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학 ) 코로나19 이후 한국 무역환경 변화 및 한.중 FTA 무역 전망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역학 ) 코로나19 이후 한국 무역환경 변화 및 한.중 FTA 무역 전망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본론
(1) 코로나19와 국제통상질서
① 글로벌 가치사슬(GVC)의 붕괴
② 수출통제와 국경봉쇄
③ 보호무역주의와 리쇼어링(reshoring)
(2) 한국과 중국 간 무역상황
① 한중FTA
② 미-중 무역전쟁
③ 중국의 보호무역조치와 한국
④ 중국 언택트 산업의 부상
(3)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무역 상황
① 중소기업 수출 상황
②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③ K-산업의 확대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드라마와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한 K-POP 산업의 끊임없는 성장, 그리고 국내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웹툰 컨텐츠의 수출이 1조원을 돌파하는 등 한국 문화산업은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대호황을 이루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화의 확산은 K-푸드 산업의 성장으로도 이어졌다. 2020년 떡볶이를 비롯한 쌀 가공품 수출액은 1억 3,760만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으며, 농수산식품의 전체 수출은 98억 달러에 육박하면서 2021년에는 사상 최초로 100억 달러 선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김치의 경우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 면역력 증진에 효과적인 식품으로 알려져 지난해 수출량이 1억 4,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37.6%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3. 결론
한국과 중국은 역사, 문화, 사회, 경제 등 모든 분야를 막론하고 긴밀한 관계에 놓여있는 국가로, 어느 한쪽의 정책에 다른 한쪽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코로나19의 유행이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양국 경제 모두가 크게 타격을 받았고, 이에 따라 앞으로의 경제 정책이나 통상 정책이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띠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실시 되고 있다. 1장에서 살펴본 것처럼 전 세계 각국의 무역 정책은 확실히 코로나19의 유행 이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잡히기 시작했고, 2-3장에서 살펴본 것처럼 한국과 중국의 무역 상황 역시 변화하기 시작했다. 정책의 제안과 실시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인 우리나라의 가장 큰 이익을 끌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지만, 전 세계의 경제가 긴밀하게 엮여있는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한쪽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쪽과 긴밀하게 엮인 수많은 국가들을 모두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국의 경우에는 대외무역의 의존도가 특히 높은 국가에 속하기 때문에 무역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수출·수입량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신경 쓸 필요가 있고, 그 중 하나가 바로 중국이다. 전 세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두 나라-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매우 긴밀함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양쪽과 모두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의 경우에는 좀더 신중한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코로나19가 어느 정도 종식된 이후 세계 경제의 모습은 이전과는 매우 다를 것으로 여겨진다. 이 달라진 세계 경제에 발맞추기 위해서 한국이 취해야 하는 자세는 무엇인지, 어떤 자세가 우리나라에게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줄 것인지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그에 맞는 형태를 취해야 할 것이다.
4. 참고자료
오경수, 중국 보호무역조치 확대 동향과 한국 산업의 영향 분석, KERI Insight, 2017
http://www.riss.kr/link?id=A104569100
김영대·이승관, 미중 무역전쟁 : 한국 경제 볕들까… 변수는 중국, 마이더스, 2020
http://www.riss.kr/link?id=A106578146
곽동철, 코로나19 이후 국제통상질서의 변화와 통상규범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통상법률. 2020
http://www.riss.kr/link?id=A107035512
‘“관세장벽 낮아져 가격경쟁력” 수출로 제2도약 부푼 꿈’ (동아일보, 2014.11.14.)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020&aid=0002688679
’한중 교역 내년 일중 교역 추월할 듯...\"한국, 중국의 2위 교역 대상국\"’ (조선일보, 2015.12.08.)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08/2015120802397.html
‘[트럼프 新시대-미중 환율전쟁 개막] 중국 경제 기침하면 한국경제 골병…\"무역환경 변화, 새로운 전략 필요\"’ (아주경제, 2017.01.17.)
https://www.ajunews.com/view/20170117144223848
‘미-중 무역 전쟁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18.12.26.)
https://spri.kr/posts/view/22537?code=industry_trend
‘한국, 무역흑자 1위 중국→홍콩…무역적자 1위는 일본’ (연합뉴스, 2020.01.28.)
https://www.yna.co.kr/view/AKR20200128076300002
‘WTO “올해 세계 무역량… 최대 32% 감소할 수 있다”’ (뉴데일리, 2020.04.10.)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0/04/10/2020041000112.html
‘언택트가 표준이 된 시대… \'언택트 서비스\'가 경쟁력’ (중앙일보, 2020.04.21.)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025&aid=0002994491
‘\"코로나, 예상보다 더 심각\"… IMF, 세계 경제성장률 4월보다 1.9%P 낮춰‘ (파이낸셜뉴스, 2020.06.24.)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014&aid=0004449401
‘“코로나 회복 지연될수록 보호무역주의 확대”’ (KITA 2020.07.07.)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58931&sSiteid=1&searchReqType=detail&searchCondition=TITLE&searchStartDate=&searchEndDate=&categorySearch=1&searchKeyword&logGb=A9400_20200708
‘코로나로 건강 음식 수요 늘자 김치 수출 사상 최대’ (연합뉴스 2021.01.06.)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001&aid=0012121615
‘코로나19, 한국 수출을 어떻게 바꿨을까?’ (KITA 2021.06.04.)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nIndex=63600
  • 가격4,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2.08.25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11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