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학영어
[A. Unit 1. The Canterville Ghost]
1. 1과의 <Keywords and Phrases>에서 다루어진 단어와 구문 중에서 총 10개를 고른다.
2. 각각의 단어나 구문을 활용한 새로운 문장 10개를 영작한다.(자신의 힘으로 영작할 것)
3. 각각의 문장 아랫줄에 우리말 해석을 첨부한다.
4. 주어와 동사가 있는 총 10개의 문장에서 본인이 활용한 단어와 구문은 밑줄을 친다.
(The chosen words and phrases from the textbook should be underlined in a sentence.)
[B. Unit 10. Witches]
다음에 주어진 지문을 읽고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부분, 혹은 문맥상 단어의 쓰임이 자연스럽지 않은 부분을 찾아 적고 올바르게(혹은 자연스러운 단어로) 고친 후, 이 부분이 왜 올바르지 않은지, 혹은 자연스럽지 않은지 설명한다. 틀리거나 어색한 부분을 모두 찾아 고쳐야 하고, 각각에 대해 왜 틀렸는지, 혹은 왜 자연스럽지 않은지에 대한 설명을 붙여야 한다.
[A. Unit 1. The Canterville Ghost]
1. 1과의 <Keywords and Phrases>에서 다루어진 단어와 구문 중에서 총 10개를 고른다.
2. 각각의 단어나 구문을 활용한 새로운 문장 10개를 영작한다.(자신의 힘으로 영작할 것)
3. 각각의 문장 아랫줄에 우리말 해석을 첨부한다.
4. 주어와 동사가 있는 총 10개의 문장에서 본인이 활용한 단어와 구문은 밑줄을 친다.
(The chosen words and phrases from the textbook should be underlined in a sentence.)
[B. Unit 10. Witches]
다음에 주어진 지문을 읽고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부분, 혹은 문맥상 단어의 쓰임이 자연스럽지 않은 부분을 찾아 적고 올바르게(혹은 자연스러운 단어로) 고친 후, 이 부분이 왜 올바르지 않은지, 혹은 자연스럽지 않은지 설명한다. 틀리거나 어색한 부분을 모두 찾아 고쳐야 하고, 각각에 대해 왜 틀렸는지, 혹은 왜 자연스럽지 않은지에 대한 설명을 붙여야 한다.
본문내용
시제 동사원형이 아닌 과거형으로 써야한다.
8. convicting → convicted
해설: 능동적인 의미로 쓰이는 단어 ‘convict’ 를 ‘유죄를 받은 마녀’라는 뜻으로 문장을 만드려면 과거분사 형태의 단어로 명사를 꾸며주어야 의미를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9. was hang → was hanged
해설: 수동태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be동사 뒤에 과거분사 형식의 단어가 배치되어야 하므로 위와 같이 수정되는 것이 맞다.
10. child → children
해설: ‘150명의 남성들, 여성들, 그리고 아이들’은 복수이므로 men, women과 같이 복수형태의 단어인 children으로 수정되어야한다.
11. accusing → accused
해설: 10번에서 수정된 수동태 문장과 함께 쓰인 동사이다. 그러므로 accused와 같이 과거분사로 수정되어야한다.
12. month → months
해설: several은 7~8개 정도의 수량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복수이기 때문에 함께 따라오는 명사가복수형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13. festivity → the hysteria
해설: 1692년 세일럼 마녀재판은 festivity와 같이 신나고 즐거운 의미를 가진 단어로 표현되기에 거리가 먼 사건이므로 반대 의미의 단어로 수정되어야 한다.
14. had begin → had begun
해설: 과거에 일어난 사건에 대해 설명하는 문장으로 과거완료 시제의 문장이 되어야한다.had이후에는 동사원형 현재형이 아닌 과거분사 형태의 단어로 수정되는 것이 맞다.
15. confiscated → granted
해설: 본 문장에서는 마녀재판에서 이루어진 판결들을 무효화 시키며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에게 배상금을 지불하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배상금을 압수한다는 의미의 confiscated가 아닌, 배상금을 지불한다는 의미인 동사로 수정되어야 한다.
16. happiness → bitterness
해설: 1962년 세일럼 마녀재판은 비극적인 실제 사건이다. 행복함이라는 뜻의 happiness 문맥상 맞지 않는다. ‘행복함’의 반의어인 단어가 비극적인 사건에 어울리는 문장이다.
17. endear → endure해설: ‘가치가 있는’이라는 의미를 가진 endear는 비극적인사건을 설명하기에 부적합한 단어이다. ‘비극적인 사건으로 부터 얻은 고통이 지속되다’라는 문장을 만들기 위해 endure라는 단어가 적합하다.
8. convicting → convicted
해설: 능동적인 의미로 쓰이는 단어 ‘convict’ 를 ‘유죄를 받은 마녀’라는 뜻으로 문장을 만드려면 과거분사 형태의 단어로 명사를 꾸며주어야 의미를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9. was hang → was hanged
해설: 수동태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be동사 뒤에 과거분사 형식의 단어가 배치되어야 하므로 위와 같이 수정되는 것이 맞다.
10. child → children
해설: ‘150명의 남성들, 여성들, 그리고 아이들’은 복수이므로 men, women과 같이 복수형태의 단어인 children으로 수정되어야한다.
11. accusing → accused
해설: 10번에서 수정된 수동태 문장과 함께 쓰인 동사이다. 그러므로 accused와 같이 과거분사로 수정되어야한다.
12. month → months
해설: several은 7~8개 정도의 수량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복수이기 때문에 함께 따라오는 명사가복수형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13. festivity → the hysteria
해설: 1692년 세일럼 마녀재판은 festivity와 같이 신나고 즐거운 의미를 가진 단어로 표현되기에 거리가 먼 사건이므로 반대 의미의 단어로 수정되어야 한다.
14. had begin → had begun
해설: 과거에 일어난 사건에 대해 설명하는 문장으로 과거완료 시제의 문장이 되어야한다.had이후에는 동사원형 현재형이 아닌 과거분사 형태의 단어로 수정되는 것이 맞다.
15. confiscated → granted
해설: 본 문장에서는 마녀재판에서 이루어진 판결들을 무효화 시키며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에게 배상금을 지불하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배상금을 압수한다는 의미의 confiscated가 아닌, 배상금을 지불한다는 의미인 동사로 수정되어야 한다.
16. happiness → bitterness
해설: 1962년 세일럼 마녀재판은 비극적인 실제 사건이다. 행복함이라는 뜻의 happiness 문맥상 맞지 않는다. ‘행복함’의 반의어인 단어가 비극적인 사건에 어울리는 문장이다.
17. endear → endure해설: ‘가치가 있는’이라는 의미를 가진 endear는 비극적인사건을 설명하기에 부적합한 단어이다. ‘비극적인 사건으로 부터 얻은 고통이 지속되다’라는 문장을 만들기 위해 endure라는 단어가 적합하다.
추천자료
[과외]1.부가의문문,수여동사,강조,can,생략표현01
2017년 2학기 대학영어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8년 하계계절시험 대학영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9년 대학영어 하계계절시험 핵심체크
2019년 2학기 대학영어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20년 대학영어 하계계절시험 핵심체크
2021년 대학영어 하계계절시험 핵심체크
2021년 2학기 대학영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Why I Want a Husband)
A Unit 1 The Canterville Ghost, C Unit 15 Why I Want a Wife는 제목만 보면 글쓴이가 남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