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을 인용하여 나의 부모님이 대가족(조부모, 외조부모 )에서의 경험을 나에게 투사한 것이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2. 그 결과 내 안에 어떤 불안이 형성되었는지, 나의 감정반사반응은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3. 나와 삼각관계를 이루고 있는 가족은 누구인지, 탈삼각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기술하시오.
2. 그 결과 내 안에 어떤 불안이 형성되었는지, 나의 감정반사반응은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3. 나와 삼각관계를 이루고 있는 가족은 누구인지, 탈삼각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기술하시오.
본문내용
이루고 있는 사람은 나의 동생이다.
나의 동생은 이제 스스로 책임감을 가지고 무언가를 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다고 여겨, 나 혼자 하던 집안일을 도와주고자 하고 부모님께서 나에게 과도한 책임감을 부여하는 일을 요구할 때, 이를 나눠서 하고자 노력한다. 물론 나의 동생으로 인해 나는 분노도 쉽게 사그라들고 책임감으로 인한 부담감을 느끼는 빈도도 줄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내 동생과 형성된 삼각관계로 인해 내 동생도 책임이라는 부담감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한 분노가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 동생이 나의 예전 모습과 비슷하게 ‘무언가를 하면 안 돼?’라고 부정적인 질문을 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삼각화를 벗어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생각해 보았다.
우선 가족 간의 규칙을 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느꼈다. 내가 모든 일을 도맡아 하게 된 이유에는 부모님께서 맞벌이 후 힘들기 때문에 집안일을 당신의 자녀에게 맡기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첫째는 바빠서 힘들 것이라는 이유와 동생은 어리기 때문이라는 언급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두가 놀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부모님께서도 맞벌이를 하느라 힘들지라도 조금의 집안일을 맡아서 해야 한다고 생각되며, 나의 남매들도 모두 나와 함께 일을 나눠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그렇게 규칙을 정하고 집안일을 하게 된다면 누군가가 조금 더 하게 되더라도 막중한 책임을 느낄 일은 없게 될 것이고, 나는 내 동생에게 의지하는 빈도가 줄어들며, 그리고 동생은 과도한 책임을 느끼게 되는 빈도가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간단한 가족 상담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현재 우리 가족은 내가 겪고 있는 감정을 알지도, 이해하지도 못한다. 물론 내 동생 또한 자신이 나와 비슷하게 변해간다는 것을 아직 인지 못하는 듯하다. 그렇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내 동생으로의 삼각화를 깨뜨리기 위해서는 가족 상담을 통해 가족 구성원이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서로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상호, (2015).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의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cd0658166a864923ffe0bdc3ef48d419
나의 동생은 이제 스스로 책임감을 가지고 무언가를 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다고 여겨, 나 혼자 하던 집안일을 도와주고자 하고 부모님께서 나에게 과도한 책임감을 부여하는 일을 요구할 때, 이를 나눠서 하고자 노력한다. 물론 나의 동생으로 인해 나는 분노도 쉽게 사그라들고 책임감으로 인한 부담감을 느끼는 빈도도 줄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내 동생과 형성된 삼각관계로 인해 내 동생도 책임이라는 부담감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한 분노가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 동생이 나의 예전 모습과 비슷하게 ‘무언가를 하면 안 돼?’라고 부정적인 질문을 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삼각화를 벗어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생각해 보았다.
우선 가족 간의 규칙을 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느꼈다. 내가 모든 일을 도맡아 하게 된 이유에는 부모님께서 맞벌이 후 힘들기 때문에 집안일을 당신의 자녀에게 맡기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첫째는 바빠서 힘들 것이라는 이유와 동생은 어리기 때문이라는 언급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두가 놀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부모님께서도 맞벌이를 하느라 힘들지라도 조금의 집안일을 맡아서 해야 한다고 생각되며, 나의 남매들도 모두 나와 함께 일을 나눠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그렇게 규칙을 정하고 집안일을 하게 된다면 누군가가 조금 더 하게 되더라도 막중한 책임을 느낄 일은 없게 될 것이고, 나는 내 동생에게 의지하는 빈도가 줄어들며, 그리고 동생은 과도한 책임을 느끼게 되는 빈도가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간단한 가족 상담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현재 우리 가족은 내가 겪고 있는 감정을 알지도, 이해하지도 못한다. 물론 내 동생 또한 자신이 나와 비슷하게 변해간다는 것을 아직 인지 못하는 듯하다. 그렇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내 동생으로의 삼각화를 깨뜨리기 위해서는 가족 상담을 통해 가족 구성원이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서로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상호, (2015).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의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cd0658166a864923ffe0bdc3ef48d419
추천자료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으로 본 나의가족
[가족치료]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원리및사례
★추천자료★[보웬(Murray Bowen)의 가족 체계이론] 보웬의 가족치료, 보웬의 가족 체계이론, ...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 사례개입(bowen, 보웬가족치료, 가족치료모델사례, 자아분화척도, 탈...
가족상담및치료)보웬 가족치료에서 나의 가계도를 작성하여 부모님의 핵가족 정서과정(정서적...
부모-자녀 간 미분화로 인해 갈등을 겪는 소설 드라마 영화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갈등을 중심...
[가족상담및치료]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개념들을 설명하고, 각 개념에...
[2020 청소년과 부모] 1.가족의 문제가 대를 이어 전수되는 현상에 대해 보웬의 다세대 가족...
[교양][22년][심리학에게묻다]중간과제물_다세대가족치료의 주요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