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육아휴직
(2) 노키즈존
(3) 미혼여성의 시험관 출산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육아휴직
(2) 노키즈존
(3) 미혼여성의 시험관 출산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각한다.
3. 결론
앞서 육아휴직, 노키즈존, 미혼여성의 시험관시술에 대해 제도적 문제와 사회적 인식에 대해 이야기해보았다. 그럼 이제 현재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제도적 문제점과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해야 할 역할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정책들은 아직 개선해야 할 점들이 많다.
그중 가장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성차별적 인식 개선이다. 과거와 비교하면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지만, 정부에서도 성차별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사회에서 \'육아\'라고 생각하면 보통 여성들에게 \'모성애\'를 강조하며 여성에게 많은 책임을 부여함으로 여성의 업무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또한 출산율 저조의 문제를 여성에게 떠넘기곤 한다. 제대로 된 문제 파악을 하지 않은 채, 임신과 출산은 여성만이 할 수 있기 때문인지 2016년 행정안전부에서는 \'출산지도\'를 만들었다. 한겨레,’’’가임기 여성지도’ 이렇게 탄생했다’ 정유경 기자 2017년 1월 11일
또한, \'서울시 임신 출산 정보센터\' 홈페이지 내 임신 주기별 정보를 제공하는 매뉴얼 중 임신 35주 차 여성이 출산 전 꼭 알아둬야 할 내용이라고 소개한 글이 문제로 떠올랐다. 서울시 임신 출산 정보센터, 임신 주기별 정보
임신 35주 차 만삭 임산부가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 남은 남편과 아이들을 위해 갈아입을 속옷과 양말 등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출산을 외모를 점검해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한다. 이러한 발언은 여성은 임신과 출산을 함에도 불구하고 가사노동을 해야 하며 꾸밈 노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거 착오 적인 발언은 현대에서는 불편한 요소로 작용한다.
출산율이 날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으나, 사회에서 아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출산 전후로 얻게 될 불이익으로 결혼을 하더라도 딩크족으로 지내는 부부들이 많다. 정부는 출산율이 저조한 다양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파악하여야 하며, 그 책임을 여성에게 넘기지 말아야한다. 위처럼 국가에서조차 성차별 문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행정 방안을 내놓고 있으며, 이 경우 사회적 인식개선 또한 여러울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육아휴직 등 출산 후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제도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여성뿐만이 아닌 남성들의 육아휴직 비율을 늘릴 수 있도록 기업을 향한 의견을 강하게 표출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3. 결론
앞서 육아휴직, 노키즈존, 미혼여성의 시험관시술에 대해 제도적 문제와 사회적 인식에 대해 이야기해보았다. 그럼 이제 현재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제도적 문제점과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해야 할 역할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정책들은 아직 개선해야 할 점들이 많다.
그중 가장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성차별적 인식 개선이다. 과거와 비교하면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지만, 정부에서도 성차별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사회에서 \'육아\'라고 생각하면 보통 여성들에게 \'모성애\'를 강조하며 여성에게 많은 책임을 부여함으로 여성의 업무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또한 출산율 저조의 문제를 여성에게 떠넘기곤 한다. 제대로 된 문제 파악을 하지 않은 채, 임신과 출산은 여성만이 할 수 있기 때문인지 2016년 행정안전부에서는 \'출산지도\'를 만들었다. 한겨레,’’’가임기 여성지도’ 이렇게 탄생했다’ 정유경 기자 2017년 1월 11일
또한, \'서울시 임신 출산 정보센터\' 홈페이지 내 임신 주기별 정보를 제공하는 매뉴얼 중 임신 35주 차 여성이 출산 전 꼭 알아둬야 할 내용이라고 소개한 글이 문제로 떠올랐다. 서울시 임신 출산 정보센터, 임신 주기별 정보
임신 35주 차 만삭 임산부가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 남은 남편과 아이들을 위해 갈아입을 속옷과 양말 등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출산을 외모를 점검해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한다. 이러한 발언은 여성은 임신과 출산을 함에도 불구하고 가사노동을 해야 하며 꾸밈 노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거 착오 적인 발언은 현대에서는 불편한 요소로 작용한다.
출산율이 날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으나, 사회에서 아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출산 전후로 얻게 될 불이익으로 결혼을 하더라도 딩크족으로 지내는 부부들이 많다. 정부는 출산율이 저조한 다양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파악하여야 하며, 그 책임을 여성에게 넘기지 말아야한다. 위처럼 국가에서조차 성차별 문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행정 방안을 내놓고 있으며, 이 경우 사회적 인식개선 또한 여러울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육아휴직 등 출산 후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제도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여성뿐만이 아닌 남성들의 육아휴직 비율을 늘릴 수 있도록 기업을 향한 의견을 강하게 표출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사랑사회 기말] 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결하기...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성,사랑,사회) 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
(방송통신대 성사랑사회 기말과제물)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
성사랑사회 기말 2021년 방통대] 우리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
성사랑사회 기말 2021 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결...
우리 사회의 저출산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대해...
성사랑사회 기말 2021] 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
[성사랑사회 2021년 기말과제] 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
사랑사회 ) 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
사회 ) 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