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용어 및 약어
2.학습내용
1) 마취
2) 수술 전 환자준비
3) 회복실 간호
4) 봉합사와 바늘류
5) 흡인간호
6) 수혈요법
7) 유치도뇨
8) 외과적 무균술 및 소독
2.학습내용
1) 마취
2) 수술 전 환자준비
3) 회복실 간호
4) 봉합사와 바늘류
5) 흡인간호
6) 수혈요법
7) 유치도뇨
8) 외과적 무균술 및 소독
본문내용
을 측정하기 위함
- 시간당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함
- 의식이 없는 실금 대상자의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함
- 지속적 혹은 간헐적인 방광세척을 하기 위함
- 장시간 전신마취를 하여 수술을 하는 경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
(2) 유치도뇨 관 크기, 삽입 길이
- 관 크기
성인 : 16Fr (여성) , 18Fr(남성) / 소아 : 8~12Fr
- 삽입 길이
여성 : 5-8cm / 남성 : 21cm
(3) 유치도뇨 시 주의사항
- 체위 : supine position에서 무릎을 굽히고 60도 정도 벌린 자세
- 커프 확인 : 성인 5-10cc 소아 3cc
- 카테터 5cm 정도 윤활제 바르기
- 소변이 나오기 시작하면 1-2cm 정도 더 삽입
- ballooning 후에 조금 당겨보아 빠지지 않는지 확인 후 다시 약간 밀어 넣음
- 여성 : 대퇴 고정 / 남성 : 하복부 고정 (복부수술 시 대퇴부)
- 관리 : urine bag은 침상 아래 , 역류 방지 , 요의를 느끼는 점 정상
- 회음부 간호 매일 시행 : saline 또는 0.1% hibisol 사용
- 요로감염 증상 관찰
8) 외과적 무균술 및 소독
외과적 무균술
아포를 포함한 병원체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 미생물도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방법
(1)외과적 손씻기
- 손, 손톱, 전박에 있는 일시균을 제거하고 상주균의 수를 물리적·화학적·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최소화하기 위해서 시행
(2) 멸균장갑
- 대상자의 점막, 피부, 혈액, 체액 등으로부터 간호사의 손을 보호하고 간호사의 손에 묻어있는 미생물이 대상자에게 전파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멸균영역에서 멸균물품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행
(3) 멸균 용액
- 멸균 영역으로부터 10cm 위에서 튀지 않게 천천히 용액을 따름
- 용액은 개봉된 시기로부터 24시간이 경과하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 소독액은 개봉 후 1주일을 넘지 않도록 함
(4) 멸균섭자
- 섭자의 끝은 항상 손목 아래에 위치하게 함
- 섭자를 허리높이보다 높이 들어서 사용하고 시야 내에 두어야 함
소독
(1) 피부소독제
종류
특성
적용
단점
Povidone iodine
· 광범위한 소독제
· 용액과 젤 형태가 있음
· 수술실 스크럽: 75%
· 피부준비: 10%
· 점막: 0.5~1%
· 상처: 1~10%
아포, 바이러스, 진균, 그람양성 /음성 균에 감염
· 피부자극
· 섬유아세포에 독성이 깊고 큰 상처에서는 전신 흡수의 위험
Chlorexidine gluconate
· 2% 희석액 사용
· 지속적 효과
· 전신 흡수 위험과 육아조직에 대한 독성이 낮음
그람 양성/음성균 감염
· 피부민감성
· pobidone과 함께 사용 시 비활성화
Acetic acid (과초산)
· 상처에 통증을 유발하고 피부를 자극하므로 상처가 깨끗해지면 즉시 사용 중단
· 녹농균 감염
· 그람 양성/음성균 감염
· 섬유아세포에 독성
Dakin\'s solution
· 0.025% 희석액 사용
· 실온에서 1,2일간 보관 가능, 4일간 냉장보관 가능
· MRSA, 녹농균, 대장균의 감염성 상처나 괴사성 상처
· 섬유아세포에 독성
Alchol
· 60~70% 희석액 사용
· 단시간에 소독 효과
· 그람 양성/음성균, 결핵균 감염
· 피부자극이 심하고 피부건조를 유발하므로 개방창상에 사용 금함
Hydrogen peroxide
· 0.75~3% 희석액 사용
· 발생기 산소를 생성하여 소독효과를 내나 세균사멸 작용은 거의 없음
오염된 상처와 괴사된 조직의 세척 및 제거
· 공공과 루에는 사용금지(공기 색전증의 발생이 보고됨)
· 섬유아세포에 독성
· 고농도를 구간에 사용하면 점막 손상
- 시간당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함
- 의식이 없는 실금 대상자의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함
- 지속적 혹은 간헐적인 방광세척을 하기 위함
- 장시간 전신마취를 하여 수술을 하는 경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
(2) 유치도뇨 관 크기, 삽입 길이
- 관 크기
성인 : 16Fr (여성) , 18Fr(남성) / 소아 : 8~12Fr
- 삽입 길이
여성 : 5-8cm / 남성 : 21cm
(3) 유치도뇨 시 주의사항
- 체위 : supine position에서 무릎을 굽히고 60도 정도 벌린 자세
- 커프 확인 : 성인 5-10cc 소아 3cc
- 카테터 5cm 정도 윤활제 바르기
- 소변이 나오기 시작하면 1-2cm 정도 더 삽입
- ballooning 후에 조금 당겨보아 빠지지 않는지 확인 후 다시 약간 밀어 넣음
- 여성 : 대퇴 고정 / 남성 : 하복부 고정 (복부수술 시 대퇴부)
- 관리 : urine bag은 침상 아래 , 역류 방지 , 요의를 느끼는 점 정상
- 회음부 간호 매일 시행 : saline 또는 0.1% hibisol 사용
- 요로감염 증상 관찰
8) 외과적 무균술 및 소독
외과적 무균술
아포를 포함한 병원체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 미생물도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방법
(1)외과적 손씻기
- 손, 손톱, 전박에 있는 일시균을 제거하고 상주균의 수를 물리적·화학적·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최소화하기 위해서 시행
(2) 멸균장갑
- 대상자의 점막, 피부, 혈액, 체액 등으로부터 간호사의 손을 보호하고 간호사의 손에 묻어있는 미생물이 대상자에게 전파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멸균영역에서 멸균물품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행
(3) 멸균 용액
- 멸균 영역으로부터 10cm 위에서 튀지 않게 천천히 용액을 따름
- 용액은 개봉된 시기로부터 24시간이 경과하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 소독액은 개봉 후 1주일을 넘지 않도록 함
(4) 멸균섭자
- 섭자의 끝은 항상 손목 아래에 위치하게 함
- 섭자를 허리높이보다 높이 들어서 사용하고 시야 내에 두어야 함
소독
(1) 피부소독제
종류
특성
적용
단점
Povidone iodine
· 광범위한 소독제
· 용액과 젤 형태가 있음
· 수술실 스크럽: 75%
· 피부준비: 10%
· 점막: 0.5~1%
· 상처: 1~10%
아포, 바이러스, 진균, 그람양성 /음성 균에 감염
· 피부자극
· 섬유아세포에 독성이 깊고 큰 상처에서는 전신 흡수의 위험
Chlorexidine gluconate
· 2% 희석액 사용
· 지속적 효과
· 전신 흡수 위험과 육아조직에 대한 독성이 낮음
그람 양성/음성균 감염
· 피부민감성
· pobidone과 함께 사용 시 비활성화
Acetic acid (과초산)
· 상처에 통증을 유발하고 피부를 자극하므로 상처가 깨끗해지면 즉시 사용 중단
· 녹농균 감염
· 그람 양성/음성균 감염
· 섬유아세포에 독성
Dakin\'s solution
· 0.025% 희석액 사용
· 실온에서 1,2일간 보관 가능, 4일간 냉장보관 가능
· MRSA, 녹농균, 대장균의 감염성 상처나 괴사성 상처
· 섬유아세포에 독성
Alchol
· 60~70% 희석액 사용
· 단시간에 소독 효과
· 그람 양성/음성균, 결핵균 감염
· 피부자극이 심하고 피부건조를 유발하므로 개방창상에 사용 금함
Hydrogen peroxide
· 0.75~3% 희석액 사용
· 발생기 산소를 생성하여 소독효과를 내나 세균사멸 작용은 거의 없음
오염된 상처와 괴사된 조직의 세척 및 제거
· 공공과 루에는 사용금지(공기 색전증의 발생이 보고됨)
· 섬유아세포에 독성
· 고농도를 구간에 사용하면 점막 손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