실효성 있으며 실현 가능한 것을 하나 채택하여 국회에서 활동하는 의원들과 관련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목표이겠지만, 여기서 모두 나왔던 것을 모아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은 꼭 사용되어야 하며 사용해야만 한다.
현재 2030세대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변화 시대에서 청소년 그리고 청년기를 보내며 그 혼돈 속 중점에 있던 세대들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보다도 디지털 문화에 밝으며, 그리고 디지털 시대 중점에서 살아가고 있는 세대들이다. 온라인 플랫폼은 그들에게는 한 문화이며 뗄 수 없는 분야인 것이다. 이렇기에 그들이 가장 친숙하다고 느낄 수 있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토론과 홍보 역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토론이 올바르게 된다면 출산과 육아를 오해하고 있었던 미혼 및 기혼 세대들에겐 진정한 상황과 현실을 알려줄 수 있고, 왜 그들이 출산을 택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서 기혼 세대들은 그들이 겪은 내용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조언을 해줄 수 있다. 마냥 출산에 대해서 강요하는 것이 아닌, 그들의 상황에 맞추어 익숙하게 만들며 그들의 생각을 변화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또한 생각을 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활발한 소통을 시의회 혹은 도의회 활동 기간 동안 하며 여기서 나온 아이디어 중 하나를 채택, 법령으로 발전시키는 기획 회의 역시 진행한다. 이러한 상위 기관에서 정해진 내용을 바탕으로 국회 및 정부에 정말 실무에 나가 있는 2030이 출산에 대한 어떤 실질적인 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정리한 이 자료는 비단 실제로 법으로 채택되지 않더라도, 그에 관련하여 저출산 정책을 수렴, 재정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참고 문헌]
- 대한민국 통계청, (2020), KIOSK 국가통계지표, 출처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1A21&checkFlag=N
- 대한민국 통계청, 통계표준용어, http://kostat.go.kr/
-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2020), 2020 청소년 종합 실태조사, http://csky.gallup.co.kr/
추천자료
책임운영기관의 운영현황과 개선과제
우리나라 재정적자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공공부문][노동조합][비정규직][구조조정][노사관계][자체감사]공공부문의 개념, 공공부문의...
[공공부문][비정규직][간접고용][구조조종][노동운동][내부통제제도][자체감사]공공부문의 비...
행정정보공동활용(행정정보공동이용) 영역과 전제조건, 행정정보공동활용(행정정보공동이용) ...
시사경제이슈_삽질노믹스 무엇이 문제인가?
자활후견기관의 예산규모, 자활후견기관의 사업, 자활후견기관의 복지간병인사업단, 자활후견...
노숙자
(★우수★) Of the father, By the father, For the father < 아이들의 눈높이에 도전하라 >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