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학 ) 1 식물병원세균의 형태,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의학 ) 1 식물병원세균의 형태,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식물병원세균의 형태,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라.
2. 식물바이러스의 감염(침입)과 증식의 과정을 설명하라.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이러스가 되고 숙주세포의 소포체를 거쳐 골지체로 이동한 뒤 세포 밖으로 빠져나온다.
RNA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로 ssRNA 바이러스와 dsRNA로 나뉜다. RNA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RNA 복제효소에 대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RNA를 복제하여 증식한다. ssRNA 바이러스의 RNA가 자체로 mRNA로 작용되는 경우에는 숙주세포로 침입한 뒤 핵막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핵 외부에서 RNA를 복제하고, RNA는 숙주의 리보솜에 의해 번역이 이루어져 새로운 캡시드를 형성한 뒤 다시 조립되어 세포 밖으로 빠져나온다. ssRNA의 RNA를 가공을 거쳐 mRNA로 만들 경우, 숙주세포의 핵 내부로 삽입되어 splicing, capping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생성된 mRNA는 번역과정을 통해 바이러스 단백질이 되기도 하고, RNA의 복제에 쓰이기도 한다. 이렇게 증식된 RNA는 다시 세포 밖으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RNA가 DNA의 주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바이러스는 자체적으로 reverse transcriptase라는 역전사 효소를 지니고 있어, RNA는 숙주세포 내에서 DNA로 역전사(reverse-transcription)된다. 이런 바이러스를 레트로바이러스라고 부른다. 역전사 과정을 통해 생성된 바이러스 DNA는 숙주세포의 DNA에 끼어들어 DNA가 복제될 때 함께 복제된다. 바이러스의 DNA가 전사되어 RNA가 되면, 일부는 바이러스의 RNA가 되고, 일부는 숙주의 리보솜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캡시드나 기타 바이러스 단백질들을 만든다. 이후 바이러스 RNA와 단백질이 조립되어 복제된 바이러스가 다량 생성되고 소포체, 골지체를 통해 이동한 후 세포 외부로 배출된다. 대표적으로 AIDS의 원인이 되는 HIV virus가 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이영근. \"식물병원세균학 개론.\" 農業科學技術 硏究論文集 3.- (1995): 1-92.
http://www.riss.kr/link?id=A19556323
김영숙, 장숙진. \"세균 분류학의 기본 개념들.\"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15.3 (2012): 79-87. http://www.riss.kr/link?id=A101574600
박미리, 김국형. \"식물 바이러스 증식에 관여하는 기주 요인의 중요성.\" 식물병연구 11.2 (2005): 98-105. http://www.riss.kr/link?id=A104495625

키워드

  • 가격4,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9.1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3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