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논어란?
2) 논어 해석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논어란?
2) 논어 해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에서 효의 의미가 진심으로 부모에 대한 사랑과 공경, 공손한 태도로 봉양하는 것으로 부모를 공경하는 마음의 중요성은 지금도 강조되고 있으며, 부모나 웃어른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마음 깊숙한 곳에서 우러나오기보다는 표현하는 정도로 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정(爲政)의 5 子曰,“生事之以禮,死葬之以禮,祭之以禮.”에서는 공자가 ‘부모가 살아계실 때 예로써 섬기며, 돌아가시면 예로써 장사지내며 예로써 제사를 모셔야 한다’라는 의미로 효가 진심으로 사랑하며 공경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부모님이 살아계실 때만이 아니라 돌아가시더라도 예를 바탕으로 부모님을 모셔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학이(學而)의 2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爲仁之本與!의 경우 유자가 말하길 ‘그 사람됨은 효성스러우며 공순하면서 윗사람을 거스르기 좋아하는 사람이 드물고, 윗사람을 거스르기 좋아하지 않으면서 혼란을 일으키기 좋아하는 사람은 있을 수 없다는 것으로 군자는 근본에 대해 힘써야 하는 것이므로, 근본이 서야 올바른 길이 생기고, 효성과 공순함은 어짊을 일구하는 근본적인 것이다’ 라는 것으로 전통사회의 사고에 따라 가정에서 효도할 수 있는 사람이 국가적인 윤리도 지킬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가정에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은혜를 느끼면서 그에 대한 보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사회 국가 생활에서도 타인에 대한 상호 배려의 정신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학이(學而)의 4 爲人謀而不忠乎?는 ‘충은 사람을 위해 충성스럽지 못함을 없는가?’라고 말하며 타인과의 교류를 나타내는 것이다. 사람이 자기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스스로 척도를 삼는다는 원리로 충을 남을 위해서, 전체적으로는 사람을 위해서 일하는 것에서 진실됨과 진정성과 진심을 다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우리가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감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적 동물로서 삶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만큼 타인에 대해 진실되고 진정성있는 태도로 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결론
논어에서는 다양한 인성 덕목을 통해 우리가 갖추어야 할 인성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와 전통사회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내용은 큰 차이가 없으며 본질은 같지만 시대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요소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인간의 본성인 인성은 자연적인 것이므로 스스로 안에서 일어나며 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도 나 자신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근본을 바로 잡는 삶은 내재된 현대를 넘어서 인류가 현대사회 문제에 대한 자각과 현대를 넘어서 추구하는 사회상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보며, 이는 논어를 통해 우리가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삶의 근본에 대한 성찰은 간과하고 현대적 세계관이 지향하는 가치관만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삶을 지향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삶의 근본을 바로 잡고자 하는 것이다.
논어를 통해 우리는 삶의 근본은 배움에서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일상 매 순간이 배움의 연속이며, 배우고 익히는 것에서 삶의 기쁨을 찾는 것이 근본에 충실한 삶이 될 수 있으며, 결국 우리의 행동의 양상이나 원인은 사람됨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우리가 진정으로 소중하게 여겨야 할 것에 대해 가볍게 여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삶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신의 본성에 대한 상실과 자신의 내면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논어를 통해 이상적인 탈현대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인류의 공존과 행복을 위해서 추구해야 할 삶에 대한 지향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삶에 대해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깊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4. 참고문헌
1) 이서영. \"논어의 인성 덕목 관점에서 본 누리과정 인성 요소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서울
http://www.riss.kr/link?id=T13054144
2) 이현지. \"논어와 탈현대적인 삶의 설계.\" 사회사상과 문화 20.4 (2017): 43-64.
http://www.riss.kr/link?id=A104529145
위정(爲政)의 5 子曰,“生事之以禮,死葬之以禮,祭之以禮.”에서는 공자가 ‘부모가 살아계실 때 예로써 섬기며, 돌아가시면 예로써 장사지내며 예로써 제사를 모셔야 한다’라는 의미로 효가 진심으로 사랑하며 공경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부모님이 살아계실 때만이 아니라 돌아가시더라도 예를 바탕으로 부모님을 모셔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학이(學而)의 2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爲仁之本與!의 경우 유자가 말하길 ‘그 사람됨은 효성스러우며 공순하면서 윗사람을 거스르기 좋아하는 사람이 드물고, 윗사람을 거스르기 좋아하지 않으면서 혼란을 일으키기 좋아하는 사람은 있을 수 없다는 것으로 군자는 근본에 대해 힘써야 하는 것이므로, 근본이 서야 올바른 길이 생기고, 효성과 공순함은 어짊을 일구하는 근본적인 것이다’ 라는 것으로 전통사회의 사고에 따라 가정에서 효도할 수 있는 사람이 국가적인 윤리도 지킬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가정에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은혜를 느끼면서 그에 대한 보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사회 국가 생활에서도 타인에 대한 상호 배려의 정신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학이(學而)의 4 爲人謀而不忠乎?는 ‘충은 사람을 위해 충성스럽지 못함을 없는가?’라고 말하며 타인과의 교류를 나타내는 것이다. 사람이 자기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스스로 척도를 삼는다는 원리로 충을 남을 위해서, 전체적으로는 사람을 위해서 일하는 것에서 진실됨과 진정성과 진심을 다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우리가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감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적 동물로서 삶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만큼 타인에 대해 진실되고 진정성있는 태도로 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결론
논어에서는 다양한 인성 덕목을 통해 우리가 갖추어야 할 인성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와 전통사회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내용은 큰 차이가 없으며 본질은 같지만 시대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요소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인간의 본성인 인성은 자연적인 것이므로 스스로 안에서 일어나며 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도 나 자신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근본을 바로 잡는 삶은 내재된 현대를 넘어서 인류가 현대사회 문제에 대한 자각과 현대를 넘어서 추구하는 사회상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보며, 이는 논어를 통해 우리가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삶의 근본에 대한 성찰은 간과하고 현대적 세계관이 지향하는 가치관만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삶을 지향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삶의 근본을 바로 잡고자 하는 것이다.
논어를 통해 우리는 삶의 근본은 배움에서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일상 매 순간이 배움의 연속이며, 배우고 익히는 것에서 삶의 기쁨을 찾는 것이 근본에 충실한 삶이 될 수 있으며, 결국 우리의 행동의 양상이나 원인은 사람됨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우리가 진정으로 소중하게 여겨야 할 것에 대해 가볍게 여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삶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신의 본성에 대한 상실과 자신의 내면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논어를 통해 이상적인 탈현대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인류의 공존과 행복을 위해서 추구해야 할 삶에 대한 지향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삶에 대해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깊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4. 참고문헌
1) 이서영. \"논어의 인성 덕목 관점에서 본 누리과정 인성 요소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서울
http://www.riss.kr/link?id=T13054144
2) 이현지. \"논어와 탈현대적인 삶의 설계.\" 사회사상과 문화 20.4 (2017): 43-64.
http://www.riss.kr/link?id=A104529145
추천자료
[독서감상문][독서감상문 지도][독후감][독후감 지도]독서감상문과 독서감상문 지도(독서감상...
[독후감]독서감상문(독후감)의 개념과 중요성, 독서감상문(독후감)의 장점, 독서감상문(독후...
[독후감]독서감상문(독후감)의 정의와 장점, 독서감상문(독후감)의 중요성, 독서감상문(독후...
성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인성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일상생활교육 학습자료(교수자료)...
독서흥미의 발달단계
독후감(독서감상문, 서평)의 정의, 독후감(독서감상문, 서평) 필요성, 독후감(독서감상문, 서...
[원고지][원고용지]원고지(원고용지)의 띄어쓰기, 원고지(원고용지)의 장점, 원고지(원고용지...
원고지(원고용지) 문장부호, 교정부호, 원고지(원고용지)와 논술,글짓기, 원고지(원고용지)와...
조영석 의 이젠 책 쓰기다를 읽고 독서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