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 글에서의 종업자, 휴업자, 완전실업자, 비노동력인구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2. 최근의 취업자, 휴업자, 실업자수의 동향
3. 비노동력인구의 동향
4. 정규·비정규고용의 동향
2. 최근의 취업자, 휴업자, 실업자수의 동향
3. 비노동력인구의 동향
4. 정규·비정규고용의 동향
본문내용
석된다. 다만 노동 방식의 개혁이 진전되면서 정규직의 증가가 눈에 띈다. 우선 2020년 4~6월에는 모든 연령층에서 비정규직 노동자 수가 감소하였는데, 특히 여성은 전년 대비 비정규고용자는 60만 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서 1분기의 9만 명 감소보다 훨씬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3분기 이후로 점차 여성 비정규직의 감소 폭은 줄어들고 있지만 4분기까지도 전년에 비해 50만 명 가량 적다. 그러나 정규직은 꾸준히 증가하여 25~54세 연령층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성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여성만큼 감소하지는 않았지만 정규직 노동자도 증가하지 않았다. 오히려 10~12월에는 정규직 고용자가 감소하고 있고, 남성의 완전실업자 증가가 계속되고 있으며 실업 기간도 장기화되면서 전반적으로 남성들의 실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② 산업별 비정규고용자의 동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전반적으로 비정규고용형태는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감염병 사태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산업은 주로 숙박·음식서비스업·생활 관련 서비스업·오락업 등이다. 이러한 산업은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감염병 사태가 악화되면서 고용이 큰 폭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특히 해당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 비정규직 수가 4~6월에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숙박, 음식서비스업 등에서는 2020년 4월 이후로 고용 위축 상태가 그 후로도 지속되고 있다. 한편, 의료·복지, 정보통신업, 교육·학술연구와 관련된 산업에서는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가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성에 비해 남성 비정규 고용자는 전년 대비 차이가 적은 편이지만 비정규직 고용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숙박·음식서비스업, 생활 관련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의료·복지, 학술연구 등에서도 남성 비정규직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지만 3분기에는 교육·학습지원업에서 남성 비정규직이 소폭 증가하였다.
③ 정규고용자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비정규직 고용자는 감소하는 데 비해 정규직 고용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이유는 우선 정사원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대비하기 위한 기업의 합리적 판단 중 하나로 보여진다. 일본의 노동인구가 꾸준히 감소하면서 이미 기업에서는 정규직 사원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감염병 사태가 진정된 후 경제활동이 재개되었을 때 인력 부족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비정규직보다는 정규직 사원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2019년 이후 노동 방식의 개혁이 이루어지면서 간호, 정보·통신, 정보 서비스업 등에서 비정규직의 동일 노동 동일 임금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노동비용 균형화 움직임은 기업으로 하여금 정규직 고용을 선호하도록 만들고 있다. 예를 들어 정년 이후의 노동자들에 대하여 기업들은 정년을 연장하거나 정규직 노동자로 재고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수치적으로도 55세 이상의 남성이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이직하는 경우는 2020년에 들어 감소하고 있다.
② 산업별 비정규고용자의 동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전반적으로 비정규고용형태는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감염병 사태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산업은 주로 숙박·음식서비스업·생활 관련 서비스업·오락업 등이다. 이러한 산업은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감염병 사태가 악화되면서 고용이 큰 폭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특히 해당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 비정규직 수가 4~6월에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숙박, 음식서비스업 등에서는 2020년 4월 이후로 고용 위축 상태가 그 후로도 지속되고 있다. 한편, 의료·복지, 정보통신업, 교육·학술연구와 관련된 산업에서는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가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성에 비해 남성 비정규 고용자는 전년 대비 차이가 적은 편이지만 비정규직 고용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숙박·음식서비스업, 생활 관련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의료·복지, 학술연구 등에서도 남성 비정규직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지만 3분기에는 교육·학습지원업에서 남성 비정규직이 소폭 증가하였다.
③ 정규고용자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비정규직 고용자는 감소하는 데 비해 정규직 고용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이유는 우선 정사원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대비하기 위한 기업의 합리적 판단 중 하나로 보여진다. 일본의 노동인구가 꾸준히 감소하면서 이미 기업에서는 정규직 사원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감염병 사태가 진정된 후 경제활동이 재개되었을 때 인력 부족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비정규직보다는 정규직 사원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2019년 이후 노동 방식의 개혁이 이루어지면서 간호, 정보·통신, 정보 서비스업 등에서 비정규직의 동일 노동 동일 임금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노동비용 균형화 움직임은 기업으로 하여금 정규직 고용을 선호하도록 만들고 있다. 예를 들어 정년 이후의 노동자들에 대하여 기업들은 정년을 연장하거나 정규직 노동자로 재고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수치적으로도 55세 이상의 남성이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이직하는 경우는 2020년에 들어 감소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