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래 문제에 대해 각각 서술해주세요(총 6문제. 문제당 5점. 한 문항당 0.5매. 총 30점 만점).
(1) 교재 1장을 참조하여 조선 농촌사회에서 이앙법이 널리 퍼지게 된 배경을 서술해주세요.
(2) 교재 5장을 참조하여 한국인들이 쌀밥을 주식으로 삼게 된 배경을 파악해 주세요.
(3) 교재 8장을 참조하여 ‘민장’이 다루는 주요 의제와 그 사회적 의미를 설명해주세요.
(4) 교재 10장을 참조하여 조선시대 양반의 관직 진출 방법을 설명해주세요.
(5) 교재 12장을 참조하여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함께 노비제가 해체되는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6) 교재 15장을 참조하여 전통사회에서 공동체가 수행했던 제의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해주세요.
(7) 참고문헌
(1) 교재 1장을 참조하여 조선 농촌사회에서 이앙법이 널리 퍼지게 된 배경을 서술해주세요.
(2) 교재 5장을 참조하여 한국인들이 쌀밥을 주식으로 삼게 된 배경을 파악해 주세요.
(3) 교재 8장을 참조하여 ‘민장’이 다루는 주요 의제와 그 사회적 의미를 설명해주세요.
(4) 교재 10장을 참조하여 조선시대 양반의 관직 진출 방법을 설명해주세요.
(5) 교재 12장을 참조하여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함께 노비제가 해체되는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6) 교재 15장을 참조하여 전통사회에서 공동체가 수행했던 제의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해주세요.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하여 지속적으로 노비 신분에서 벗어났다.
1669년 양인 인구의 증대 방침으로 노와 양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에 대해 종모법을 적용하여 양인이 될 수 있는 길도 열렸다. 이 규정은 집권세력의 변화에 따라 번복과 시행을 거듭하다 1731년 확정되었다. 이로써 양천교혼은 노비 소유주의 재산증식 방편이 아니라 오히려 노비수 감소에 기여하게 되었다. 1886년에는 노비 세습제가 폐지되고 이어 노비 소생의 매매금지와 양인화가 법적으로 보장되었다. 이후 1894년에는 신분제의 폐지와 함께 노비제가 제도적으로는 종식되었다.
(6) 교재 15장을 참조하여 전통사회에서 공동체가 수행했던 제의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해주세
요.
민간신앙이라 불리는 전통사회의 종교현상은 제사의례와 금기의 복합으로 나타난다. 민간신앙은 제의가 행해지는 공동체의 범주에 따라 가정신앙, 마을신앙, 고을신앙으로 구분된다. 고을신앙은 규모는 크지만 마을신앙의 범주에서 이해할 수 있다.
마을신앙을 대표하는 마을제는 동제로 일반화할 수 있다. 동(洞), 리(里), 방(坊) 등의 조선시대 마을은 세금체계와 같은 국가제도의 틀 속에서 하나의 경제적 단위 집단으로, 이동이 거의 없었던 전통사회에서 일반 백성들이 경험하는 세계의 공간적 한계였다. 하나의 우주로서 마을이라는 세계를 주재하는 동신은 동민들의 행위에 따라 마을살이의 안녕과 풍요를 보장해 주는 존재일 수 있었다. 그들은 마을의 조건에 따라 산신, 용왕 혹은 조상이나 특정의 역사적 경험을 반영하는 인물신일 수도 있다.
각 가정은 마을 안에서 각각의 개별적인 삶이 연속되는 사회적·공간적 장이다. 집은 마을이라는 세계 속에서 하나의 하부 세계를 이루고 있다. 한 마을의 형성이 집의 확대로 이루어지면, 마을은 같은 혈족의 사람들로 구성되는 동족(同族) 마을이 된다. 마을이 공간적으로 한계에 도달하면, 한 집안의 분가는 공간적으로 인근 지역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는 발판을 마련한다. 그리고 새로운 마을에 모셔진 동신 역시 기존 마을의 신격과 가족관계를 이루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마을과 집이 공간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밀접한 상호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마을의 중요한 신앙행위인 마을제와 가신 의례 역시 일정한 상관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제의는 한 사회집단의 정신문화의 정수로, 환경적 요소에 좌우되는 사회적 여러 상황에 의해 그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제의 주체들의 세계 경험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것은 특히 자신들이 그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생태적 환경에 대한 적응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자연촌락으로서 마을은 주민의 추천으로 수령이 임명하는 장을 중심으로 자체 재산을 소유· 관리하며 자치적인 형태로 존재하였다. 마을신앙 혹은 마을제의 관행은 자치적 지연공동체로서 마을의 핵심적 기능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가정신앙은 전통 농경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었던 두 가지 삶의 조건, 즉 집의 안녕 및 풍요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자신들의 소우주였던 집의 주관자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믿음이다. 이러한 믿음은 세계의 질서에 대해 신과 인간이 맺고 있는 상호작용에 대한 신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7) 참고문헌
송찬섭 외(2020),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출판문화원.
이앙법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3_2120&ganada=&pageUnit=10
이앙법의 보급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33_0020_0020_0010_0010
1669년 양인 인구의 증대 방침으로 노와 양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에 대해 종모법을 적용하여 양인이 될 수 있는 길도 열렸다. 이 규정은 집권세력의 변화에 따라 번복과 시행을 거듭하다 1731년 확정되었다. 이로써 양천교혼은 노비 소유주의 재산증식 방편이 아니라 오히려 노비수 감소에 기여하게 되었다. 1886년에는 노비 세습제가 폐지되고 이어 노비 소생의 매매금지와 양인화가 법적으로 보장되었다. 이후 1894년에는 신분제의 폐지와 함께 노비제가 제도적으로는 종식되었다.
(6) 교재 15장을 참조하여 전통사회에서 공동체가 수행했던 제의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해주세
요.
민간신앙이라 불리는 전통사회의 종교현상은 제사의례와 금기의 복합으로 나타난다. 민간신앙은 제의가 행해지는 공동체의 범주에 따라 가정신앙, 마을신앙, 고을신앙으로 구분된다. 고을신앙은 규모는 크지만 마을신앙의 범주에서 이해할 수 있다.
마을신앙을 대표하는 마을제는 동제로 일반화할 수 있다. 동(洞), 리(里), 방(坊) 등의 조선시대 마을은 세금체계와 같은 국가제도의 틀 속에서 하나의 경제적 단위 집단으로, 이동이 거의 없었던 전통사회에서 일반 백성들이 경험하는 세계의 공간적 한계였다. 하나의 우주로서 마을이라는 세계를 주재하는 동신은 동민들의 행위에 따라 마을살이의 안녕과 풍요를 보장해 주는 존재일 수 있었다. 그들은 마을의 조건에 따라 산신, 용왕 혹은 조상이나 특정의 역사적 경험을 반영하는 인물신일 수도 있다.
각 가정은 마을 안에서 각각의 개별적인 삶이 연속되는 사회적·공간적 장이다. 집은 마을이라는 세계 속에서 하나의 하부 세계를 이루고 있다. 한 마을의 형성이 집의 확대로 이루어지면, 마을은 같은 혈족의 사람들로 구성되는 동족(同族) 마을이 된다. 마을이 공간적으로 한계에 도달하면, 한 집안의 분가는 공간적으로 인근 지역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는 발판을 마련한다. 그리고 새로운 마을에 모셔진 동신 역시 기존 마을의 신격과 가족관계를 이루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마을과 집이 공간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밀접한 상호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마을의 중요한 신앙행위인 마을제와 가신 의례 역시 일정한 상관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제의는 한 사회집단의 정신문화의 정수로, 환경적 요소에 좌우되는 사회적 여러 상황에 의해 그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제의 주체들의 세계 경험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것은 특히 자신들이 그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생태적 환경에 대한 적응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자연촌락으로서 마을은 주민의 추천으로 수령이 임명하는 장을 중심으로 자체 재산을 소유· 관리하며 자치적인 형태로 존재하였다. 마을신앙 혹은 마을제의 관행은 자치적 지연공동체로서 마을의 핵심적 기능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가정신앙은 전통 농경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었던 두 가지 삶의 조건, 즉 집의 안녕 및 풍요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자신들의 소우주였던 집의 주관자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믿음이다. 이러한 믿음은 세계의 질서에 대해 신과 인간이 맺고 있는 상호작용에 대한 신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7) 참고문헌
송찬섭 외(2020),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출판문화원.
이앙법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3_2120&ganada=&pageUnit=10
이앙법의 보급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33_0020_0020_0010_0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