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거주지역(충북 보은군)의 토양 특성
2. 농경지의 밭과 시설재배지 2곳의 토양 특성
3. 재배희망 작물의 밭과 재배지 임시처방서 서비스
Ⅲ. 결론 및 고찰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거주지역(충북 보은군)의 토양 특성
2. 농경지의 밭과 시설재배지 2곳의 토양 특성
3. 재배희망 작물의 밭과 재배지 임시처방서 서비스
Ⅲ. 결론 및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0정도의 유기물 수치를 보였다.
③ 유효인산
유효인산의 경우 위에서 보았던 유기물 수치가 높았던 밭에서 401~500의 수치가 나타났다. 반면 유기물 수치가 낮은 밭은 201~300의 유효인산 수치를 보였다.
④ 칼륨
칼륨 역시 유기물, 유효인산 수치가 높은 밭은 0.71이상의 수치를 보였다. 나머지 하나의 밭은 0.51~0.6의 칼륨 수치를 지녔었다.
⑤ 칼슘
칼슘의 경우 두 농지 모두 7.1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⑥ 마그네슘
마지막으로 마그네슘은 이때까지 수치가 높았던 농지에서 2.6 이상의 수치를 보였으며 다른 농지는 1.6~2.0의 수치로 나타났다.
3. 재배희망 작물의 밭과 재배지 임시처방서 서비스
이에 본인은 위 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던 시설 “금호식품”의 토지 중 가장 면적이 큰 토지와 밭 “367-3”의 토지 중 화학성이 더 높은 수치를 보였던 토지를 선택하여 해당 대상지의 면적을 측정하고 위에서 알아본 토양 특성을 적용하여 “잔대”를 재배하기를 원할 때 처방받을 수 있는 비료 사용처방을 체험해보았다.
1) 시설 “금호식품”의 토지를 활용하여 ‘잔대’재배 처방
우선 ‘금호식품’에서 관리하는 토지 중 가장 면적이 넓은 토지, 약 “4750㎡”의 토지에 약용 작물인 ‘잔대’를 재배하고자 하였을 때 필요한 비료처방에 대해 결과를 알아보았다. 해당토지의 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수치를 적용하여 알아보았다.
① 토양 검정 결과
토양 검정 결과 전체적인 토양의 수치는 적정 범위를 넘어서는 토양 특성이 많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전기전도도는 적정 범위에 포함되었지만, 나머지 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이 적정 범위를 넘어선 많은 수치를 포함하고 있었기에 이를 관리할 비료가 필요함을 볼 수 있다.
② 추천 비료 처방
이에 시중에 유통되는 복합비료 중 추천 비료로는 밑거름 비료로 1순위 “21-17-17”을 추천받았으며 2순위로 “맞춤 18호(21-13-9)”를 추천받을 수 있었다.
2) 밭 “367-3”의 토지를 활용하여 ‘잔대’재배 처방
밭 “367-3”의 경우 약 “1,000㎡”의 토지에 약용 작물 “잔대”를 재배하고자 하였을 때 필요한 비료 사용 처방을 체험하고 확인해보았다. 이때 화학성 분석 값 역시 제공되는 자료를 기반으로 수치를 적용하였다.
① 토양 검정 결과
토양 검정 결과 유기물, 유효인산 수치는 적정량보다 많았으며, 산도, 칼슘, 마그네슘은 적정량보다 아주 조금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전기전도도는 적정한 정도를 가졌으며 칼륨이 적정범위에 살짝 못미치는 정도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② 추천 비료 처방
해당 경우에도 추천 비료 처방 결과 밑거름으로 1순위 “21-17-17”을 추천하였으며 2순위로 “맞춤 18호(21-13-9)”를 추천받았다.
Ⅲ. 결론 및 고찰
해당 자료 탐색 및 추천 비료 사용 처방 과정을 통해 지역에 대한 토양이해와 상세한 관찰을 할 수 있었다. 보은군의 토양 정보는 대체적으로 하나의 특성이 주를 이룬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나 산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역이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고 생각할 수 있었다. 비료 사용 처방 체험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수확하는 제품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비료와 거름을 활용하여 토양을 변형시켰을 때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잔대의 경우 최근 보은군에서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대량생산 및 시설 재배를 목표로 한 약용작물로 보은군 농업기술 센터에서도 잔대 우량종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와 기술활용이 이뤄지는 작물이기에 이에 관심을 가지고 다른 밭과 시설에서 잔대를 생산한다면 어떤 비료를 활용해야 하는가하는 취지로 이를 선정하였었다. 이에 만약 잔대 생산을 위해 토양을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면 기존의 토양의 유형에 따라 다르겠지만 “21-17-17”이 주로 사용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토양의 변형과 활용을 위해 흙토람을 활용하는 것은 농업인에게 필수적인 단계일 것이란 것을 해당 보고서를 작성하며 직접 체험하고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황의택(2021.03). 보은군, ‘잔대’보급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 기대…장안면 금원잔대 선정. 충청매일
http://www.ccd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4577#09SX
김계훈 외(2021.07). 토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흙토람 공식사이트. 농촌진흥청
http://soil.rda.go.kr/soil/index.jsp
③ 유효인산
유효인산의 경우 위에서 보았던 유기물 수치가 높았던 밭에서 401~500의 수치가 나타났다. 반면 유기물 수치가 낮은 밭은 201~300의 유효인산 수치를 보였다.
④ 칼륨
칼륨 역시 유기물, 유효인산 수치가 높은 밭은 0.71이상의 수치를 보였다. 나머지 하나의 밭은 0.51~0.6의 칼륨 수치를 지녔었다.
⑤ 칼슘
칼슘의 경우 두 농지 모두 7.1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⑥ 마그네슘
마지막으로 마그네슘은 이때까지 수치가 높았던 농지에서 2.6 이상의 수치를 보였으며 다른 농지는 1.6~2.0의 수치로 나타났다.
3. 재배희망 작물의 밭과 재배지 임시처방서 서비스
이에 본인은 위 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던 시설 “금호식품”의 토지 중 가장 면적이 큰 토지와 밭 “367-3”의 토지 중 화학성이 더 높은 수치를 보였던 토지를 선택하여 해당 대상지의 면적을 측정하고 위에서 알아본 토양 특성을 적용하여 “잔대”를 재배하기를 원할 때 처방받을 수 있는 비료 사용처방을 체험해보았다.
1) 시설 “금호식품”의 토지를 활용하여 ‘잔대’재배 처방
우선 ‘금호식품’에서 관리하는 토지 중 가장 면적이 넓은 토지, 약 “4750㎡”의 토지에 약용 작물인 ‘잔대’를 재배하고자 하였을 때 필요한 비료처방에 대해 결과를 알아보았다. 해당토지의 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수치를 적용하여 알아보았다.
① 토양 검정 결과
토양 검정 결과 전체적인 토양의 수치는 적정 범위를 넘어서는 토양 특성이 많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전기전도도는 적정 범위에 포함되었지만, 나머지 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이 적정 범위를 넘어선 많은 수치를 포함하고 있었기에 이를 관리할 비료가 필요함을 볼 수 있다.
② 추천 비료 처방
이에 시중에 유통되는 복합비료 중 추천 비료로는 밑거름 비료로 1순위 “21-17-17”을 추천받았으며 2순위로 “맞춤 18호(21-13-9)”를 추천받을 수 있었다.
2) 밭 “367-3”의 토지를 활용하여 ‘잔대’재배 처방
밭 “367-3”의 경우 약 “1,000㎡”의 토지에 약용 작물 “잔대”를 재배하고자 하였을 때 필요한 비료 사용 처방을 체험하고 확인해보았다. 이때 화학성 분석 값 역시 제공되는 자료를 기반으로 수치를 적용하였다.
① 토양 검정 결과
토양 검정 결과 유기물, 유효인산 수치는 적정량보다 많았으며, 산도, 칼슘, 마그네슘은 적정량보다 아주 조금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전기전도도는 적정한 정도를 가졌으며 칼륨이 적정범위에 살짝 못미치는 정도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② 추천 비료 처방
해당 경우에도 추천 비료 처방 결과 밑거름으로 1순위 “21-17-17”을 추천하였으며 2순위로 “맞춤 18호(21-13-9)”를 추천받았다.
Ⅲ. 결론 및 고찰
해당 자료 탐색 및 추천 비료 사용 처방 과정을 통해 지역에 대한 토양이해와 상세한 관찰을 할 수 있었다. 보은군의 토양 정보는 대체적으로 하나의 특성이 주를 이룬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나 산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역이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고 생각할 수 있었다. 비료 사용 처방 체험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수확하는 제품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비료와 거름을 활용하여 토양을 변형시켰을 때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잔대의 경우 최근 보은군에서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대량생산 및 시설 재배를 목표로 한 약용작물로 보은군 농업기술 센터에서도 잔대 우량종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와 기술활용이 이뤄지는 작물이기에 이에 관심을 가지고 다른 밭과 시설에서 잔대를 생산한다면 어떤 비료를 활용해야 하는가하는 취지로 이를 선정하였었다. 이에 만약 잔대 생산을 위해 토양을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면 기존의 토양의 유형에 따라 다르겠지만 “21-17-17”이 주로 사용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토양의 변형과 활용을 위해 흙토람을 활용하는 것은 농업인에게 필수적인 단계일 것이란 것을 해당 보고서를 작성하며 직접 체험하고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황의택(2021.03). 보은군, ‘잔대’보급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 기대…장안면 금원잔대 선정. 충청매일
http://www.ccd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4577#09SX
김계훈 외(2021.07). 토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흙토람 공식사이트. 농촌진흥청
http://soil.rda.go.kr/soil/index.js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