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채혈 준비
2. 채혈 부위 (대부분의 검사는 정맥혈로 시행)
3. 채혈 시기
4. 주의할 점
5. 용혈방지를 위한 팁
6. 검체용기
7. 채혈 순서
2. 채혈 부위 (대부분의 검사는 정맥혈로 시행)
3. 채혈 시기
4. 주의할 점
5. 용혈방지를 위한 팁
6. 검체용기
7. 채혈 순서
본문내용
ing test, Du test, Reti, Malaria, HbA1c, PB morphology, Ammonia Coomb\'s(direct), ACTH, ADH, ANC등
- bottle 속 벽면에 전체적으로 항응고제 (K2EDTA 또는 K3EDTA) 가 도포되어 있어 검체가 굳지 않게 방지함
- 채혈 후 위아래로 팔자 모양으로 뒤집어 흔들어주면서 잘 섞어주기
2) SST bottle / serum separate tube(5ml)
- 검체통 속 성분 : clot activator & gel or serum separation
- 검사 항목 : serology, Na, K, Cl, BUN/Cr, LFT(AST, ALT, ALP, GGT, TB, DB), TFT,
HBsAg, HBsAb, CRP(정량)
- bottle 속 아래에 젤이 채워져 있어서 원심분리 시 serum과 blood cell 사이에 장벽 역할
- bottle 아래에 응고촉진제 (clot activator)가 내벽에 코팅되어 있어서 피를 넣으면 곧
굳게 되며 아래에는 혈구가 응고되어 가라않고 serum이 위에 뜨게 됨
- 채혈 시 천천히 흔들어 섞어주기
- 혈청 검체는 필요 혈청 양의 3배에 해당하는 혈액을 채혈한다.
3) Sodium citrate tube
(2.7ml+bottle속 항응고제 0.3ml / 1.8ml/2.7ml/4.5ml 세종류 bottle 있음)
- 검체통 속 성분 : bufferd sodium citrate (equiv, to 3.2% sodium citrate)
- 검사 항목 : coagulation studies, PT, aPTT, INR, D-dimer, FDP
- 항응고제가 들어있어 피가 굳지 않게 함.
- 채혈 후 위아래로 뒤집어주어 혈액과 항응고제가 잘 섞이도록 해야 함
- 정해진 양을 꼭 채워서 혈액과 항응고제의 비율에 맞춰야 정확한 검사결과가 나옴
- 응고가 되지 않게 빠르게 담아야 하기 때문에 다른 피검사들 보다 먼저 담아야 함.
4) Plain tube (6ml, 경우에 따라 3-5ml만 해도 검사가능)
- 검체통 속 성분 : clot activator & sillicone coated interior
- 검사항목 : 보관검체 (헌혈 혈액과 동일한 상태로 채취하여 일정 기간 냉동 보관하는 소량의 혈액 검체), antibody screening, Rh type, HbsAg, HbsAB, Cross matching, Rh test
- 용혈방지를 위해 흔들지 않기
- 혈청 검체는 필요 혈청 양의 3배에 해당하는 혈액을 채혈
5) Glucose tube(sodium Fluoride tube)
-검체통 속 성분 : sodium fluoride 10mg, potassium oxalate 8mg
-검사 항목 : Lacic acid, glucose determinati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sodium fluoride가 혈구가 gloucose를 소모하는 것을 막아줌
6. heparin tube (8.5ml)
- 검체통 속 성분: lithium heparin (spray-dried)
- 검사 항목: AKB R, lactid acid, 면역항체 검사, amino acid, organic acid, 염색체, 중금속
- 채혈량 : 3ml
7. 채혈 순서
0. blood culture
1. sodium citrate tube -> 선까지 꼭 채워야하며 응고되기 전에 가장 먼저 담아야함
2. SST bottle
3. plain tube
4. heparin tube
5. EDTA tube
6. Glucose tube
- bottle 속 벽면에 전체적으로 항응고제 (K2EDTA 또는 K3EDTA) 가 도포되어 있어 검체가 굳지 않게 방지함
- 채혈 후 위아래로 팔자 모양으로 뒤집어 흔들어주면서 잘 섞어주기
2) SST bottle / serum separate tube(5ml)
- 검체통 속 성분 : clot activator & gel or serum separation
- 검사 항목 : serology, Na, K, Cl, BUN/Cr, LFT(AST, ALT, ALP, GGT, TB, DB), TFT,
HBsAg, HBsAb, CRP(정량)
- bottle 속 아래에 젤이 채워져 있어서 원심분리 시 serum과 blood cell 사이에 장벽 역할
- bottle 아래에 응고촉진제 (clot activator)가 내벽에 코팅되어 있어서 피를 넣으면 곧
굳게 되며 아래에는 혈구가 응고되어 가라않고 serum이 위에 뜨게 됨
- 채혈 시 천천히 흔들어 섞어주기
- 혈청 검체는 필요 혈청 양의 3배에 해당하는 혈액을 채혈한다.
3) Sodium citrate tube
(2.7ml+bottle속 항응고제 0.3ml / 1.8ml/2.7ml/4.5ml 세종류 bottle 있음)
- 검체통 속 성분 : bufferd sodium citrate (equiv, to 3.2% sodium citrate)
- 검사 항목 : coagulation studies, PT, aPTT, INR, D-dimer, FDP
- 항응고제가 들어있어 피가 굳지 않게 함.
- 채혈 후 위아래로 뒤집어주어 혈액과 항응고제가 잘 섞이도록 해야 함
- 정해진 양을 꼭 채워서 혈액과 항응고제의 비율에 맞춰야 정확한 검사결과가 나옴
- 응고가 되지 않게 빠르게 담아야 하기 때문에 다른 피검사들 보다 먼저 담아야 함.
4) Plain tube (6ml, 경우에 따라 3-5ml만 해도 검사가능)
- 검체통 속 성분 : clot activator & sillicone coated interior
- 검사항목 : 보관검체 (헌혈 혈액과 동일한 상태로 채취하여 일정 기간 냉동 보관하는 소량의 혈액 검체), antibody screening, Rh type, HbsAg, HbsAB, Cross matching, Rh test
- 용혈방지를 위해 흔들지 않기
- 혈청 검체는 필요 혈청 양의 3배에 해당하는 혈액을 채혈
5) Glucose tube(sodium Fluoride tube)
-검체통 속 성분 : sodium fluoride 10mg, potassium oxalate 8mg
-검사 항목 : Lacic acid, glucose determinati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sodium fluoride가 혈구가 gloucose를 소모하는 것을 막아줌
6. heparin tube (8.5ml)
- 검체통 속 성분: lithium heparin (spray-dried)
- 검사 항목: AKB R, lactid acid, 면역항체 검사, amino acid, organic acid, 염색체, 중금속
- 채혈량 : 3ml
7. 채혈 순서
0. blood culture
1. sodium citrate tube -> 선까지 꼭 채워야하며 응고되기 전에 가장 먼저 담아야함
2. SST bottle
3. plain tube
4. heparin tube
5. EDTA tube
6. Glucose tube
추천자료
조혈장애, 지혈장애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와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차이, 국소영...
TA 편도선염 케이스 [수술실케이스]
[성인간호] 당뇨 병태생리
간호이론A형] 매슬로의 욕구위계론 1)욕구위계론의 주요개념 2)주변 남성 직장인 3)대상자 욕...
방송대 간호이론B형] 매슬로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하시오 1)욕구위계론의 주요개념 2)...
핵심기본간호술 기본간호
성인간호학 감염과 환자안전 레포트 (손위생, 보호장구, 격리지침, 폐기물 관리, 병원감염 감...
성인간호학 기말] 위절제술 후 나타날 수 있는 덤핑 증후군 예방 간호전략, 당뇨병의 급성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