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해제
2) 판본현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해제
2) 판본현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의보감』이 일본에서 꾸준히 애용되어 왔다는 점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로서 의학사, 문화사적인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된다.
핵심어
동의보감(東醫寶鑑), 구암(龜巖), 장서인(藏書印)
참고문헌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허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3152(각주 3~7)
2) 판본현황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에 따르면 원서인 동의보감을 정정하여 서술된 정정동의보감은 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한 전국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분권을 포함하여 총 65건의 판본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다음은 정정동의보감이 소장되어 있는 소장기관의 목록이다.
[영남대학교 도서관,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춘호재, 국립중앙도서관, 경기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수탁),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日本東洋文庫, 충남대학교 도서관, 용인대학교 중앙도서관,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안동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경희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인하대학교 정석학술정보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사우당종택, 고려대학교 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부산대학교 도서관, 원광대학교 도서관]
3. 결론
고서는 과거 선조들의 생활사를 비롯한 역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또한 과거의 기록물들을 보면 문자 표기가 통일되어 있지 않거나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은 문서들도 다수 존재한다. 본 과제물에서 다룬 정정동의보감 역시 원서인 동의보감에서도 해제 작업 과정에서 이러한 내용들이 드러났기 때문에 원서와 본질적인 내용은 같으나 표기 문자를 통일하고 교정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고서 해제가 가지는 의의와 같이 해제를 통해 역사적으로 가치있고 희귀한 문서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해제”,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2021.06.01)
유명진, “잠들었던 고서, 세상 빛 본다”, 이대학보, 2007.03.24, http://inews.ewha.ac.kr
“허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3152, (2021.06.01)
핵심어
동의보감(東醫寶鑑), 구암(龜巖), 장서인(藏書印)
참고문헌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허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3152(각주 3~7)
2) 판본현황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에 따르면 원서인 동의보감을 정정하여 서술된 정정동의보감은 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한 전국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분권을 포함하여 총 65건의 판본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다음은 정정동의보감이 소장되어 있는 소장기관의 목록이다.
[영남대학교 도서관,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춘호재, 국립중앙도서관, 경기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수탁),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日本東洋文庫, 충남대학교 도서관, 용인대학교 중앙도서관,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안동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경희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인하대학교 정석학술정보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사우당종택, 고려대학교 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부산대학교 도서관, 원광대학교 도서관]
3. 결론
고서는 과거 선조들의 생활사를 비롯한 역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또한 과거의 기록물들을 보면 문자 표기가 통일되어 있지 않거나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은 문서들도 다수 존재한다. 본 과제물에서 다룬 정정동의보감 역시 원서인 동의보감에서도 해제 작업 과정에서 이러한 내용들이 드러났기 때문에 원서와 본질적인 내용은 같으나 표기 문자를 통일하고 교정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고서 해제가 가지는 의의와 같이 해제를 통해 역사적으로 가치있고 희귀한 문서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해제”,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2021.06.01)
유명진, “잠들었던 고서, 세상 빛 본다”, 이대학보, 2007.03.24, http://inews.ewha.ac.kr
“허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3152, (2021.06.01)
추천자료
실버산업을 각 분야별로 분류하여 우리나라 실버산업 주거관련분야의 개념과 현황, 문제점을 ...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목적, 정신보건사회사업의 발달, 정신보건정책의 변화, 정신보건사회사업...
[간행물][정기간행물][통계간행물][구술간행물][고서목록집]간행물의 등록 법률 시행령, 정기...
[고문서, 고서, 기술항목, 거창민란, 우반동]고문서(고서)와 기술항목, 고문서(고서)와 거창...
[고서(고문서), 사부분류법, 인출기록, 인출연도, 디지털화]고서(고문서)의 현황, 고서(고문...
[서지, 서지 기재방법, 서지와 정보시스템, 서지와 서지통정, 서지 개선 과제, 정보시스템, ...
[서지학, 서지학 정의, 서지학 고전도서, 서지학 범위, 서지학 기재형식, 서지학 제고 방향]...
여성복지_여성복지필요성, 한국여성행정제도, 여성행정조직변천, 여성복지현황, 여성복지과제
해방이후 한국의 사회복지발달 과정을 집권 정부 시기별로 구분하여 핵심내용을 제시하고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