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다문화 및 결혼이주여성이란
4) 선행 연구
3. 결론
4. 부록
5. 참고문헌
2. 본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다문화 및 결혼이주여성이란
4) 선행 연구
3. 결론
4. 부록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이 = 만 ( )세
2.귀하의 남편의 나이 = 만 ( )세
3.귀하의 국적은 어디입니까?
① 중국 ② 베트남 ③ 필리핀 ④ 인도네시아 ⑤ 태국 ⑥ 스리랑카 ⑦ 러시아 ⑧ 몽골 ⑨ 기타( )
4.귀하의 최종 학력은?
① 무학력 ② 초등학교졸업이하 ③ 중학교졸업이하 ④ 고등학교졸업이하 ⑤ 전문대학졸업이하 ⑥ 대학교졸업이하 ⑦ 석사졸업이하 ⑧ 박사과정이상
5.귀하의 남편의 최종 학력은?
① 무학력 ② 초등학교졸업이하 ③ 중학교졸업이하 ④ 고등학교졸업이하 ⑤ 전문대학졸업이하 ⑥ 대학교졸업이하 ⑦ 석사졸업이하 ⑧ 박사과정이상
6.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 종교 없음 ② 개신교 ③ 카톨릭 ④ 불교 ⑤ 힌두교 ⑥ 이슬람교 ⑦ 통일교 ⑧ 기타 ( )
7.귀하의 남편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 종교없음 ② 개신교 ③ 카톨릭 ④ 불교 ⑤ 힌두교 ⑥ 이슬람교 ⑦ 통일교 ⑧ 기타 ( )
8.귀하 남편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① 무직 ② 생산직단순노동직 ③ 서비스업 ④ 운수업 ⑤ 일반사무직(회사원,일반공무원,교사 등) ⑥ 전문직(의사,법조인,교수 등) ⑦ 상업 ⑧ 농민,어민 ⑨ 기타 ( )
9.귀하 가정의 월평균 수입은 대략 어느 정도입니까?
① 소득이 전혀 없다 ② 50만 원미만 ③ 50~100만 원미만
④ 100~150만 원 미만 ⑤ 150~200만 원미만 ⑥ 200~250만 미
만 ⑦ 250만 원 이상
10.귀하의 현재 혼인 상태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 기혼 ② 별거 ③ 이혼 ④ 혼인신고 하지 않은 채 동거 ⑤ 사별
11.귀하는 현재 누구와 살고 있습니까?함께 살고 있는 분에 모두 표시 하십시오.
① 혼자 산 다 ② 남편 ③ 자녀 ④ 남편의 아버지 ⑤ 남편의 어머니 ⑥ 나의 아버지 ⑦ 나의 어머니 ⑧ 남편 형제자매 ⑨ 나의 형제자매 ⑩ 기타 ( )
12.귀하의 남편이 일하여 번 돈은 누가 관리하십니까?
① 나 ② 남편 ③ 부부공동 ④ 시부모 ⑤ 나의부모 ⑥ 기타 ( )
13.귀하의 결혼지속 연수는?
① 1년 미만 ② 1년~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15년 미만 ⑤ 15년~20년 미만 ⑥ 기타 ( )
14.귀하는 남편을 어떻게 만났습니까?
① 부모 형제의 소개 ② 친척의 소개 ③ 친구 선후배의 소개 ④ 잘 알고 지내는 사람의 소개 ⑤ 결혼 중개업체를 통하여 ⑥ 행정기관의 주선 ⑦ 종교 단체를 통하여 ⑧ 타인의 소개 없이 직접 만났음 ⑨ 기타( )
15.귀하가 남편과 결혼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가장 중요한 것 하나만 골라 주세요.
① 한국에서 살기 위하여
② 본국 가족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기 위하여
③ 무조건 본국을 떠나고 싶어서
④ 한국에서 취업하기 위하여
⑤ 가족과 친척 등의 권유로
⑥ 현재의 남편을 사랑하였기 때문에
⑦ 종교적인 이유로
⑧ 기타 ( )
16.귀하는 남편과 대화를 자주 하십니까?
① 자주 하는 편이다 ② 가끔 하는 편이다 ③ 별로 하지 않는다 ④ 거의 하지 않는다
17.귀하가 남편과 대화할 때 주로 쓰는 언어는 무엇입니까?
① 한국어 ② 영어 ③ 본국어 ④ 기타 ( )
18.귀하의 한국어 실력과 남편의 귀하 나라 말 실력은 각각 어느 정도 입니까? 해당하는 곳에 표시 하십시오.
구분
매우 능숙
약간 잘함
그저 그렇다
약간 서툼
매우 서툼
나의 한국말 실력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남편의 내
나라말 실력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19.귀하에게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① 경제적 지원 ② 취미 및 여가생활 지원 ③ 친구 및 대화상대 ④ 한글교육 ⑤ 기타 ( )
20.당신은 우리나라에서 복지관이나 시설 (상담소,쉼터,복지관,등)을 이용한 적이 있습니까?
① 예 (20-1로 가십시오) ② 아니오 (20-2로 가십시오)
20-1.어떤 서비스(프로그램)을 이용했습니까?
① 한글교실 ② 컴퓨터 교실 ③ 나들이(소풍,견학) ④ 영어교실 ⑤ 기타( )
20-2.이용하지 않은 이유가 있나요?있다면 간단히 써 주세요.
20-3.복지기관이나 시설을 이용하고 싶나요?
① 예 ② 아니오
20-4.어떤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나요?
① 한글교실 ② 컴퓨터 교실 ③ 나들이(소풍,견학) ④ 영어교실 ⑤ 기타 ( )
21.귀하는 여가시간을 주로 어떻게 보내나요?
① 집에서 혼자 지낸다. ② 친구를 만난다. ③ 교회,성당,사원 등 종교기관에 간다
④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에 간다. ⑤ 기타 ( )
질문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사회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타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접촉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한국의 낯선 언어로 어려움이 있다.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어렵다.
사람들이 나에게 직접적으로 말을 하지 않아도 거리감을 느낀다.
직업이나 직장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
나는 불공평한 대우를 받는다고 느낀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힘들다.
가족들과 친구들을 떠난 사실로 죄책감이 든다.
외국에서 와서 사회적 지위가 낮다고 생각한다.
한국사회에서 소속감을 느끼기 어렵다.
한국사회 내 법이나 제도에 적응하기 어렵다.
5. 참고문헌
1) 천순녀. \"부산지역 결혼이주 다문화여성의 문화적응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2015. 부산
http://www.riss.kr/link?id=T13860385
2) 유순애. \"결혼이주여성을 통해 본 다문화정책의 흐름과 개선방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3. 부산
http://www.riss.kr/link?id=T13524773
3) 장준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서울
http://www.riss.kr/link?id=T11748992
4) 광주세계여성평화포럼추진위원회. (2007)광주세계여성평화포럼. 서울: 광주세계여성평화포럼추진위원회, 2007.
http://www.riss.kr/link?id=M11202965
5) 이금연. \"국내여성이주노동자의 차별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서울
http://www.riss.kr/link?id=T8427208
2.귀하의 남편의 나이 = 만 ( )세
3.귀하의 국적은 어디입니까?
① 중국 ② 베트남 ③ 필리핀 ④ 인도네시아 ⑤ 태국 ⑥ 스리랑카 ⑦ 러시아 ⑧ 몽골 ⑨ 기타( )
4.귀하의 최종 학력은?
① 무학력 ② 초등학교졸업이하 ③ 중학교졸업이하 ④ 고등학교졸업이하 ⑤ 전문대학졸업이하 ⑥ 대학교졸업이하 ⑦ 석사졸업이하 ⑧ 박사과정이상
5.귀하의 남편의 최종 학력은?
① 무학력 ② 초등학교졸업이하 ③ 중학교졸업이하 ④ 고등학교졸업이하 ⑤ 전문대학졸업이하 ⑥ 대학교졸업이하 ⑦ 석사졸업이하 ⑧ 박사과정이상
6.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 종교 없음 ② 개신교 ③ 카톨릭 ④ 불교 ⑤ 힌두교 ⑥ 이슬람교 ⑦ 통일교 ⑧ 기타 ( )
7.귀하의 남편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 종교없음 ② 개신교 ③ 카톨릭 ④ 불교 ⑤ 힌두교 ⑥ 이슬람교 ⑦ 통일교 ⑧ 기타 ( )
8.귀하 남편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① 무직 ② 생산직단순노동직 ③ 서비스업 ④ 운수업 ⑤ 일반사무직(회사원,일반공무원,교사 등) ⑥ 전문직(의사,법조인,교수 등) ⑦ 상업 ⑧ 농민,어민 ⑨ 기타 ( )
9.귀하 가정의 월평균 수입은 대략 어느 정도입니까?
① 소득이 전혀 없다 ② 50만 원미만 ③ 50~100만 원미만
④ 100~150만 원 미만 ⑤ 150~200만 원미만 ⑥ 200~250만 미
만 ⑦ 250만 원 이상
10.귀하의 현재 혼인 상태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 기혼 ② 별거 ③ 이혼 ④ 혼인신고 하지 않은 채 동거 ⑤ 사별
11.귀하는 현재 누구와 살고 있습니까?함께 살고 있는 분에 모두 표시 하십시오.
① 혼자 산 다 ② 남편 ③ 자녀 ④ 남편의 아버지 ⑤ 남편의 어머니 ⑥ 나의 아버지 ⑦ 나의 어머니 ⑧ 남편 형제자매 ⑨ 나의 형제자매 ⑩ 기타 ( )
12.귀하의 남편이 일하여 번 돈은 누가 관리하십니까?
① 나 ② 남편 ③ 부부공동 ④ 시부모 ⑤ 나의부모 ⑥ 기타 ( )
13.귀하의 결혼지속 연수는?
① 1년 미만 ② 1년~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15년 미만 ⑤ 15년~20년 미만 ⑥ 기타 ( )
14.귀하는 남편을 어떻게 만났습니까?
① 부모 형제의 소개 ② 친척의 소개 ③ 친구 선후배의 소개 ④ 잘 알고 지내는 사람의 소개 ⑤ 결혼 중개업체를 통하여 ⑥ 행정기관의 주선 ⑦ 종교 단체를 통하여 ⑧ 타인의 소개 없이 직접 만났음 ⑨ 기타( )
15.귀하가 남편과 결혼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가장 중요한 것 하나만 골라 주세요.
① 한국에서 살기 위하여
② 본국 가족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기 위하여
③ 무조건 본국을 떠나고 싶어서
④ 한국에서 취업하기 위하여
⑤ 가족과 친척 등의 권유로
⑥ 현재의 남편을 사랑하였기 때문에
⑦ 종교적인 이유로
⑧ 기타 ( )
16.귀하는 남편과 대화를 자주 하십니까?
① 자주 하는 편이다 ② 가끔 하는 편이다 ③ 별로 하지 않는다 ④ 거의 하지 않는다
17.귀하가 남편과 대화할 때 주로 쓰는 언어는 무엇입니까?
① 한국어 ② 영어 ③ 본국어 ④ 기타 ( )
18.귀하의 한국어 실력과 남편의 귀하 나라 말 실력은 각각 어느 정도 입니까? 해당하는 곳에 표시 하십시오.
구분
매우 능숙
약간 잘함
그저 그렇다
약간 서툼
매우 서툼
나의 한국말 실력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남편의 내
나라말 실력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19.귀하에게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① 경제적 지원 ② 취미 및 여가생활 지원 ③ 친구 및 대화상대 ④ 한글교육 ⑤ 기타 ( )
20.당신은 우리나라에서 복지관이나 시설 (상담소,쉼터,복지관,등)을 이용한 적이 있습니까?
① 예 (20-1로 가십시오) ② 아니오 (20-2로 가십시오)
20-1.어떤 서비스(프로그램)을 이용했습니까?
① 한글교실 ② 컴퓨터 교실 ③ 나들이(소풍,견학) ④ 영어교실 ⑤ 기타( )
20-2.이용하지 않은 이유가 있나요?있다면 간단히 써 주세요.
20-3.복지기관이나 시설을 이용하고 싶나요?
① 예 ② 아니오
20-4.어떤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나요?
① 한글교실 ② 컴퓨터 교실 ③ 나들이(소풍,견학) ④ 영어교실 ⑤ 기타 ( )
21.귀하는 여가시간을 주로 어떻게 보내나요?
① 집에서 혼자 지낸다. ② 친구를 만난다. ③ 교회,성당,사원 등 종교기관에 간다
④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에 간다. ⑤ 기타 ( )
질문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사회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타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접촉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한국의 낯선 언어로 어려움이 있다.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어렵다.
사람들이 나에게 직접적으로 말을 하지 않아도 거리감을 느낀다.
직업이나 직장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
나는 불공평한 대우를 받는다고 느낀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힘들다.
가족들과 친구들을 떠난 사실로 죄책감이 든다.
외국에서 와서 사회적 지위가 낮다고 생각한다.
한국사회에서 소속감을 느끼기 어렵다.
한국사회 내 법이나 제도에 적응하기 어렵다.
5. 참고문헌
1) 천순녀. \"부산지역 결혼이주 다문화여성의 문화적응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2015. 부산
http://www.riss.kr/link?id=T13860385
2) 유순애. \"결혼이주여성을 통해 본 다문화정책의 흐름과 개선방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3. 부산
http://www.riss.kr/link?id=T13524773
3) 장준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서울
http://www.riss.kr/link?id=T11748992
4) 광주세계여성평화포럼추진위원회. (2007)광주세계여성평화포럼. 서울: 광주세계여성평화포럼추진위원회, 2007.
http://www.riss.kr/link?id=M11202965
5) 이금연. \"국내여성이주노동자의 차별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서울
http://www.riss.kr/link?id=T8427208
추천자료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사회복지대책
사회복지 프로그램) 결혼이주여성 문화적 적응과 경제적 자립 준비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결혼이주여성의 적응과 다문화 가정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문화 가정 구성원(결혼이주여성, 노동자, 다문화 가정)의 다중 언어 습...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문화 가족의 건강관리와 미충족 의료 서비스 접근 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문화 결혼 이민 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과 다문화 가정 가족 기능 강화...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문화 결혼이주여성들의 적응과 가족 기능 강화를 위한 다문화 가족 원...
사회복지 프로그램) 출산육아기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임신·출산·육아 건강관리 프로그램
현재 자신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문제는 무엇이며 만약 자신이 사회...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공통)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중도입국청소년, 난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