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차보건의료사업을 위한 주요 원리와 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
2. 국내 1차보건의료 시범사업과 제도운영
3. 건강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의 주요 내용 및 국민건강증진계획2020 대표 지표
4. 출처 및 참고문헌
2. 국내 1차보건의료 시범사업과 제도운영
3. 건강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의 주요 내용 및 국민건강증진계획2020 대표 지표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명이란 실제로 건강하게 산 기간을 이야기하며 2020년까지의 목표는 건강수명 75세를 달성하는 것이다. 건강형평성은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의료이용, 의료비 지출과 의료자원 배분에서의 형평으로, 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는 총 6개 사업 분야에서 16개의 대표 지표를 선정하여 실적치를 추적하고 추세분석을 통해 정책의 달성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6개 사업 분야는 건강생활 실천확산(금연, 절주, 신체 활동, 영양), 만성 퇴행성 질환과 발병위험요인관리(암, 건강관리, 관절염, 심뇌혈관질환, 비만, 정신보건, 구강 보건), 감염질환 관리(예방접종, 비상방역체계, 의료 관련 감염, 결핵, 에이즈), 안전환경보건(식품안전, 손상 예방), 인구집단 건강관리(모성 건강, 영유아 건강, 노인건강, 근로자건강증진, 군인건강증진, 학교보건, 취약가정방문 건강, 장애인건강)이다.
각 사업 영역의 대표 지표는 각각 성인 남자 흡연율, 성인 남·여 고위험 음주율, 신체 활동-중등도 신체 활동 실천율, 영양-건강식생활 실천 인구비율, 암 관리-전 국민 암 검진 수검률, 건강검진-일반 검진 전체 수검률, 심뇌혈관질환-고혈압 유병률, 비만-성인 남·여 비만 유병률, 정신보건-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률, 구강 보건-영구치 치아우식 경험률, 예방접종-예방 접종률, 결핵-도말 양성 결핵 발생률, 손상 예방-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률, 모성 건강-모성 사망비, 영유아 건강-영아사망률, 노인건강-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율이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추진 전략을 크게 세 가지로 강조하고 있다. 먼저 사업간 연계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을 통한 대상자 중심의 사업 추진과 효율성 확보이다. 두 번째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지역별 건강증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건강 위험군 및 질환군에 대하여 건강검진, 만성질환 관리, 건강증진사업의 체계를 통해 대상자 중심의 ‘건강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2021년 현재 대표 지표의 목표달성은 2개 지표가 목표에 달성하였고 10개 지표는 개선되었지만 7개 지표는 악화되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지표가 개선되었고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의 목표는 전반적으로 달성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에서는 변화가 미진하였던 영역에 대한 정책을 보완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환경과 건강정보 이해력 향상을 할 수 있도록 정신건강 분야와 건강 친화적 환경 구축 분야를 신설·강화하였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웹사이트 https://www.khealth.or.kr/hp2020 (검색일 : 2021-09-25)
박형종,and 김공현. \"1차보건의료와 바람직한 정책방향.\" 보건행정학회지 1.1 (1991): 95-108.
http://www.riss.kr/link?id=A106776660
이꽃메. \"한국 보건진료원 제도의 시작.\" 한국농촌간호학회지 4.1 (2009): 31-40.
http://www.riss.kr/link?id=A105777637
이명순(Myoung-Soon Lee). \"건강증진이 기반한 주요 원칙과 가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2.4 (2015): 1-11.
http://www.riss.kr/link?id=A103324688
정다혜 ( Jeong Dahye ). \"병원에서 마을로 ― 거제 지역사회건강사업으로 본 1970년대 의료 소외지역의 지역보건 실험.\" 사회와 역사 -.129 (2021): 107-146.
http://www.riss.kr/link?id=A107385242
먼저 6개 사업 분야는 건강생활 실천확산(금연, 절주, 신체 활동, 영양), 만성 퇴행성 질환과 발병위험요인관리(암, 건강관리, 관절염, 심뇌혈관질환, 비만, 정신보건, 구강 보건), 감염질환 관리(예방접종, 비상방역체계, 의료 관련 감염, 결핵, 에이즈), 안전환경보건(식품안전, 손상 예방), 인구집단 건강관리(모성 건강, 영유아 건강, 노인건강, 근로자건강증진, 군인건강증진, 학교보건, 취약가정방문 건강, 장애인건강)이다.
각 사업 영역의 대표 지표는 각각 성인 남자 흡연율, 성인 남·여 고위험 음주율, 신체 활동-중등도 신체 활동 실천율, 영양-건강식생활 실천 인구비율, 암 관리-전 국민 암 검진 수검률, 건강검진-일반 검진 전체 수검률, 심뇌혈관질환-고혈압 유병률, 비만-성인 남·여 비만 유병률, 정신보건-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률, 구강 보건-영구치 치아우식 경험률, 예방접종-예방 접종률, 결핵-도말 양성 결핵 발생률, 손상 예방-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률, 모성 건강-모성 사망비, 영유아 건강-영아사망률, 노인건강-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율이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추진 전략을 크게 세 가지로 강조하고 있다. 먼저 사업간 연계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을 통한 대상자 중심의 사업 추진과 효율성 확보이다. 두 번째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지역별 건강증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건강 위험군 및 질환군에 대하여 건강검진, 만성질환 관리, 건강증진사업의 체계를 통해 대상자 중심의 ‘건강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2021년 현재 대표 지표의 목표달성은 2개 지표가 목표에 달성하였고 10개 지표는 개선되었지만 7개 지표는 악화되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지표가 개선되었고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의 목표는 전반적으로 달성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에서는 변화가 미진하였던 영역에 대한 정책을 보완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환경과 건강정보 이해력 향상을 할 수 있도록 정신건강 분야와 건강 친화적 환경 구축 분야를 신설·강화하였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웹사이트 https://www.khealth.or.kr/hp2020 (검색일 : 2021-09-25)
박형종,and 김공현. \"1차보건의료와 바람직한 정책방향.\" 보건행정학회지 1.1 (1991): 95-108.
http://www.riss.kr/link?id=A106776660
이꽃메. \"한국 보건진료원 제도의 시작.\" 한국농촌간호학회지 4.1 (2009): 31-40.
http://www.riss.kr/link?id=A105777637
이명순(Myoung-Soon Lee). \"건강증진이 기반한 주요 원칙과 가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2.4 (2015): 1-11.
http://www.riss.kr/link?id=A103324688
정다혜 ( Jeong Dahye ). \"병원에서 마을로 ― 거제 지역사회건강사업으로 본 1970년대 의료 소외지역의 지역보건 실험.\" 사회와 역사 -.129 (2021): 107-146.
http://www.riss.kr/link?id=A107385242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2020년 2학기]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
지역사회간호학 2021]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와 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 2. 우...
[지역사회간호학 2021]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
(방송통신대 지역사회간호학 중간과제물)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와 일차보건의료의 ...
지역사회간호학 )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지역사회간호학 )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지역사회간호학(간호) ) 일차 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