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이해 ) 연보 쓰기와 자서전 한 부분 작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의이해 ) 연보 쓰기와 자서전 한 부분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보 작성 : 자신의 삶 중에서 생년을 포함하여 15~20년 정도(연속되지 않아도 됨)를 선택하여 연보를 작성할 것.
(예) 1960년 : 서울 종로구 명륜동 457번지에서 아버지 000와 어머니 000 사이의 첫째 아들로 출생. 1968년, 8살 : 서울00초등학교 입학. …
2. 자서전 한 부분 작성 : 연보 중 일부 시기 혹은 주제를 선택하고, 제목을 단 후 자유롭게 서술(일정 기간 부모님, 가까운 친척, 나에게 영향을 끼친 인물들과의 교류 및 기억을 중심으로 서술 가능). (예) ‘청소년 시절의 나’ / ‘중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 ‘1997~2004 00에서의 직장생활’

본문내용

정에서도 많은 일이 있었다. 마스터링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컴퓨터의 성능이 중요한데, 디지털 마스터링 작업이 상용화되지 않았던 시절에는 어떤 수준의 컴퓨터를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지지 않아서 컴퓨터 CPU가 프로그램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프로그램을 한창 돌리며 작업을 하던 도중 과열된 CPU 탓에 컴퓨터가 갑자기 꺼지기도 하고, 프로그램이 다운되기도 했다. 함께 작업하는 동료 가운데에는 몇 시간에 걸려 작업한 결과물을 날려 우는 사람도 있었다. 다행히 내게는 그런 일이 없었지만,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며 어떤 컴퓨터를 사용해야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작업해야 가장 수월한지를 익힐 수 있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업은 국내 최초의 3D 영화로 알려진 7광구의 후반 작업을 맡았던 것이다. 영화가 개봉되기도 전에 미리 영상을 볼 수 있다는 것도 이 작업의 즐거운 면이긴 했지만, 해외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최초’의 3D 영화의 배급에 기여한다는 자부심이 당시 작업을 진행하던 내게 가장 큰 기쁨이었다. 그 이후 영화가 개봉되었을 때, 크게 흥행하거나 성공한 작품이라고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영화의 마스터링 작업을 진행하면서 한 장면 한 장면 보았던 것이 매우 즐겁고 소중한 기억으로 남겨져 있다. 지금은 대부분의 영화들이 디지털 마스터링을 통해 상영되고 있고, 필름으로 상영하는 영화관이 드물어졌다. 영화산업의 발전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뿌듯함,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에 대한 기쁨을 느낄 수 있었던 좋은 기억이었다.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09.1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4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