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음 작품 중 한 권을 읽고, 이 작품에 대해 전체적으로 소개한 후 연작 중 한 편을 골라 상세히 해석하고 본인의 감상평을 쓰시오.
김소진 󰡔장석조네 사람들󰡕(2002)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장석조네 사람들
2. 비운의 육손이 형
3. 감상평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김소진, 장석조네 사람들 감상문.hwp
2. 김소진, 장석조네 사람들 분석.hwp
3. 이문구, 우리동네 감상문.hwp
4. 이문구, 우리동네 분석.hwp
5.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독후감.hwp
6.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읽고.hwp
김소진 󰡔장석조네 사람들󰡕(2002)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장석조네 사람들
2. 비운의 육손이 형
3. 감상평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김소진, 장석조네 사람들 감상문.hwp
2. 김소진, 장석조네 사람들 분석.hwp
3. 이문구, 우리동네 감상문.hwp
4. 이문구, 우리동네 분석.hwp
5.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독후감.hwp
6.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읽고.hwp
본문내용
I. 서 론
일반적으로 연작소설은 만연체에 가까운 문장과 구수하고도 질펀한 토착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1970년대 이후 우리 사회가 산업화되면서 노정하였던 빈민촌과 농촌공동체사회의 해체와 붕괴라는 문제적 상황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김소진의 <장석조네 사람들>은 1970년대 도시 변두리 빈민(미아리 산동네)들의 삶을 재현한 연작 소설이다. “한 지붕 아래 아홉 개의 방이 한 일자로 늘어서 있어 동네 사람들이 기찻집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장석조씨네” 사람들의 여러 가지 사연이 이 연작 소설의 다양한 줄거리를 이룬다. 작가는 ‘현재’에도 자신을 지배하고 있는 유년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자신의 가난한 이웃들이 어떤 식의 고된 삶을 살아갔는지를 재현한다. 장석조네 사람들에 등장하는 인물은 동산, 채석장, 연탄가게, 고물상, 상이군인, 양아치 등 당시의 풍경이 담겨있다.
‘육손이 형’은 김소진 단편 소설 여러 곳에 등장한다. 그러나 이 인물을 중심에 놓고, 그의 일대기를 다룬 것은 연작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장석조네 사람들> 중 「비운의 육손이 형」이 유일하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육손이 형’은 어려서 부터 거인증으로 우람한 체역을 자랑했으며 미아리 고개 빈민촌을 떠나 ‘흑표범, 역발산, 인간백정, 용팔이’ 등으로 변모하다 결국 행려병자로 죽는다.
광수 형은 동네에서도 눈에 띄는 거구였다. 동네 사람들은 광수형이 옛날에 태어났으면 아기장수가 되었을 것인데, 똥 푸는 아비 아래서 썩히기 아까운 허우대라고 했다. 화자는 광수 형이 큰 덩치에 지능지수가 박약까지는 아니지만, 현저히 미달인 상태로 판단한다. 남의 집 뒷간을 청소하는 아버지 때문에 동네 사람들에게 그 역시도 똥을 푸는 사람으로 여겨진다.
이 레포트는 다음 작품 중 한 권을 읽고, 이 작품에 대해 전체적으로 소개한 후 연작 중 한 편을 골라 상세히 해석하고 본인의 감상평을 서술하였다.
II. 본 론
1. 장석조네 사람들
김소진의 소설 속 인물들은 6.25전쟁, 이데올로기 대립이라는 역사적 폭력에 의해 굴곡진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또한, 모순된 사회구조로 인해 궁핍하게 살아가거나 무능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본성이 악하거나, 스스로 일으킨 문제로 인해 갈등에 휘말리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과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이리 저리 휩쓸려 살아가는 인물들이 자주 등장한다. 1970년대 미아리 고개에 살던 가난한 사람들 이야기 『장석조네 사람들』에는 그런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소설 속 아버지는 남루하고 가난하게 평생을 살아온 인간으로 그려진다. 아버지의 평생은 ‘운명’이라 부른, 폭력적인 세계의 힘에 위압당해 이끌려 다녔다. 그는 내내 당하기만 한다. ‘6.25’는 폭력적으로 그의 삶에 개입하여 그의 삶을 두 동강 냈다. 이후 남한에서의 삶 또한 남한 사회를 지배하는 권력에 의해 중심부로의 진입을 냉혹하게 거부당하고 변두리의 삶을 살아간다.
- 중략 -
일반적으로 연작소설은 만연체에 가까운 문장과 구수하고도 질펀한 토착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1970년대 이후 우리 사회가 산업화되면서 노정하였던 빈민촌과 농촌공동체사회의 해체와 붕괴라는 문제적 상황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김소진의 <장석조네 사람들>은 1970년대 도시 변두리 빈민(미아리 산동네)들의 삶을 재현한 연작 소설이다. “한 지붕 아래 아홉 개의 방이 한 일자로 늘어서 있어 동네 사람들이 기찻집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장석조씨네” 사람들의 여러 가지 사연이 이 연작 소설의 다양한 줄거리를 이룬다. 작가는 ‘현재’에도 자신을 지배하고 있는 유년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자신의 가난한 이웃들이 어떤 식의 고된 삶을 살아갔는지를 재현한다. 장석조네 사람들에 등장하는 인물은 동산, 채석장, 연탄가게, 고물상, 상이군인, 양아치 등 당시의 풍경이 담겨있다.
‘육손이 형’은 김소진 단편 소설 여러 곳에 등장한다. 그러나 이 인물을 중심에 놓고, 그의 일대기를 다룬 것은 연작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장석조네 사람들> 중 「비운의 육손이 형」이 유일하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육손이 형’은 어려서 부터 거인증으로 우람한 체역을 자랑했으며 미아리 고개 빈민촌을 떠나 ‘흑표범, 역발산, 인간백정, 용팔이’ 등으로 변모하다 결국 행려병자로 죽는다.
광수 형은 동네에서도 눈에 띄는 거구였다. 동네 사람들은 광수형이 옛날에 태어났으면 아기장수가 되었을 것인데, 똥 푸는 아비 아래서 썩히기 아까운 허우대라고 했다. 화자는 광수 형이 큰 덩치에 지능지수가 박약까지는 아니지만, 현저히 미달인 상태로 판단한다. 남의 집 뒷간을 청소하는 아버지 때문에 동네 사람들에게 그 역시도 똥을 푸는 사람으로 여겨진다.
이 레포트는 다음 작품 중 한 권을 읽고, 이 작품에 대해 전체적으로 소개한 후 연작 중 한 편을 골라 상세히 해석하고 본인의 감상평을 서술하였다.
II. 본 론
1. 장석조네 사람들
김소진의 소설 속 인물들은 6.25전쟁, 이데올로기 대립이라는 역사적 폭력에 의해 굴곡진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또한, 모순된 사회구조로 인해 궁핍하게 살아가거나 무능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본성이 악하거나, 스스로 일으킨 문제로 인해 갈등에 휘말리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과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이리 저리 휩쓸려 살아가는 인물들이 자주 등장한다. 1970년대 미아리 고개에 살던 가난한 사람들 이야기 『장석조네 사람들』에는 그런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소설 속 아버지는 남루하고 가난하게 평생을 살아온 인간으로 그려진다. 아버지의 평생은 ‘운명’이라 부른, 폭력적인 세계의 힘에 위압당해 이끌려 다녔다. 그는 내내 당하기만 한다. ‘6.25’는 폭력적으로 그의 삶에 개입하여 그의 삶을 두 동강 냈다. 이후 남한에서의 삶 또한 남한 사회를 지배하는 권력에 의해 중심부로의 진입을 냉혹하게 거부당하고 변두리의 삶을 살아간다.
- 중략 -
추천자료
2010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소설을 영화화 한 작품 비교서술)
2013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박경리 김약국의 딸들)
2015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6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노년인물에 대한 형상화를 비교, 분석)
2017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작품에 드러난 아버지상과 가족원의 시선)
2018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이주노동자의 재현양상을 비교하여 분석)
2019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작품에 나타난 부부관계에 대해 분석)
2020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김채원 - 겨울의 환 감상문)
2021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주인공의 성장에 초점을 두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