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언어의 역사에 주목.
20세기 linguistique synchronique 우세/ 어떤 한 시점에서의 언어의 모습에 주목.
여러 다른 학과와 연관
과거의 모습을 확인한다 해서 현재 언어의 의미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ex) rien res 어떤 것(물건)
brouette수레(바퀴1~4) bi-rota 두 개의 바퀴
philologie 문헌학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문자의 기원연구.
2. lingusitique compare 비교 언어학
diachrinique + stnchronique
처음에는 공시적으로 연구하고, 시간의 흐름을 연구
typologie morphologique des langues 언어 형태 유형
langues
synthetiques
종합어
languis
agglutinantes
교착어(첨가어)
접사의 고유한 기능
한국어
langues
flexionnelles
굴절어
가변적인 문법
유럽 언어
langues isolante
고립어
변함이 없음
중국어
typologie syntaxique des langues 언어 통사 유형
SOV je gateau mange
SVO je mange gateau
VSO mange je gateau 고전 아랍어, 섬지역 엘트어, 하와이어
VOS - mange gateau je
OSV
OVS
typologie generative des langues 언어의 기원 유형
문헌자료가 남아있는 언어에 대해 언어의 기원을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문헌자료가 없어 구두로 전해지는 언어 특히 아프리카의 언어는 그 기원을 정확히 확정할 수없다. 인간의 언어역사는 5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지만 구어는 400만년을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현재의 언어모습과 초기 모습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프랑스어 라틴어 (로만어 계통) 계열
영어 게르만어 계통
3. diachronie externe du francais 프랑스어의 외적인 통시태
제1단계 0~300년 로마제국 로마제국의 라틴어 사용 라틴어가 여러갈래로 나뉘게 됨.
약 10개정도의 라틴어로 분화. 정복자 (라틴어) 실생활 (켈트 어)기층어가 라틴어에 영향.
제2단계 500년~1500년 게르만족 침입과 봉건제국
게르만족이 로마를 점령했지만 언어는 오히려 게르만족이 정복당했다.
중세시대 봉건제도의 영향으로 지방에 따라 언어가 세분화(방언)
제3단계 1500년~1700년 르네상스 시기
봉건제도가 약화되고 왕의 권력이 높아지면서 높은 정치적 군사적 거점지가 지배적인 언어가 되고 나머지는 사투리가 됨. 언어와 사투리는 오로지 사회-역사적 요인에 토대.
리슐리외 추기경의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프랑스 혁명 이후 남아 언어 연구를 위한 아카데미 역할을 하게됨. 언어의 순수성 강조.
4단계 식민지
피진어 식민지배의 흔적으로 모국어가 아니지만 혼합언어인 피진어를 말한다.
주로 북아프리카에서 발견
substrat 하층어
superstrat 상층어
adstrats 방층어 (지배관계와 관계없이 일어나는 언어의 차용)
ex) play back(f) = lip singing(a)
la sociolinguistiques 사회 언어학
언어 변화와 진화의 사회적 요인을 연구
언어 변이를 결정하는 외부요소에 중점
temps
espace
classe sociale
사회계층
registre
d’interaction
상호작용
chronolecte
현대언어변이
regiolecte
지역언어변이
sociolecte
ldiolecte
개인언어변이
1900년대와
1990년대의 차이
벨기에 사람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병행
백정, 정치가, 귀족
담화, 독백, 진술
20세기 linguistique synchronique 우세/ 어떤 한 시점에서의 언어의 모습에 주목.
여러 다른 학과와 연관
과거의 모습을 확인한다 해서 현재 언어의 의미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ex) rien res 어떤 것(물건)
brouette수레(바퀴1~4) bi-rota 두 개의 바퀴
philologie 문헌학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문자의 기원연구.
2. lingusitique compare 비교 언어학
diachrinique + stnchronique
처음에는 공시적으로 연구하고, 시간의 흐름을 연구
typologie morphologique des langues 언어 형태 유형
langues
synthetiques
종합어
languis
agglutinantes
교착어(첨가어)
접사의 고유한 기능
한국어
langues
flexionnelles
굴절어
가변적인 문법
유럽 언어
langues isolante
고립어
변함이 없음
중국어
typologie syntaxique des langues 언어 통사 유형
SOV je gateau mange
SVO je mange gateau
VSO mange je gateau 고전 아랍어, 섬지역 엘트어, 하와이어
VOS - mange gateau je
OSV
OVS
typologie generative des langues 언어의 기원 유형
문헌자료가 남아있는 언어에 대해 언어의 기원을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문헌자료가 없어 구두로 전해지는 언어 특히 아프리카의 언어는 그 기원을 정확히 확정할 수없다. 인간의 언어역사는 5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지만 구어는 400만년을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현재의 언어모습과 초기 모습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프랑스어 라틴어 (로만어 계통) 계열
영어 게르만어 계통
3. diachronie externe du francais 프랑스어의 외적인 통시태
제1단계 0~300년 로마제국 로마제국의 라틴어 사용 라틴어가 여러갈래로 나뉘게 됨.
약 10개정도의 라틴어로 분화. 정복자 (라틴어) 실생활 (켈트 어)기층어가 라틴어에 영향.
제2단계 500년~1500년 게르만족 침입과 봉건제국
게르만족이 로마를 점령했지만 언어는 오히려 게르만족이 정복당했다.
중세시대 봉건제도의 영향으로 지방에 따라 언어가 세분화(방언)
제3단계 1500년~1700년 르네상스 시기
봉건제도가 약화되고 왕의 권력이 높아지면서 높은 정치적 군사적 거점지가 지배적인 언어가 되고 나머지는 사투리가 됨. 언어와 사투리는 오로지 사회-역사적 요인에 토대.
리슐리외 추기경의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프랑스 혁명 이후 남아 언어 연구를 위한 아카데미 역할을 하게됨. 언어의 순수성 강조.
4단계 식민지
피진어 식민지배의 흔적으로 모국어가 아니지만 혼합언어인 피진어를 말한다.
주로 북아프리카에서 발견
substrat 하층어
superstrat 상층어
adstrats 방층어 (지배관계와 관계없이 일어나는 언어의 차용)
ex) play back(f) = lip singing(a)
la sociolinguistiques 사회 언어학
언어 변화와 진화의 사회적 요인을 연구
언어 변이를 결정하는 외부요소에 중점
temps
espace
classe sociale
사회계층
registre
d’interaction
상호작용
chronolecte
현대언어변이
regiolecte
지역언어변이
sociolecte
ldiolecte
개인언어변이
1900년대와
1990년대의 차이
벨기에 사람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병행
백정, 정치가, 귀족
담화, 독백, 진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