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
(2) 조선 후기 미술의 특징
(3) 진경산수화
(4) 풍속화
(5) 문화의 융합
(6) 남종화의 유행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
(2) 조선 후기 미술의 특징
(3) 진경산수화
(4) 풍속화
(5) 문화의 융합
(6) 남종화의 유행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법도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왕실의 일을 기록함에서도 당시 일반 서민들의 문화라고 할 수 있는 풍속화적인 기법, 서양의 기법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문화의 융합이라고 불릴 만하다.
(6) 남종화의 유행
조선 후기의 끝자락에 김정희와 김정희의 영향을 크게 받은 추사파의 등장으로 진경산수와 풍속화가 점차 인기를 잃어가고 일찍이 전래하였던 남종화가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김정희 등은 남종화법을 이용하여 기틀을 다져놓았고 이들의 영향을 받은 후대의 화가들이 화풍을 발전시켜 조선 후기에서 뚜렷하고 특징적인 화풍을 내놓았는데 이러한 화풍은 한국의 근대 미술과 현대 미술에도 영향을 미칠 만큼 큰 발자취를 남겼다고 평가받는다. 다만 조선 후기의 토속적인 진경산수나 풍속화가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중국적인 성격을 많이 띠는 남종화의 유행은 당시 실학과 같은 실질적인 여러 학문이 유행하였지만 결국 나라의 체질을 본질적으로 개선하지 못하여 멸망하게 되는 조선의 사회적인 모습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도 바라볼 수 있다.
결론
조선의 후기는 큰 전란을 거치며 혼란한 시기인 동시에,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역동적인 사회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전쟁과 같은 여러 역사적인 사건으로 민족적인 의식이 고취되고 신분제의 동요 등이 발생하여 사회 구조가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여러 문화가 전반적으로 영향을 받았는데, 그중에서도 조선의 미술 분야는 특히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양반과 같은 고위 계층들의 전유물로 향유되던 미술 분야의 울타리가 점차 넓어져 일반 서민들이 즐길 수 있는 수준으로까지 커졌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로 인하여 유학과 중국의 영향으로 이상만을 추구하던 것에서 벗어나 실제로 볼 수 있고 실생활에 밀접하며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을 추구하는 서민들의 문화도 미술로서 널리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지금까지 남아있는 당시의 미술 작품들을 통하여 당대의 모습을 상세히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과거와 비교하여 사회적으로 개방되어 여러 문화가 서로 융합하며 새롭고 가치 있는 문화가 탄생하던 조선 후기의 사회상과 맞물려서 미술적으로도 여러 기법이 함께 사용되며 예술적인 가치를 점차 높여가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한편, 조선 후기의 사회적 변화는 여러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근본적인 한계를 탈피하지 못함으로써 근대 국가로 발전하지 못하고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버리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오랜 세월 동안 사회 지도층의 국가 경영 철학으로 이용되던 유학의 고질적인 병폐와 긍정적인 사회 변화를 가져올 정도의 충분한 원동력을 잃어버려 적응하지 못한 것이다. 혼란하였지만 동시에 역동적이던 조선 후기의 사회 변화와 맞물려 긍정적으로 변화하던 미술 역시 더 변화하지 못하고 과거에 매몰된 모습을 일부 보여주기도 하였다.
본문은 이처럼 사회적인 변화가 조선의 후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조선 후기 미술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사회적인 변화와 미술 작품은 서로 영향을 끊임없이 주고받으며 변화하는데 본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시대적 배경과 미술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 콘텐츠 진흥원 조선아동교육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4&cp_code=cp0438&index_id=cp04380346&content_id=cp043803460001&search_left_menu=2
(6) 남종화의 유행
조선 후기의 끝자락에 김정희와 김정희의 영향을 크게 받은 추사파의 등장으로 진경산수와 풍속화가 점차 인기를 잃어가고 일찍이 전래하였던 남종화가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김정희 등은 남종화법을 이용하여 기틀을 다져놓았고 이들의 영향을 받은 후대의 화가들이 화풍을 발전시켜 조선 후기에서 뚜렷하고 특징적인 화풍을 내놓았는데 이러한 화풍은 한국의 근대 미술과 현대 미술에도 영향을 미칠 만큼 큰 발자취를 남겼다고 평가받는다. 다만 조선 후기의 토속적인 진경산수나 풍속화가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중국적인 성격을 많이 띠는 남종화의 유행은 당시 실학과 같은 실질적인 여러 학문이 유행하였지만 결국 나라의 체질을 본질적으로 개선하지 못하여 멸망하게 되는 조선의 사회적인 모습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도 바라볼 수 있다.
결론
조선의 후기는 큰 전란을 거치며 혼란한 시기인 동시에,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역동적인 사회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전쟁과 같은 여러 역사적인 사건으로 민족적인 의식이 고취되고 신분제의 동요 등이 발생하여 사회 구조가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여러 문화가 전반적으로 영향을 받았는데, 그중에서도 조선의 미술 분야는 특히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양반과 같은 고위 계층들의 전유물로 향유되던 미술 분야의 울타리가 점차 넓어져 일반 서민들이 즐길 수 있는 수준으로까지 커졌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로 인하여 유학과 중국의 영향으로 이상만을 추구하던 것에서 벗어나 실제로 볼 수 있고 실생활에 밀접하며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을 추구하는 서민들의 문화도 미술로서 널리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지금까지 남아있는 당시의 미술 작품들을 통하여 당대의 모습을 상세히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과거와 비교하여 사회적으로 개방되어 여러 문화가 서로 융합하며 새롭고 가치 있는 문화가 탄생하던 조선 후기의 사회상과 맞물려서 미술적으로도 여러 기법이 함께 사용되며 예술적인 가치를 점차 높여가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한편, 조선 후기의 사회적 변화는 여러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근본적인 한계를 탈피하지 못함으로써 근대 국가로 발전하지 못하고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버리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오랜 세월 동안 사회 지도층의 국가 경영 철학으로 이용되던 유학의 고질적인 병폐와 긍정적인 사회 변화를 가져올 정도의 충분한 원동력을 잃어버려 적응하지 못한 것이다. 혼란하였지만 동시에 역동적이던 조선 후기의 사회 변화와 맞물려 긍정적으로 변화하던 미술 역시 더 변화하지 못하고 과거에 매몰된 모습을 일부 보여주기도 하였다.
본문은 이처럼 사회적인 변화가 조선의 후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조선 후기 미술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사회적인 변화와 미술 작품은 서로 영향을 끊임없이 주고받으며 변화하는데 본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시대적 배경과 미술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 콘텐츠 진흥원 조선아동교육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4&cp_code=cp0438&index_id=cp04380346&content_id=cp043803460001&search_left_menu=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