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라틴아메리카 역사와 칠레의 역사 분석
(1)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2) 칠레의 신자유주의 역사
2) 칠레의 역사적 특수성 분석
(1) 칠레의 지리적 특수성
(2) 19세기 칠레의 역사
(3) 20세기 전반 칠레의 역사
(4) 20세기 후반 칠레의 역사
(5) 칠레의 외교 역사
(6) 칠레의 역사적 특수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라틴아메리카 역사와 칠레의 역사 분석
(1)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2) 칠레의 신자유주의 역사
2) 칠레의 역사적 특수성 분석
(1) 칠레의 지리적 특수성
(2) 19세기 칠레의 역사
(3) 20세기 전반 칠레의 역사
(4) 20세기 후반 칠레의 역사
(5) 칠레의 외교 역사
(6) 칠레의 역사적 특수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당과 사회당의 연립 정권이 칠레 정부를 집권하였고, 2010년에 야권 보수파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현재의 칠레는 3권 분리 민주주의 체제로서 여당인 사회당인 정권을 집권하고 있다.
(5) 칠레의 외교 역사
칠레는 독립 초기에서부터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태평양 전쟁에서도 칠레의 지리적 특성으로 국가를 지켜냈으며, 여러 유럽국가의 영향을 받아 국가로서 성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법률과 교육은 프랑스의 영향을, 군대는 독일의 영향을, 경제적인 것은 영국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6년간의 군사 독재 기간에는 외교적 고립이 되기도 하였으나, 민주주의로 복귀한 이후에는 외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UN의 평화 유지에도 참여하고 있다. 칠레는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대부분 외교 관계를 유지 중이며, 아르헨티나와의 국경 분쟁도 해결된 상태이다.
(6) 칠레의 역사적 특수성
살바도르 아옌데는 국가의 안보를 국외 자본에 대항하는 국유화와 동일화했다. 3년 동안 아옌데의 집권기 동안 인민연합 정부에서는 이데올로기의 부담을 버텨야 했으며, 칠레 군부가 미국에 가진 의존도를 차단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반사회주의 세력이 전략을 바꾸고자 했다. 즉 무력으로 폭력과 무질서한 행동을 일으키며 사회주의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인민연합을 막으려고 한 것이다. 미국과 칠레 내부의 바동 세력은 내부적으로 문제가 터지길 바랐으나, 오히려 반혁명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피노체트가 이끈 쿠데타는 미국에 의존도를 가진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군사 개입의 지배적 특징을 보인다. 1960년대 초반부터 미국이 실행했던 서반구 방어 작전을 기반으로 사회를 보호하고 내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군대를 이용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1960년대의 라틴아메리카 군부에는 국가 안보를 우선으로 하는 원칙이 확산하였다. 1965년 이후에 브라질, 1966년 이후에는 아르헨티나에서 그랬던 것처럼 칠레도 보수 성향이 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여기서 보수적인 성향이란 미국에 맞게 전통적인 경제적, 사회적 구조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쿠데타로 6개월간 3,000여 명의 인민연합 지지자가 학살당했다. 사회적, 경제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도 칠레 국민에게 압력이 가해졌다. 1년간 1,000%가 넘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며 실업률도 15%로 치솟았다. 화폐 가치도 4,000% 가까이 평가 절하되며 구매력이 60% 넘게 하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칠레의 국민은 정부에 대해 의사 표현을 할 수 있을 때마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좌파를 저지하고자 했으며, 노동자들은 인민연합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었다. 비록 사회주의를 추구하고자 했던 평화로운 전략이 결과적으로는 실패를 나타냈지만, 칠레가 경험한 역사는 러시아 혁명과 스페인의 내전 이후에 전 세계의 좌파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결론
라틴아메리카의 역사는 라틴아메리카에 있는 백인이 생각하는 측면에서는 독립 혁명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 라틴아메리카의 원주민 측면에서는 백인들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내전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역사를 칠레의 역사 중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 시기와 함께 분석하였다.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은 당시 현실을 고려하지 못한 이상적인 정책으로 칠레를 독재 정권으로 몰락시켰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지나치게 자원에 의존하고 구리 가격 폭락으로 경제적으로 몰락한 시기에 무리한 복지 정책과 국유화로 인해 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한편 외교 문제에서도 미국과의 반미 관계를 형성하여 경제적인 성장을 하지 못했다. 칠레를 대표로 분석한 것은 라틴아메리카 각각의 국가들이 가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차이점을 모두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멕시코의 정치와 사회는 칠레와 많은 차이점을 가진다. 베네수엘라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칠레는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에서도 가장 경제적으로 성장한 국가이며, 신자유주의 정책 등 정치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진보된 형태를 띄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라틴아메리카 역사와 칠레의 역사를 비교 분석한 것은 앞으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겪게 될 수도 있는 앞서간 역사이자 나아가야할 방향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아옌데 그리고 칠레의 경험」, 호안E.가르세스, 클, 2020.08.31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촉발한 신자유주의, 한겨레, 2019-12-03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19358.html
(5) 칠레의 외교 역사
칠레는 독립 초기에서부터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태평양 전쟁에서도 칠레의 지리적 특성으로 국가를 지켜냈으며, 여러 유럽국가의 영향을 받아 국가로서 성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법률과 교육은 프랑스의 영향을, 군대는 독일의 영향을, 경제적인 것은 영국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6년간의 군사 독재 기간에는 외교적 고립이 되기도 하였으나, 민주주의로 복귀한 이후에는 외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UN의 평화 유지에도 참여하고 있다. 칠레는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대부분 외교 관계를 유지 중이며, 아르헨티나와의 국경 분쟁도 해결된 상태이다.
(6) 칠레의 역사적 특수성
살바도르 아옌데는 국가의 안보를 국외 자본에 대항하는 국유화와 동일화했다. 3년 동안 아옌데의 집권기 동안 인민연합 정부에서는 이데올로기의 부담을 버텨야 했으며, 칠레 군부가 미국에 가진 의존도를 차단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반사회주의 세력이 전략을 바꾸고자 했다. 즉 무력으로 폭력과 무질서한 행동을 일으키며 사회주의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인민연합을 막으려고 한 것이다. 미국과 칠레 내부의 바동 세력은 내부적으로 문제가 터지길 바랐으나, 오히려 반혁명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피노체트가 이끈 쿠데타는 미국에 의존도를 가진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군사 개입의 지배적 특징을 보인다. 1960년대 초반부터 미국이 실행했던 서반구 방어 작전을 기반으로 사회를 보호하고 내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군대를 이용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1960년대의 라틴아메리카 군부에는 국가 안보를 우선으로 하는 원칙이 확산하였다. 1965년 이후에 브라질, 1966년 이후에는 아르헨티나에서 그랬던 것처럼 칠레도 보수 성향이 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여기서 보수적인 성향이란 미국에 맞게 전통적인 경제적, 사회적 구조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쿠데타로 6개월간 3,000여 명의 인민연합 지지자가 학살당했다. 사회적, 경제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도 칠레 국민에게 압력이 가해졌다. 1년간 1,000%가 넘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며 실업률도 15%로 치솟았다. 화폐 가치도 4,000% 가까이 평가 절하되며 구매력이 60% 넘게 하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칠레의 국민은 정부에 대해 의사 표현을 할 수 있을 때마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좌파를 저지하고자 했으며, 노동자들은 인민연합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었다. 비록 사회주의를 추구하고자 했던 평화로운 전략이 결과적으로는 실패를 나타냈지만, 칠레가 경험한 역사는 러시아 혁명과 스페인의 내전 이후에 전 세계의 좌파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결론
라틴아메리카의 역사는 라틴아메리카에 있는 백인이 생각하는 측면에서는 독립 혁명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 라틴아메리카의 원주민 측면에서는 백인들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내전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역사를 칠레의 역사 중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 시기와 함께 분석하였다.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은 당시 현실을 고려하지 못한 이상적인 정책으로 칠레를 독재 정권으로 몰락시켰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지나치게 자원에 의존하고 구리 가격 폭락으로 경제적으로 몰락한 시기에 무리한 복지 정책과 국유화로 인해 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한편 외교 문제에서도 미국과의 반미 관계를 형성하여 경제적인 성장을 하지 못했다. 칠레를 대표로 분석한 것은 라틴아메리카 각각의 국가들이 가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차이점을 모두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멕시코의 정치와 사회는 칠레와 많은 차이점을 가진다. 베네수엘라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칠레는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에서도 가장 경제적으로 성장한 국가이며, 신자유주의 정책 등 정치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진보된 형태를 띄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라틴아메리카 역사와 칠레의 역사를 비교 분석한 것은 앞으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겪게 될 수도 있는 앞서간 역사이자 나아가야할 방향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아옌데 그리고 칠레의 경험」, 호안E.가르세스, 클, 2020.08.31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촉발한 신자유주의, 한겨레, 2019-12-03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19358.html
키워드
추천자료
[라틴아메리카]중남미국가 벨리즈, 중남미국가 브라질, 중남미국가 멕시코, 중남미국가 페루,...
[칠레][라틴아메리카][중남미][칠레문화]칠레(라틴아메리카)의 개관, 칠레(라틴아메리카)의 ...
라틴아메리카 아루바와 아르헨티나, 라틴아메리카 칠레와 멕시코, 라틴아메리카 페루와 엘살...
라틴아메리카 세인트마틴, 라틴아메리카 아르헨티나, 라틴아메리카 칠레, 라틴아메리카 멕시...
[칠레][라틴아메리카][중남미][칠레의 문화]라틴아메리카 칠레의 개황, 라틴아메리카 칠레의 ...
중남미국가 바하마, 중남미국가 칠레, 중남미국가 멕시코, 중남미국가 페루, 중남미국가 브라...
쿠바혁명과공산주의그리고라틴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 민주화 과정
라틴아메리카 신자유주의 경제정책과 민영화. 목차부터 맺음말까지 짜임새있는 완성적인 리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