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에게묻다 ) 삶의 폭풍 지나가기 를 참고하여(기타 자료 참고 가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설명한 후, 외상을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이루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내가 생각하는 방법을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에게묻다 ) 삶의 폭풍 지나가기 를 참고하여(기타 자료 참고 가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설명한 후, 외상을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이루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내가 생각하는 방법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 본론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
4) 외상 후 스트레스의 극복

3. 결론

4. 출저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을 켠다. 빨간 불이 켜지면 머릿속에는 부정적인 생각들이 일어난다. 하지만 위험이 사라졌다고 판단되면 빨간 불은 꺼진다. 걱정했던 일이 해결되었을 때 마음이 안정되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아미그달라를 달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감정이 일어날 때 내 안의 감정을 제 3자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건 스트레스야‘, ’이건 불안이야‘, ’이건 분노야‘ 이런 식으로 나의 감정을 다른 사람의 눈으로 바라보는 순간 아미그달라는 진정되기 시작할 것이다.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는 것 만으로도 상처는 쉽게 치유된다. 내 마음 속의 감정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는 것이다. 감정을 어린아이를 달래듯 조용히 지켜봐주기만 해도 부정적인 생각은 금방 사라질 것이다. 물론 무작정 참는 것과는 확연히 다르다. 참으면 병이 되지만 감정을 바라본다면 치유에 도움이 된다. 글쓰기는 나의 감정을 바라보기에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치유에 있어서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요인이다. 의도적인 반추를 할수록 억압된 경험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생각해 보는 기회를 얻게 된다. 고통스러운 외상적 경험을 했더라도 그 상황의 실제적이고 긍정적인 점을 찾도록 노력하고 보다 외상적 기억이 보다 안전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이 과정에서 역시 글쓰기가 도움이 된다. 글을 쓰면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들여다보고 고통의 원인을 반추하여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객관화할 수 있다.
3. 결론
외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외상적 경험을 회피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자신의 기억을 바라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외상 기억을 새롭게 해석하고 재구성해야한다. 글을 쓰는 것은 보다 객관적이고 정리된 형태로 외상 경험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해준다. 자신의 감정을 받아들이고 인정하고, 또 용서할 수 있게 된다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극복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외상적 사건을 단 하나의 독립적인 사건으로 바라보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 외상적 경험 이전과 실제 경험, 그리고 외상 이후의 환경까지 모두 하나의 맥락으로 파악해야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외상적 기억은 실제 외상적 사건의 사실과 분리되어 암묵적으로 기억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리된 외상적 사건의 요소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이야기로 만드는 것이 이를 과거에 안전하게 배치하기 위한 과정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노력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고 주변과 보다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되며, 단순히 외상 후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보다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4. 출저 및 참고문헌
한유리, 윤지애, 최경숙.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인지기능: 문헌고찰.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20.
http://www.riss.kr/link?id=A107148778
바빗 로스차일드. 내 인생을 힘들게 하는 트라우마. 소울메이트. 2013.
http://www.riss.kr/link?id=M13115450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N 의학정보, 건강정보, SNUH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52
4) 임재호. 한국형 PTSD 치료 시스템 모형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2015.08
http://www.riss.kr/link?id=A100862850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26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1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