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쓰는 편지이다. 그리고 감사 편지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고인을 떠올리면서 감사할 부분에 대해 편지를 쓰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편지가 아닌 면담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고인과 관련이 있는 기억에 관해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고인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 고인을 기억하고 있는 이들을 만나서 인터뷰하고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3. 결론
이처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일어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틀어 삶의 폭풍 지나가기라고도 표현을 한다. 이와 같은 외상 후 성장 이론의 경우는 개인에게 위협적이라고 여겨져서, 그에 따라 삶의 기반이 주관적으로 흔들린다고 느껴지는 사건이나 경험이 모두 외상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외상 후 성장의 경우는 외상 위기를 경험하고 나서 단순한 회복이 아니라 그 전의 심리적인 기능과 적응 수준, 그리고 삶에 있어서 인식의 수준을 넘는 발달을 이루고 이에 있어 지각하는 심리적인 변화를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자각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의 변화와 인생의 변화를 모두 포함한다. 외상을 겪게 되면 관련이 된 생각이나 감정이 자동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의식에 뒤따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말했듯이 외상 후의 성장을 위해서는 침투적 반추를 의도적인 반추로 바꿔나갈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외상 기억을 떠올리고 곱씹으면서 힘들어 할 것이 아니라, 외상 사건을 의식적으로 떠올려보면서 그를 회상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의도적 반추는 다시 말해, 해결적 반추 혹은 대처적 반추라고도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정리하자면 삶을 뒤흔드는 외상 사건이 일어나고 주관적으로 지각했던 삶의 위기가 극도의 스트레스나 혹은 부정적인 심리 결과를 유발한다. 그리고 외상 사건이 제공하는 심리적인 충격에 의해서 자신이 가지던 고유한 신념 체계가 붕괴하게 된다. 외상 사건에 있어서의 반추로 고통스러워하는 동시에 한 편으로는 이를 감소하기 위해서 행동 전략을 모색하며 시간이 경과하고 그에 따라 행동 전략이 성공해간다면 고통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외상 사건이 가지는 의미와 그것의 원인, 그리고 외상 사건이 나의 삶에 미친 영향을 의도적으로 되짚어 보는 과정을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외상 사건의 경우 여태까지 개인을 지켜온 세상이나 미래, 그리고 자신에 대한 여러 가지의 기대나 가정을 깨뜨리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은 충격으로부터 자신을 통합하고 성장까지 이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외상 경험을 재정립한 후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해내어 나만의 이야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의미가 없는 정서의 경험은 단순한 고통에 불과하며 경험이 없는 의미 역시 단순한 인지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외상 후 성장에는 이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무엇이며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그에 맞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밟아나가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1. 심리학에게묻다. 방송대 강의자료
2.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 후 성장에서 주의편향과 사건관련 반추의 역할>, 노해림, 심은정, 한경훈, 2018, 대한스트레스학회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b729168bfec650d147de9c1710b0298d&keyword=%EC%99%B8%EC%83%81%20%ED%9B%84%20%EC%8A%A4%ED%8A%B8%EB%A0%88%EC%8A%A4
3. 결론
이처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일어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틀어 삶의 폭풍 지나가기라고도 표현을 한다. 이와 같은 외상 후 성장 이론의 경우는 개인에게 위협적이라고 여겨져서, 그에 따라 삶의 기반이 주관적으로 흔들린다고 느껴지는 사건이나 경험이 모두 외상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외상 후 성장의 경우는 외상 위기를 경험하고 나서 단순한 회복이 아니라 그 전의 심리적인 기능과 적응 수준, 그리고 삶에 있어서 인식의 수준을 넘는 발달을 이루고 이에 있어 지각하는 심리적인 변화를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자각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의 변화와 인생의 변화를 모두 포함한다. 외상을 겪게 되면 관련이 된 생각이나 감정이 자동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의식에 뒤따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말했듯이 외상 후의 성장을 위해서는 침투적 반추를 의도적인 반추로 바꿔나갈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외상 기억을 떠올리고 곱씹으면서 힘들어 할 것이 아니라, 외상 사건을 의식적으로 떠올려보면서 그를 회상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의도적 반추는 다시 말해, 해결적 반추 혹은 대처적 반추라고도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정리하자면 삶을 뒤흔드는 외상 사건이 일어나고 주관적으로 지각했던 삶의 위기가 극도의 스트레스나 혹은 부정적인 심리 결과를 유발한다. 그리고 외상 사건이 제공하는 심리적인 충격에 의해서 자신이 가지던 고유한 신념 체계가 붕괴하게 된다. 외상 사건에 있어서의 반추로 고통스러워하는 동시에 한 편으로는 이를 감소하기 위해서 행동 전략을 모색하며 시간이 경과하고 그에 따라 행동 전략이 성공해간다면 고통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외상 사건이 가지는 의미와 그것의 원인, 그리고 외상 사건이 나의 삶에 미친 영향을 의도적으로 되짚어 보는 과정을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외상 사건의 경우 여태까지 개인을 지켜온 세상이나 미래, 그리고 자신에 대한 여러 가지의 기대나 가정을 깨뜨리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은 충격으로부터 자신을 통합하고 성장까지 이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외상 경험을 재정립한 후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해내어 나만의 이야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의미가 없는 정서의 경험은 단순한 고통에 불과하며 경험이 없는 의미 역시 단순한 인지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외상 후 성장에는 이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무엇이며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그에 맞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밟아나가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1. 심리학에게묻다. 방송대 강의자료
2.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 후 성장에서 주의편향과 사건관련 반추의 역할>, 노해림, 심은정, 한경훈, 2018, 대한스트레스학회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b729168bfec650d147de9c1710b0298d&keyword=%EC%99%B8%EC%83%81%20%ED%9B%84%20%EC%8A%A4%ED%8A%B8%EB%A0%88%EC%8A%A4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묻다 기말과제물)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
심리학에게묻다 기말]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기도 한...
[2021 심리학에게묻다][기말시험]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
(심리학에게묻다 1학년 공통)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심리학에게묻다)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심리학에게묻다)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기도 한다. 교...
심리학에게묻다 기말)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기도 한...
심리학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설명한 후, 외상을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이루기 ...
심리학에게 )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기도 한다 외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