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대물림되는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많은 함의를 제공해 준다. 이러한 다세대가족치료의 주요개념인 자기분화와 만성불안의 원리, 삼각관계, 핵가족 정서체계와 가족투사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의를 쓰시오(30점).
1. 다세대가족치료의 주요개념
1)자기분화
2)만성불안의 원리
3)삼각관계
4)핵가족 정서체계
5)가족투사과정
2.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의
3. 참고문헌
1. 다세대가족치료의 주요개념
1)자기분화
2)만성불안의 원리
3)삼각관계
4)핵가족 정서체계
5)가족투사과정
2.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의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라서 어린 자녀를 키우는 입장에서 자녀의 성장을 위해서는, 성인이 되기 전에 부모에 대한 의존심을 버리고 독립심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삼각관계는, 부부의 갈등은 두 사람 선에서 해결하는 것이 자녀의 건강한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비삼각관계가 부부 갈등의 치료목표가 되는 것이다.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엄마가 유독 자녀에 대한 애착이 강해보는 것은, 어쩌면 부부 간의 갈등이 그만큼 심하다는 방증으로 이해될 수도 있겠다. 물론 엄마는 자녀에 대한 강한 애착을 자녀에 대한 관심과 사랑으로 오해할 것이다. 결국 삼각관계의 형성은 부부 간의 갈등 해결의 임시방편이자 또 다른 문제의 원인이 됨으로써,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문제의 확대로 귀결되는 것이다.
핵가족 정서체계 개념은 자녀의 분화수준이 부모의 분화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자녀의 분화수준은 그 자녀의 자녀의 분화수준에 영향을 미치면서 세대를 이어 내려가는 것이다. 즉, 미분화는 세대에 걸쳐 내려간다. 따라서 나와 내 가족의 미분화는 당대 우리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후손의 문제이기도 한 것임을 깊이 인식하고, 미분화 해결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가족투사과정은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부모가 미분화에서 오는 불안을 자녀와의 삼각관계를 통해 회피하려는 모습을 설명한다. 투사대상이 된 자녀는 최소한의 자기분화 수준을 유지한 채, 부모와 밀착관계를 가진다. 결국 가족투사과정은 다음 세대를 희생시키면서 불안을 경감시키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부모가 자신의 미분화를 자녀에게 전달함으로써 미분화는 세대를 걸쳐 진행되는 것이다. 이는 한 가정의 행복은 그 부모의 행복을 전제로 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결국 부모가 행복하지 못하면 자녀도 행복하게 되지 못하는 것이다. 부모의 불행을 대가로 하여 자녀가 행복해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자기 자녀가 행복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면, 먼저 부모 자신의 행복 수준부터 점검하고 그들 자신이 행복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된다면, 부모의 행복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이 자녀가 불행해지지 않는 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자녀의 행복은 부모의 행복과 함수 관계가 있는 것이다.
3. 참고문헌
하혜숙·강지현(2020).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하혜숙(2020). 상담자가 건네는 말. 에피스테메.
삼각관계는, 부부의 갈등은 두 사람 선에서 해결하는 것이 자녀의 건강한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비삼각관계가 부부 갈등의 치료목표가 되는 것이다.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엄마가 유독 자녀에 대한 애착이 강해보는 것은, 어쩌면 부부 간의 갈등이 그만큼 심하다는 방증으로 이해될 수도 있겠다. 물론 엄마는 자녀에 대한 강한 애착을 자녀에 대한 관심과 사랑으로 오해할 것이다. 결국 삼각관계의 형성은 부부 간의 갈등 해결의 임시방편이자 또 다른 문제의 원인이 됨으로써,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문제의 확대로 귀결되는 것이다.
핵가족 정서체계 개념은 자녀의 분화수준이 부모의 분화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자녀의 분화수준은 그 자녀의 자녀의 분화수준에 영향을 미치면서 세대를 이어 내려가는 것이다. 즉, 미분화는 세대에 걸쳐 내려간다. 따라서 나와 내 가족의 미분화는 당대 우리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후손의 문제이기도 한 것임을 깊이 인식하고, 미분화 해결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가족투사과정은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부모가 미분화에서 오는 불안을 자녀와의 삼각관계를 통해 회피하려는 모습을 설명한다. 투사대상이 된 자녀는 최소한의 자기분화 수준을 유지한 채, 부모와 밀착관계를 가진다. 결국 가족투사과정은 다음 세대를 희생시키면서 불안을 경감시키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부모가 자신의 미분화를 자녀에게 전달함으로써 미분화는 세대를 걸쳐 진행되는 것이다. 이는 한 가정의 행복은 그 부모의 행복을 전제로 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결국 부모가 행복하지 못하면 자녀도 행복하게 되지 못하는 것이다. 부모의 불행을 대가로 하여 자녀가 행복해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자기 자녀가 행복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면, 먼저 부모 자신의 행복 수준부터 점검하고 그들 자신이 행복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된다면, 부모의 행복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이 자녀가 불행해지지 않는 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자녀의 행복은 부모의 행복과 함수 관계가 있는 것이다.
3. 참고문헌
하혜숙·강지현(2020).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하혜숙(2020). 상담자가 건네는 말. 에피스테메.
키워드
추천자료
Murray Bowen에대해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
[가족치료]가족치료의 유형(Murray Bowen,구조적 가족치료,전략적 가족치료,경험적 가족치료,...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의 가족치료이론 치료의 적용.ppt
Transgenerational Model (다세대적 모델 - 보웬 Bowen 가족치료를 중심으로)
보웬(Bowen)의 가족치료 (다세대가족치료,자기분화,삼각관계,핵가족의 정서과정,가족투사과정...
심리학에게묻다1)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문제...
[교양][22년][심리학에게묻다]중간과제물_다세대가족치료의 주요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
(심리학에게묻다, 공통)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