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청소년 시기 올바른 성문화 형성의 중요성
2. 본론: 청소년 맞춤 성교육
(1) 2030 멘토와 함께 하는 성교육 대담회
(2) 변하는 사회 시각을 담은 성교육 강의
(3) sns를 활용한 일상적인 성교육 공론장
3. 결론: 청소년은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2. 본론: 청소년 맞춤 성교육
(1) 2030 멘토와 함께 하는 성교육 대담회
(2) 변하는 사회 시각을 담은 성교육 강의
(3) sns를 활용한 일상적인 성교육 공론장
3. 결론: 청소년은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본문내용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세 가지 방법이 상호 보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담회의 내밀한 한계는 공론장이, 강의의 공개적인 거부감은 대담회가, 공론장의 방향성 설정은 강의가 해낼 수 있다. 즉 청소년 성교육은 어느 한 층위에서만 이뤄져야 할 것이 아니라 내밀한 곳에서도, 공개적인 곳에서도, 일상적인 곳에서도 행해질 필요가 있다.
3. 결론: 청소년은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청소년 성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청소년 스스로가 성의 주체라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다. 하나의 주체가 된다는 데에는 많은 부담과 위험이 따른다. 청소년 시기는 사회적인 역할로부터 제외되는 시기이기는 하지만, 예외적으로 성적인 부분에 있어서만은 결코 그럴 수 없다는 점을 명확하게 인지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성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다른 사람이 책임지는 일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적인 영역에서 주체가 된다는 점을 두려워하거나 두렵게 느끼기만 한다면 그것 또한 문제가 될 것이다. 성적인 영역은 두려운 영역이 아니라, 인간의 생명과 가장 직결된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이 때로는 신비스럽고, 때로는 아름답고, 때로는 즐겁고 황홀한 것이라는 점 또한 청소년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주체가 된다는 것의 어려움과 주체가 되는 일의 즐거움을 모두 알고, 주체가 되려고 노력할 때 우리는 그러한 청소년을 건강한 성의 주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성교육의 목표 중 하나는 청소년이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성교육하는 사람은 경험의 선배이자 더 많이 공부한 선생으로서 청소년이 건강한 성적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청소년이 성과 관련하여 어떤 어려움에 부닥쳤는지 귀 기울여 듣고, 그와 관련하여 깊고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만약 청소년이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면, 그러한 교육을 시행한 주체 또한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도록 돕고, 또 스스로가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는 교육이 쉽지만은 않다. 아직 한국 사회는 성에 관해 보수적이고, 또 성을 두려운 영역이라 인식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려움은 성교육을 하는 데 방해가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성교육을 해야 하는 당위를 만들어주기도 한다. 사회적 조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올바른 성교육이 더욱 필요하다.
3. 결론: 청소년은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청소년 성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청소년 스스로가 성의 주체라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다. 하나의 주체가 된다는 데에는 많은 부담과 위험이 따른다. 청소년 시기는 사회적인 역할로부터 제외되는 시기이기는 하지만, 예외적으로 성적인 부분에 있어서만은 결코 그럴 수 없다는 점을 명확하게 인지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성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다른 사람이 책임지는 일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적인 영역에서 주체가 된다는 점을 두려워하거나 두렵게 느끼기만 한다면 그것 또한 문제가 될 것이다. 성적인 영역은 두려운 영역이 아니라, 인간의 생명과 가장 직결된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이 때로는 신비스럽고, 때로는 아름답고, 때로는 즐겁고 황홀한 것이라는 점 또한 청소년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주체가 된다는 것의 어려움과 주체가 되는 일의 즐거움을 모두 알고, 주체가 되려고 노력할 때 우리는 그러한 청소년을 건강한 성의 주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성교육의 목표 중 하나는 청소년이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성교육하는 사람은 경험의 선배이자 더 많이 공부한 선생으로서 청소년이 건강한 성적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청소년이 성과 관련하여 어떤 어려움에 부닥쳤는지 귀 기울여 듣고, 그와 관련하여 깊고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만약 청소년이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면, 그러한 교육을 시행한 주체 또한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도록 돕고, 또 스스로가 건강한 성의 주체가 되는 교육이 쉽지만은 않다. 아직 한국 사회는 성에 관해 보수적이고, 또 성을 두려운 영역이라 인식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려움은 성교육을 하는 데 방해가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성교육을 해야 하는 당위를 만들어주기도 한다. 사회적 조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올바른 성교육이 더욱 필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