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애인복지론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애인이동권, 노동권 등) 하나를 선택하여, 권리 관점에서 현황 및 문제점 등을 작성하고 향후 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가. 권리 관점에서 현황 및 문제점 등 작성(1~2p)
나. 향후 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1~2p)
목차
1. 장애인 차별의 현황 및 문제점
2. 향후 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애인이동권, 노동권 등) 하나를 선택하여, 권리 관점에서 현황 및 문제점 등을 작성하고 향후 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가. 권리 관점에서 현황 및 문제점 등 작성(1~2p)
나. 향후 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1~2p)
목차
1. 장애인 차별의 현황 및 문제점
2. 향후 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
본문내용
도하고, 장애인 문제의 책임은 사회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개개인의 배려도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작은 변화들이 모여 큰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애인들이 스스로 선택,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며 그러한 변화가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들은 아직도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며 공공시설, 도로이용 또한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러한 부분도 장애인 차별에 하나라고 생각이 된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불편한 이들이 좀 더 이러한 대중교통, 공공시설물들을 이용하는데 조금이나마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방안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생각 든다.
또한 장애인들이 자신의 인생, 결정내용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타인으로 인한 결정, 언어적인 강요로 인하여 자신의 인생에 중요한 일들을 결정하게 강요당하는 것 또한 장애인 차별의 한 종류로 우리는 그들이 결정하기 힘들 때 다양한 정보 제공을 통해 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결정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종종 장애인 시위로 인하여 지하철 운행이 잠시 중단되었다는 방송을 들을 수 있다. 특히 금요일 퇴근시간에 시위를 하는 경우 많은 일반일들은 불편을 겪고 불만의 소리를 내세운다. 그렇지만 과연 이들은 왜 하필 퇴근시간에 시위를 하는 것일까? 라고 생각을 해본적이 있다. 이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도 일반인들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게 관심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조금이나마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조금이나마 관심을 갖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퇴근시간, 사람들이 제일 많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간에 시위를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인권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이전 보다는 조금씩 개선이 되고 있지만 아직은 턱없이 모자른 수치이다. 사회에서도 이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복지의 수준을 높이고, 사회구성원들도 개개인의 생각을 변화한다면 이들의 차별, 복지 부분이 조금씩 개선이 되어 언젠가는 많은 변화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 참고문헌
장애인. 예스폼 서식사전. 예스폼. 2013.
나에게 나다움을 주기로 했다. 고정욱, 리듬문고, 2020,
장애인이 느끼는 사회적 차별, 이병화 기자, 장애인 뉴스. 2017.09.08
또한 장애인들이 스스로 선택,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며 그러한 변화가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들은 아직도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며 공공시설, 도로이용 또한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러한 부분도 장애인 차별에 하나라고 생각이 된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불편한 이들이 좀 더 이러한 대중교통, 공공시설물들을 이용하는데 조금이나마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방안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생각 든다.
또한 장애인들이 자신의 인생, 결정내용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타인으로 인한 결정, 언어적인 강요로 인하여 자신의 인생에 중요한 일들을 결정하게 강요당하는 것 또한 장애인 차별의 한 종류로 우리는 그들이 결정하기 힘들 때 다양한 정보 제공을 통해 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결정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종종 장애인 시위로 인하여 지하철 운행이 잠시 중단되었다는 방송을 들을 수 있다. 특히 금요일 퇴근시간에 시위를 하는 경우 많은 일반일들은 불편을 겪고 불만의 소리를 내세운다. 그렇지만 과연 이들은 왜 하필 퇴근시간에 시위를 하는 것일까? 라고 생각을 해본적이 있다. 이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도 일반인들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게 관심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조금이나마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조금이나마 관심을 갖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퇴근시간, 사람들이 제일 많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간에 시위를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인권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이전 보다는 조금씩 개선이 되고 있지만 아직은 턱없이 모자른 수치이다. 사회에서도 이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복지의 수준을 높이고, 사회구성원들도 개개인의 생각을 변화한다면 이들의 차별, 복지 부분이 조금씩 개선이 되어 언젠가는 많은 변화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 참고문헌
장애인. 예스폼 서식사전. 예스폼. 2013.
나에게 나다움을 주기로 했다. 고정욱, 리듬문고, 2020,
장애인이 느끼는 사회적 차별, 이병화 기자, 장애인 뉴스. 2017.09.08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장애인복지론 출석수업대체과제물)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장애인복지론, 공통)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
장애인복지론 2022학년도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
[2022 장애인복지론][탈시설 선정]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
[장애인복지론 3학년]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
장애인복지론3)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애인이...
[장애인복지론]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모델과 사회적모델의 시각을 비교하고 본인의 생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