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나의 가족을 중심으로 한 생태도
2. 자원과의 상호작용
3. 가족의 강점과 약점
Ⅲ. 결론
Ⅳ. 나의 의견
◎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사항 또는 변화될 사항에 대한 평가
Ⅴ. 출처 및 참고자료
Ⅱ. 본론
1. 나의 가족을 중심으로 한 생태도
2. 자원과의 상호작용
3. 가족의 강점과 약점
Ⅲ. 결론
Ⅳ. 나의 의견
◎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사항 또는 변화될 사항에 대한 평가
Ⅴ.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꼽을 수 있지만 그만큼 가족의 결속력이 강하다는 것도 알 수 있는 부분이었다.
내 가족을 중심으로 생겨난 자원들은 크게 많지 않았다고 본다. 이는 가족 외에는 큰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는 강점으로 작용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약점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할 수 있는 것이다.
Ⅳ. 나의 의견
◎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사항 또는 변화될 사항에 대한 평가
현재 우리 가족은 가족 내부의 결속력이 강하다. 하지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점에서 가족 외의 다양한 자원과의 교류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 활동을 진행하거나 새로운 교육을 통하여 자원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본다. 자원이 다양하게 확보될수록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해결 방향도 다양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가족의 약점으로 꼽혔던 부분 중 오빠 식구와의 연락 부분에서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보였다. 조카와 연락을 하고 있긴 하지만, 오랫동안 대면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고모의 존재가 미약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간적 거리를 줄이지는 못하겠지만, 정보통신을 이용한 거리를 줄이는 노력은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조카와의 관계를 보통 관계에서 밀접한 관계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고모인 나의 역할이 클 것으로 본다. 아직 조카가 어리기에 에너지의 흐름 방향을 나에게서 조카로 변화한다면 전반적인 관계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바이다.
부모님의 영역에서도 외부와의 소통을 통하여 주변 자원과의 교류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가족에 한정된 모임이 아닌 주변 지인들과의 교류를 제공할 필요를 느꼈다. 최근에는 다양한 문화강좌를 통하여 인맥을 넓혀나가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정보를 전해드린다면 부모님의 에너지 흐름에도 발전이 나타날 것이라 기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이버교육원과 관련한 과제에 대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가족에게 미칠 에너지의 흐름도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는 나의 에너지가 부모님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과제에서 오는 갈등을 없애게 된다면 주변에도 긍정적인 에너지의 공유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Ⅴ. 출처 및 참고자료
이재선 외(2016).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주경필, 김윤나(2020).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내 가족을 중심으로 생겨난 자원들은 크게 많지 않았다고 본다. 이는 가족 외에는 큰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는 강점으로 작용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약점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할 수 있는 것이다.
Ⅳ. 나의 의견
◎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사항 또는 변화될 사항에 대한 평가
현재 우리 가족은 가족 내부의 결속력이 강하다. 하지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점에서 가족 외의 다양한 자원과의 교류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 활동을 진행하거나 새로운 교육을 통하여 자원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본다. 자원이 다양하게 확보될수록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해결 방향도 다양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가족의 약점으로 꼽혔던 부분 중 오빠 식구와의 연락 부분에서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보였다. 조카와 연락을 하고 있긴 하지만, 오랫동안 대면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고모의 존재가 미약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간적 거리를 줄이지는 못하겠지만, 정보통신을 이용한 거리를 줄이는 노력은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조카와의 관계를 보통 관계에서 밀접한 관계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고모인 나의 역할이 클 것으로 본다. 아직 조카가 어리기에 에너지의 흐름 방향을 나에게서 조카로 변화한다면 전반적인 관계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바이다.
부모님의 영역에서도 외부와의 소통을 통하여 주변 자원과의 교류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가족에 한정된 모임이 아닌 주변 지인들과의 교류를 제공할 필요를 느꼈다. 최근에는 다양한 문화강좌를 통하여 인맥을 넓혀나가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정보를 전해드린다면 부모님의 에너지 흐름에도 발전이 나타날 것이라 기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이버교육원과 관련한 과제에 대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가족에게 미칠 에너지의 흐름도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는 나의 에너지가 부모님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과제에서 오는 갈등을 없애게 된다면 주변에도 긍정적인 에너지의 공유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Ⅴ. 출처 및 참고자료
이재선 외(2016).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주경필, 김윤나(2020).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