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회로이론
2. 전자회로
2. 전자회로
본문내용
p형 반도체는 전자를 받는 acceptor 역할을 한다.
- 접합 시, 확산을 통해서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고, 접합 부분에는 이온만 존재하게 된다.
- 이 때, 접합면 근처를 depletion이라 표현한다.
(9) 다이오드
- pn 접합으로 이루어짐
- p형 반도체에 (+)극, n형 반도체에 (-)극이 연결된 경우 순방향 바이어스라고 하고 외부에 서 자유 전자와 정공은 공급해주기 때문에 전압이 없는 상태보다 depletion이 감소하고, 따라서 pn 접합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 p형 반도체에 (-)극, n형 반도체에 (+)극이 연결된 경우 역방향 바이어스라고 하고 자유 전자와 정공이 전극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전압이 없는 상태보다 depletion이 증가하고, 따라서 pn 접합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 순방향 바이어스일 때 전류 장벽을 넘어야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보통 0.7V가 넘으면 전 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다이오드는 0.7V 기준으로 스위치처럼 모델링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 역방향 바이어스일 때 보통은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큰 전압(ex. 100V, 200V)을 흘려주게 되면 다이오드가 깨지면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 접합 시, 확산을 통해서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고, 접합 부분에는 이온만 존재하게 된다.
- 이 때, 접합면 근처를 depletion이라 표현한다.
(9) 다이오드
- pn 접합으로 이루어짐
- p형 반도체에 (+)극, n형 반도체에 (-)극이 연결된 경우 순방향 바이어스라고 하고 외부에 서 자유 전자와 정공은 공급해주기 때문에 전압이 없는 상태보다 depletion이 감소하고, 따라서 pn 접합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 p형 반도체에 (-)극, n형 반도체에 (+)극이 연결된 경우 역방향 바이어스라고 하고 자유 전자와 정공이 전극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전압이 없는 상태보다 depletion이 증가하고, 따라서 pn 접합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 순방향 바이어스일 때 전류 장벽을 넘어야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보통 0.7V가 넘으면 전 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다이오드는 0.7V 기준으로 스위치처럼 모델링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 역방향 바이어스일 때 보통은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큰 전압(ex. 100V, 200V)을 흘려주게 되면 다이오드가 깨지면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