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서울 지하철에서 전국장애인차별연대(전장연)가 운행을 방해하는 시위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민들의 찬성과 반대가 대립하고 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 ) 서울 지하철에서 전국장애인차별연대(전장연)가 운행을 방해하는 시위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민들의 찬성과 반대가 대립하고 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문제론
최근 서울 지하철에서 전국장애인차별연대(전장연)가 운행을 방해하는 시위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민들의 찬성과 반대가 대립하고 있다. ① 먼저 교재 14장과 15장을 읽고 각 장의 핵심 내용을 요약한 후, ② 전장연의 시위의 발생과 진행 과정을 묘사한 다음, ③ 교재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이번 시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④ 한국 사회의 인권 증진을 위해 어떠한 노력들이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모색하여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재 14장과 15장 내용 요약
2. 전장연의 시위의 발생과 진행 과정
3. 전장연 시위의 이해
4. 한국 사회의 인권 증진을 위한 노력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도 있다. 당연히 장애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그런 부분으로 세금이 쓰이는 걸 원치 않을 것이다. 국가가 장애인들을 위해 어느 정도까지 비용을 부담할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서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차별의 행위는 없어져야 할 것이다. 장애를 가졌다고 해서 모든 부분의 능력이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몸이 불편한 사람이 출근만 제대로 할 수 있게 회사로의 출근이 용이하다면 그들도 충분히 능력 발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적으로 업무적인 능력이 뛰어나더라도 여건이 충분하지 않아서 그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사회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게 되면 그 부분에서 또 다른 차별이 나타난다. 좀 더 사회가 그들을 수용하고 포옹해준다면 그들도 소외되지 않고 당당히 능력 발휘를 할 수 있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다 할 수 있는 일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Ⅲ. 결론
장애인의 인권, 많이 변화했다고 하지만 아직도 멀었다. 최근까지도 장애인들의 시위는 계속되고 있고, 장애인 복지 시설에서의 사건들을 통해서 살펴만 봐도 아직까지 장애인들의 인권을 무시하는 경우도 많다. 아직 이러한 현실 속에 살아가고 있다.
또한 장애인들의 차별은 우리 사회에서 편견과 무관심에 있다. 장애인은 단지 다른 특성을 가진 사람이고, 동등한 사람이며, 불평등한 대우를 받지 않아야 된다.
우리가 그들과 함께 목소리를 내고, 우리들도 의식이 전환이 되고, 사회적으로도 그들을 위한 기틀이 완성이 된다면 장애인들도 우리와 함께 더불어 같이 살아가고, 같이 웃을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다. 우리들 또한 좀 더 성숙할 수 있도록 스스로가 마음과 자세를 바로잡고, 같이 동참하며 귀를 기우려 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사회문제. 구도완, 김종엽, 노성훈, 박경태, 백영경, 엄기호, 윤태호, 이수정, 이정희, 장경호, 조효제, 최병두, 한건수, 한재각, 황정미 지음. 출판문화원. 2017
나는 ‘나쁜’장애인이고 싶다(다양한 몸의 평등한 삶을 꿈꾸며), 삼인, 2020년, 김창엽
- 인권위, 인수위에 장애인 인권보장 등 10대 인권과제 제안, 웰페어뉴스, 정두리, 2022/03/30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81366
- \"욕하고 혐오해도\" 전장연 \'지하철 시위\' 재개…\"기어가며 호소\", 헤럴드경제, 이원율, 2022/04/21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421000123
- 그들은 왜 지하철을 세웠나…전장연의 절규, 뉴시스, 백동현 2022/05/07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02_0001855020&cID=10201&pID=10200
- 오이도역 참사 21주기...‘고립과 우울 사이’ 휠체어 장애인들, 연합뉴스, 홍규빈, 2022/01/22 https://www.yna.co.kr/view/AKR20220122028500004?input=1195m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9.14
  • 저작시기202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4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