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 이론
3. 참고 문헌
2. 관련 이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을 AO라하고, 오리피스의 단면적을 A라 하면, 수축계수 CL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수축계수(≒0.64) : 오리피스관 면적 : 분출수의 단면적 ).............(5.16)
오리피스에서 나온 제트류의 수직거리는
이 시간 동안의 수평 이송거리는
따라서, ∴ (5.17)
여기에서,
: 속도계수 : 오리피스를 통과한 제트류의 수평방향 거리
: 수두 : 오리피스를 통과한 제트류의 수직방향 거리
실제유량 Q는
(5.18)
여기에서,
: 수축계수 : 유속계수 : 유량계수
: 오리피스관면적(m2) : 중력가속도(m/s2) : 수위(m)
② 온도계의 원리
물질의 열팽창(체적), 전기저항, 열기전력, 열복사도 등의 각종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다른 양(압력 등)과는 달리 간접적인 방법뿐이다.
③ 오리피스
관 흐름을 교축(유동 단면적을 급속히 축소)시켜 주기 위한 기구
관 흐름의 유량제어 또는 차압(감압)시키는데 사용된다.
오리피스는 유압 배관 또는 기기에서 기름이 흘러가는 통로가 단면에 비하여, 좁혀진 부분이나 그 반대로 유체를흐르게 해서 유량제어 또는 차압(감압)시키는데 사용된다. 기름이 오리피스를 통하여 흐르기 위해서는 오리피스 사이에 압력차 또는 압력강하가 있어야 한다. 역으로 만약 흐름이 없다면, 오리피스를 사이에 두고 압력차가 없다. 결국 이 압력차의 크기에 따라 오리피스를 통하는 기름의 양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은 체적이나 밀도의 변화가 없는 1차원, 정상, 비점성 및 등온 상태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오리피스 유량식을 얻을 수 있다.
④ 오리피스 유량계
관로 내의 흐름에 수직 방향으로 그 단면적을 작게 하는 차폐물을 삽입하여 거기에서 발생하는 차압을 측정하여 유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계에 속하는 것으로서 오리피스, 노즐, 벤튜리관 등을 들 수 있다.이들은 모두 고전적인 유량계로서 공업 분야에서 쓰이는 유량계의 70~80%를 차지하고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또한 기체, 액체 측정을 할 수 있어 각종 프로세스의 제어용, 천연 가스의 측정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교축식 유량계의 기본식은 연속의 식과 에너지 보존의 식에서 유도된다.
3. 참고 문헌
기초기계공학실험 수업교재
네이버 웹문서 및 전문지식 검색
인터넷 백과사전
http://ycc7.yc.ac.kr/~kjkyum/html/fluidmtext/4_3_4_2.htm
(수축계수(≒0.64) : 오리피스관 면적 : 분출수의 단면적 ).............(5.16)
오리피스에서 나온 제트류의 수직거리는
이 시간 동안의 수평 이송거리는
따라서, ∴ (5.17)
여기에서,
: 속도계수 : 오리피스를 통과한 제트류의 수평방향 거리
: 수두 : 오리피스를 통과한 제트류의 수직방향 거리
실제유량 Q는
(5.18)
여기에서,
: 수축계수 : 유속계수 : 유량계수
: 오리피스관면적(m2) : 중력가속도(m/s2) : 수위(m)
② 온도계의 원리
물질의 열팽창(체적), 전기저항, 열기전력, 열복사도 등의 각종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다른 양(압력 등)과는 달리 간접적인 방법뿐이다.
③ 오리피스
관 흐름을 교축(유동 단면적을 급속히 축소)시켜 주기 위한 기구
관 흐름의 유량제어 또는 차압(감압)시키는데 사용된다.
오리피스는 유압 배관 또는 기기에서 기름이 흘러가는 통로가 단면에 비하여, 좁혀진 부분이나 그 반대로 유체를흐르게 해서 유량제어 또는 차압(감압)시키는데 사용된다. 기름이 오리피스를 통하여 흐르기 위해서는 오리피스 사이에 압력차 또는 압력강하가 있어야 한다. 역으로 만약 흐름이 없다면, 오리피스를 사이에 두고 압력차가 없다. 결국 이 압력차의 크기에 따라 오리피스를 통하는 기름의 양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은 체적이나 밀도의 변화가 없는 1차원, 정상, 비점성 및 등온 상태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오리피스 유량식을 얻을 수 있다.
④ 오리피스 유량계
관로 내의 흐름에 수직 방향으로 그 단면적을 작게 하는 차폐물을 삽입하여 거기에서 발생하는 차압을 측정하여 유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계에 속하는 것으로서 오리피스, 노즐, 벤튜리관 등을 들 수 있다.이들은 모두 고전적인 유량계로서 공업 분야에서 쓰이는 유량계의 70~80%를 차지하고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또한 기체, 액체 측정을 할 수 있어 각종 프로세스의 제어용, 천연 가스의 측정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교축식 유량계의 기본식은 연속의 식과 에너지 보존의 식에서 유도된다.
3. 참고 문헌
기초기계공학실험 수업교재
네이버 웹문서 및 전문지식 검색
인터넷 백과사전
http://ycc7.yc.ac.kr/~kjkyum/html/fluidmtext/4_3_4_2.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