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입니다)아동간호학 실습, NICU 실습,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간호과정,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간호진단 3가지, RDS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자료입니다)아동간호학 실습, NICU 실습,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간호과정,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간호진단 3가지, RDS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자 정보

2) 문헌고찰
1. 진단명
2. 정의
3. 원인
4. 임상증상
5. 치료
6. 간호

3) 진단검사
1. 임상병리검사 : 검사명, 검사일, 정범위와 검사수치와의 비교를 통한 임상적 의의를 작성
2. 방사선 검사
3. 기타 진단검사

4) 약물요법
1. Fluid
2. 주사제
3. 경구용

5)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6)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본문내용

ABGA상 PCO2 49.7, PO2 46.7 로 나타남.
crying 후 apnea 보이며 Sp02 76% down 함.
미성숙한 폐 기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객관적 자료
구강수유 중 입가에 청색증 보임.
구강수유 중 산소포화도 떨어짐.
우유를 먹다가 역류하는 증상 보임.
수유 중 무호흡과 관련된 기도 흡인 위험성
객관적 자료
T.Bilirubin 5.78, D. Bilirubin 0.69로 높게 나타남.
skin color-icteric 보여 photo therapy start.
빛 자극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6)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간호진단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목표
계획
미성숙한 폐 기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단기목표
- 일주일 이내에 P02가 60이 될 것이다.
- 일주일 이내에 apnea 횟수가 하루에 2번 이하로 될것이다.
- chest retraction 빈도가 줄어들 것이다.
장기목표
- PO2, PCO2 가 정상범위로 될 것이다.
- apnea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 chest retraction이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 산소포화도를 95~100%로 잘 유지할 것이다.
1. 호흡곤란의 징후를 관찰한다.
2. 자주 산소분압 모니터를 확인하여 상태를 확인한다.
3. 적어도 4시간마다 한번씩 v/s 을 체크하며 특히 호흡수와 리듬, 호흡음을 자세히 사정한다.
4. chest retraction과 비익호흡의 여부를 확인한다.
5. 의사 처방하에 ABGA를 시행하여 필요시 적절한 산소를 공급한다.
6.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해 분비물을 배출한다.
1. 초기사정으로 호흡곤란을 빨리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2. 아이의 상태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3. 아이의 상태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4. 호흡곤란의 징후므로 자세히 관찰한다.
5. 동맥혈가스분석으로 동맥혈 내 산소분압과 이산화탄소 분압을 확인하고 필요한 간호를 수행한다.
6. 분비물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1. 산소포화도 모니터와 흉부견축을 확인해 호흡곤란의 징후를 관찰하였다.
2. 적어도 4시간마다 한번씩 v/s 을 체크하였다.
3. 의사처방하에 ABGA를 시행하여 필요시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였다. (3L/min)
4. 흉부물리요법 (타진법)을 시행해 분비물을 배출하였다.
apnea의 횟수가 하루에 2번 이하로 되었다.
산소포화도가 95~100%로 유지되었다.
간호진단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목표
계획
수유 중 무호흡과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
단기목표
- 비경구적 수유를 공급해 기도흡인 위험성을 줄일 것이다.
- 일주일 이내에 수유 동안 SPO2 저하는 2회 이하로 발생할 것이다.
장기목표
- 수유로 인한 기도흡인을 경험하지 않을것이다.
- 수유 중 청색증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 적절한 구강수유가 이루어질 것이다.
1. 수유능력을 사정한다.
2. 처방이 나면 비경구적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3. 신생아의 I/O체크를 확실히 하며 체중변화를 하루에 한번씩 꼭 잰다.
4. 적절한 수유방법을 적용한다.
5. 되도록 안아서 먹이도록 하며, 수유 중간중간에 등을 두드려 준다.
6. 한꺼번에 다 먹이려고 하지 말고 조금씩 조금씩 나눠서 먹인다.
7. 자주 산소분압 모니터를 확인하여 상태를 확인한다.
8. 수유 후 반드시 트림을 시켜준다.
9. 수유 후 눕혀줄 때는 고개를 돌려준다.
1. 수유능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2. 위관영양을 적용해 기도흡인 위험을 줄여준다.
3. I/O체크로 아이의 대사상태를 알 수 있다.
4. 편안한 수유를 위함이다.
5. 소화가 되게끔 도와주기 위함이다.
6. 역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7. 아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8. 적절한 소화를 위함이다.
9. 기도개방을 위함이다.
1. G-tube를 삽입해(13.5cm)위관영양을 실시하였다.
2. 아이의 I/O체크를 확실히 하며 귀저기 갈 때 체중을 꼭 재었다.
3. 안아서 먹이며, 수유 중간중간에 등을 두드려 주었다.
4. 우유를 소량씩 나누어 먹였다. (눈금에 맞춰서)
5. 수유 후 트름을 시
켜주었다.
수유 중 산소포화도가 80%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우유 먹은 후 역류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진단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목표
계획
빛 자극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단기목표
- 일주일 이내에 T.Bilirubin 수치가 3,
D. Bilirubin 수치가 0.5로 감소할 것이다.
장기목표
- T.Bilirubin 수치가 0.10~1.20,
D. Bilirubin 수치가 0.0~0.40로 정상범위 안에 들게 될 것이다.
- 황달이 없어질 것이다.
- 간 기능이 회복될 것이다.
1. 빛 아래에 기저귀를 제외한 옷을 벗기고 눕혀서 신체의 모든 부위가 빛에 노출되도록 하고 자주 체위를 바꿔준다.
2. 광선요법이 시작되면 4~12시간마다 혈청빌리루빈 수치를 자주 측정
3. 콧구멍을 막지 않도록 불투명한 안대로 눈을 가려준다.
4. 안대를 씌우기 전에 아이의 눈꺼풀을 감겨준다. 5. 교대시간마다 분비물, 눈꺼풀의 과도한 압력, 각막 자극에 대해 눈을 검사한다.
6. 눈가리개는 수유 동안 벗겨준다.
7. 피부를 잘 관찰한다.
8. 지용성 윤활제나 로션은 사용하지 않는다.
1. 신체 모든 부위가 고루 빛을 받아 고빌리루빈 혈증을 감소하기 위함이다.
2. 자주 측정해 수치를 확인한다.
3. 아이의 눈이 빛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4. 각막이 드레싱에 접촉되어 각막이 벗겨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5. 눈상태에 대해 사정한다.
6.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자극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7. 표피박리와 손상을 나타나는 탈수와 피부 건조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8. 피부가 지나치게 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1. 자주 체위를 바꿔주었다. (복위-앙와위-측위)
2. 불투명한 안대로 눈을 가려주었다.
3. 안대를 씌우기 전에 아이의 눈꺼풀을 감겨주었다.
4. 피부를 잘 관찰하였다. (지속적으로 압력 받는 부위, 갈색 변색, 발진의 징후, 황달의 정도 변화 사정)
5. 윤활제나 로션을 사용하지 않았다.
황달이 없어져 광선요법을 끝내게 되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8.30
  • 저작시기202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