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경계를 넘어서 새로운 세계와 타자와의 만남을 통한 '자기(自己, identity)'의 변화J라는 주제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2개 이상의 장면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공백 포함 1,100자)
2. 영화 <아무도 모른다>는 실제 일어난 사건을 제재로 하였다. 영화가 실제 사건과 인물을 어떻게 다루었는지, 연출 방식의 특징을 구체적인 장면 분석과 함께 설명하시오. (공백 포함 1,100자)
2. 영화 <아무도 모른다>는 실제 일어난 사건을 제재로 하였다. 영화가 실제 사건과 인물을 어떻게 다루었는지, 연출 방식의 특징을 구체적인 장면 분석과 함께 설명하시오. (공백 포함 1,100자)
본문내용
반영한 부분이다.
실제 사건이 얼마나 참혹했는지를 생각해보면, 영화의 은유적인 연출 방식이나 사건의 일부를 각색함으로써 충격을 축소시키는 것은 보는 관객들로 하여금 감정적으로 지나치게 흔들려 ‘공분’하는 것이 아니라 슬픔과 분노를 느끼되 차분하게 사건의 원인에 대해 되짚어 보게 하는 결과를 불러온다. 아동이 방치되는 사건을 보면 우리는 그 사건의 원인을 ‘어머니의 무책임함’에서 찾아내기가 쉬운데, 감독이 의도적으로 어머니를 자세히 그리지 않고 아이들이 놓인 상황과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극도의 클로즈업을 통해 그려냄으로써 관객들은 사건의 원인이자 악역으로 어머니를 비난할 수가 없게 되며, 그 사건에 대해 객관적으로 ‘무죄’인 사람들은 아무도 없다는 생각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영화는 아마추어 아역 배우들의 연기력을 가리기 위해 신체 클로즈업을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손이나 발을 화면 가득 잡는 연출을 즐겨 사용한다. 이러한 연출로 인해 아이들이 놓인 비참한 상황에 관객이 과몰입하여 아이들을 두고 집을 나가버린 어머니를 비난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무도 모른다’는 제목이 알려주는 것처럼 ‘우리도’ 저 아이들을 몰랐다는 반성을 이끌어내고자 한 것이다.
실제 사건이 얼마나 참혹했는지를 생각해보면, 영화의 은유적인 연출 방식이나 사건의 일부를 각색함으로써 충격을 축소시키는 것은 보는 관객들로 하여금 감정적으로 지나치게 흔들려 ‘공분’하는 것이 아니라 슬픔과 분노를 느끼되 차분하게 사건의 원인에 대해 되짚어 보게 하는 결과를 불러온다. 아동이 방치되는 사건을 보면 우리는 그 사건의 원인을 ‘어머니의 무책임함’에서 찾아내기가 쉬운데, 감독이 의도적으로 어머니를 자세히 그리지 않고 아이들이 놓인 상황과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극도의 클로즈업을 통해 그려냄으로써 관객들은 사건의 원인이자 악역으로 어머니를 비난할 수가 없게 되며, 그 사건에 대해 객관적으로 ‘무죄’인 사람들은 아무도 없다는 생각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영화는 아마추어 아역 배우들의 연기력을 가리기 위해 신체 클로즈업을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손이나 발을 화면 가득 잡는 연출을 즐겨 사용한다. 이러한 연출로 인해 아이들이 놓인 비참한 상황에 관객이 과몰입하여 아이들을 두고 집을 나가버린 어머니를 비난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무도 모른다’는 제목이 알려주는 것처럼 ‘우리도’ 저 아이들을 몰랐다는 반성을 이끌어내고자 한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