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5점)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1) 기호의 세 종류
(1) 지표
(2) 도상
(3) 상징
2) 기호의 세 종류의 사례
(1) 지표의 사례
(2) 도상의 사례
(3) 상징의 사례
2. (15점)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그리고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1) 외연적 의미
2) 함축적 의미
3) 신화와 이데올로기
4) 외연적 의미, 함축적 의미, 신화와 이데올로기의 사례
(1) 외연적 의미의 사례
(2) 함축적 의미의 사례
(3) 신화와 이데올로기의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15점)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1) 기호의 세 종류
(1) 지표
(2) 도상
(3) 상징
2) 기호의 세 종류의 사례
(1) 지표의 사례
(2) 도상의 사례
(3) 상징의 사례
2. (15점)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그리고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1) 외연적 의미
2) 함축적 의미
3) 신화와 이데올로기
4) 외연적 의미, 함축적 의미, 신화와 이데올로기의 사례
(1) 외연적 의미의 사례
(2) 함축적 의미의 사례
(3) 신화와 이데올로기의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충격, 불안 /급작스런 회귀, 반복, 강박 등이 이에 속한다.광고에 나타난 신화의 목적과 기능은 무의식적 목적들과 의식적 목적들이 있다. 이는 소망충족(이드 충족)과 현재 정신 상태에 대한 고지, 정신의 ‘균형’발달과 보상(융), 정신의 자아이상 고양(초자아 충족), 의식의 상징적 대리분출과 대리만족, 보상 욕구를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전 의식적 욕망과 필요의 충족은 집단을 불안케 하는 미지의 타자성(문제성)에 대한 하나의 안심할 수 있는 정신적 해답(지식)을 제공함으로써 개인과 집단의 안정된 보존, 안정된 ‘자아이상’ 모델 제공을 통한 정신의 발달(고양) 유도, 공통된 상징 코드 제공으로 인한 집단 구성원들 사이의 ‘대화매체’ 역할, 승화된 세계관을 제공한다. 또한 무의식적 소망, 요구의 충족은 무의식적 소망(이드)의 변형적 충족(성욕, 자기애, 공격성), 신들과 영웅들의 ‘과대 자기대상’과 ‘이상적 자기대상’ 기능을 통한자기애 충족에서 자기 응집력 강화, 자기 발달이 있다. 이렇듯, 광고에 나타난 신화의 특성은 사회 권력학적, 문화적, 심리적, 실존적, 사상적인 것들이 있다.
래미안 영상 광고 part. 1 - 키오스크 편
래미안은 미래지향적이고(來) 아름다우며(美) 안전한 아파트(安)를 의미한다. 석양이 하늘을 뒤덮고 따뜻하고 포근한 기운이 감도는 노을이 한강은 동경의 대상을 나타낸다. 한강 저편의 아파트를 바라보며 무엇인가를 회상하는 듯한 여성의 뒷모습은 사건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복선이다. “모든 것은 래미안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來美安\"이라는 카피는 꿈과 이상, 자신감을 나타내고 또한 새로운 광고 캠페인이 펼쳐질 공간으로서의 래미안을 나타낸다. 동시에 감미로운 목소리로 Westlife의 Mandy가 신비로운 매력을 발산한다. 래미안 영상 광고 part. 1에서는 푸르름이 빛을 발하는 듬직한 나무 한 구루옆의 키오스크는 회상의 매개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여성의 음성으로 “누굴까? 키오스크로 매일 나와 같은 음악을 듣는 사람...”과 “래미안에서 만나게 될 키오스크”라는 나레이션은 키오스크를 아파트 단지 곳곳에 설치할 계획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어 주변이 밝아지는데 이는, 과거로의 회상을 표현하기도 하지만, 기대감과 설레임을 나타낸다. 남성이 여성을 뒤에서 안고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는 두 연인의 모습이 나오고, 남성의 손에 들려있는 은색 목걸이는 여성의정서적인 마음의 측면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고 정신적인정화기능을 의미한다. 다시 한남성이 키오스크를 응시하고 있는 것은 과거의 회상으로부터 현실로 돌아온 것을 의미하고, 이어 여성은 놀란 듯 등을 돌리며 손을 가슴위로 들어 올리며 첫사랑의 감정이 되살아 난 듯 떨리는 심정을 표현한다. 여성의 얼굴이 클로즈업 되면서 여성의 음성으로 “사랑했던 그 순간처럼 클라이맥스를 산다. 래미안”은 래미안에서 살고 있는 순간이 인생 최고의 순간에 비견될 수 있다는 의미를 전달한다. 이는 디지털 시대의 속도와 효율에 매몰된 현대인들에게 향수와 추억이라는 아날로그적 감수성을 일깨운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 (15점)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 2. (15점)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그리고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해 보았다. 영상기호학의 여러 흐름에서 공통적인 문제는 무엇보다도 영상이 언어인가 하는 것이다. 그에 대한 답변은 영상이 현실을 직접적으로 묘사 하는가, 현실의 비유인가에 따라서 또는 바쟁의 기호학적 시각에서 현실의 연장인가에 따라서 좌우된다고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론가들은 광고가 임의적이고 관습적인기호체계에 의지하는 글쓰기의 한 형식인가에 따라서 좌우된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 선구적인 영상기호학자 크리스티앙 메츠는 그 문제에 대해 ‘긍정인 동시에 부정’이라는 모호한 답변을 했다. 즉 영상이 언어라고 긍정하면서도, 영상은 소쉬르적 의미에서 ‘상호소통(inter-communication)을 지향하는 기호의 체계’인랑그(유리 로트만, 1994)가 결여된 언어라고 주장하며 부정을 표했다. 소쉬르가 자연언어를 대할 때 그랬던 것처럼 메츠도 영상이 이해되는 방식을 설명하려 했다. 그러나 메츠는 언어와 영상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어서 소쉬르의 생각을 무조건 중시할 수는 없다는 점을 인지했다. 그는 랑그 개념은 세 가지의 근본적인 이유에서 영상에는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로, 영상은 상호소통이 아니다. 영상이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해도 그것은 단일방향 커뮤니케이션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기표와 기의의 관계가 임의적인 소쉬르의 기호 개념과 영상 이미지는 전혀 다르다. 영상에서는 지각 대상들이 복제된다. 재생산 된다는 영상은 ‘현실의 블록(block)\'이라 불릴 수 있다. 즉 영상은 실제세계의 일련의 단편들을 주 자료로 삼고 있으며, 그것들은 영화의 기계적 복제를 통해 매개된다. 그래서 언어적 기초는 한 체계 내에서 점하는 위치에 따라 의미를 획득하지만 영화 이미지는 복제대상에 따라 의미를 획득한다. 더 나아가 영상 이미지와 대상 사이에는 외형적 유사성뿐만 아니라 물질적 연관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미지는 도상이면서도 지표가 되며 따라서 이미지에는 동기가 부여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장일·이성민·이흥우(2021). <사진영상론>. KNOU Press.
신항식 (2005). 《시각영상 기호학》, 나남출판.
김경용 (1994).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오은경,『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2010.
강미정,『퍼스의 기호학과 미술사 신미술사의 철학을 위하여』, 이학사, 2011.
루돌프 아른하임, 『시각적 사고』, 김정오 옮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김태형 (2003).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한 그래픽 디자인의 의미 분석 : 롤랑바르트(Roland Barthes)의 기호론, 신화론을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자정,「미술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의 필요성과 의미」,『미학』 제37집, 2004.
래미안 영상 광고 part. 1 - 키오스크 편
래미안은 미래지향적이고(來) 아름다우며(美) 안전한 아파트(安)를 의미한다. 석양이 하늘을 뒤덮고 따뜻하고 포근한 기운이 감도는 노을이 한강은 동경의 대상을 나타낸다. 한강 저편의 아파트를 바라보며 무엇인가를 회상하는 듯한 여성의 뒷모습은 사건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복선이다. “모든 것은 래미안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來美安\"이라는 카피는 꿈과 이상, 자신감을 나타내고 또한 새로운 광고 캠페인이 펼쳐질 공간으로서의 래미안을 나타낸다. 동시에 감미로운 목소리로 Westlife의 Mandy가 신비로운 매력을 발산한다. 래미안 영상 광고 part. 1에서는 푸르름이 빛을 발하는 듬직한 나무 한 구루옆의 키오스크는 회상의 매개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여성의 음성으로 “누굴까? 키오스크로 매일 나와 같은 음악을 듣는 사람...”과 “래미안에서 만나게 될 키오스크”라는 나레이션은 키오스크를 아파트 단지 곳곳에 설치할 계획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어 주변이 밝아지는데 이는, 과거로의 회상을 표현하기도 하지만, 기대감과 설레임을 나타낸다. 남성이 여성을 뒤에서 안고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는 두 연인의 모습이 나오고, 남성의 손에 들려있는 은색 목걸이는 여성의정서적인 마음의 측면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고 정신적인정화기능을 의미한다. 다시 한남성이 키오스크를 응시하고 있는 것은 과거의 회상으로부터 현실로 돌아온 것을 의미하고, 이어 여성은 놀란 듯 등을 돌리며 손을 가슴위로 들어 올리며 첫사랑의 감정이 되살아 난 듯 떨리는 심정을 표현한다. 여성의 얼굴이 클로즈업 되면서 여성의 음성으로 “사랑했던 그 순간처럼 클라이맥스를 산다. 래미안”은 래미안에서 살고 있는 순간이 인생 최고의 순간에 비견될 수 있다는 의미를 전달한다. 이는 디지털 시대의 속도와 효율에 매몰된 현대인들에게 향수와 추억이라는 아날로그적 감수성을 일깨운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 (15점)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 2. (15점)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그리고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해 보았다. 영상기호학의 여러 흐름에서 공통적인 문제는 무엇보다도 영상이 언어인가 하는 것이다. 그에 대한 답변은 영상이 현실을 직접적으로 묘사 하는가, 현실의 비유인가에 따라서 또는 바쟁의 기호학적 시각에서 현실의 연장인가에 따라서 좌우된다고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론가들은 광고가 임의적이고 관습적인기호체계에 의지하는 글쓰기의 한 형식인가에 따라서 좌우된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 선구적인 영상기호학자 크리스티앙 메츠는 그 문제에 대해 ‘긍정인 동시에 부정’이라는 모호한 답변을 했다. 즉 영상이 언어라고 긍정하면서도, 영상은 소쉬르적 의미에서 ‘상호소통(inter-communication)을 지향하는 기호의 체계’인랑그(유리 로트만, 1994)가 결여된 언어라고 주장하며 부정을 표했다. 소쉬르가 자연언어를 대할 때 그랬던 것처럼 메츠도 영상이 이해되는 방식을 설명하려 했다. 그러나 메츠는 언어와 영상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어서 소쉬르의 생각을 무조건 중시할 수는 없다는 점을 인지했다. 그는 랑그 개념은 세 가지의 근본적인 이유에서 영상에는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로, 영상은 상호소통이 아니다. 영상이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해도 그것은 단일방향 커뮤니케이션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기표와 기의의 관계가 임의적인 소쉬르의 기호 개념과 영상 이미지는 전혀 다르다. 영상에서는 지각 대상들이 복제된다. 재생산 된다는 영상은 ‘현실의 블록(block)\'이라 불릴 수 있다. 즉 영상은 실제세계의 일련의 단편들을 주 자료로 삼고 있으며, 그것들은 영화의 기계적 복제를 통해 매개된다. 그래서 언어적 기초는 한 체계 내에서 점하는 위치에 따라 의미를 획득하지만 영화 이미지는 복제대상에 따라 의미를 획득한다. 더 나아가 영상 이미지와 대상 사이에는 외형적 유사성뿐만 아니라 물질적 연관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미지는 도상이면서도 지표가 되며 따라서 이미지에는 동기가 부여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장일·이성민·이흥우(2021). <사진영상론>. KNOU Press.
신항식 (2005). 《시각영상 기호학》, 나남출판.
김경용 (1994).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오은경,『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2010.
강미정,『퍼스의 기호학과 미술사 신미술사의 철학을 위하여』, 이학사, 2011.
루돌프 아른하임, 『시각적 사고』, 김정오 옮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김태형 (2003).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한 그래픽 디자인의 의미 분석 : 롤랑바르트(Roland Barthes)의 기호론, 신화론을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자정,「미술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의 필요성과 의미」,『미학』 제37집, 2004.
추천자료
[기호학][광고 기호학][광고 기호학 종류][광고 기호학 구조적 커뮤니케이션][광고 기호학 평...
패턴과 장식의 심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 퍼스의 기호분류(도상지표상징) 와 예술의 의미, ...
2021년 2학기 사진영상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진영상론 2학기 중간 과제
사진영상론 ) 1.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사진영상론 ) 1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
사진영상론 ) 1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
2022년 2학기 사진영상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기호의 세종류, 외연적, 함축적 의미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