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일산화탄소 중독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
3.지난 10년간 발생한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사례
4.일산화탄소 중독사고의 원인
5.결론
6.참고 자료
2.일산화탄소 중독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
3.지난 10년간 발생한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사례
4.일산화탄소 중독사고의 원인
5.결론
6.참고 자료
본문내용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는 고압산소치료를 시행하고 고압산소치료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1) 최초 내원 병원에서 시행한 초기 동맥혈검사에서 COHb 농도가 25% 이상인 경우, 2) 임산부의 경우 COHb 농도가 15% 이상인 경우, 3) 실신 등 일시적 의식소실이 있는 경우, 4)급성 심근 허혈의 증거가 있는 경우, 5) 혼돈 및 의식변화가 있는 경우, 6) 경련의 증거가 있는 경우, 7) 혼수상태인 경우, 8) 국소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고압산소치료 횟수는 환자 및 보호자가 거절하거나 이통 등으로 고압산소치료를 중단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소 3회 이상을 시행하고 그 후에도 지속적인 급성기 일산화탄소 중독증상이 남아있는 경우 추가 치료를 고려하여 시행한다. 절대압을 적용하였고 30분 가압, 60분 유지, 30분 감압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고압산소챔버는 단일체 고압산소챔버를 이용한다. 환자는 입원 도중과 퇴원 시에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의 증상에 대해 교육받고 증상 발생 시 즉시 재내원 할 것 및 1달 뒤에 외래 추적관찰 할 것을 설명받고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에 관한 안내문을 받는다.
그리고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환기가 가장 중요한데 보일러, 배기가스 누출 등의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한다. 가스 온수기 사용 시 좁은 욕실에서 환기 시설이 없이 사용하면 중독될 수 있다. 밀폐된 공간이나 차량 내부에서 가스나 석탄, 목재 등을 이용한 난방기구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자동차는 시동을 켜놓으면 엔진에서 CO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부에서는 춥더라도 수시로 환기는 필수다.
유기성 물질 연소기 주변에는 검사기관으로 부터 승인을 받은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기를 설치하거나 환기구가 있더라도 신선한 공기가 제대로 순환되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6. 참고 자료
임상독성학, 김기운 외, 군자출판사, 2006
김옥숙 외,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2005, p201-202
Practical Emergency medicine, 김기운, 군자출판사, 2001
Sheehy\'s 응급간호학, 성명숙 외, 군자출판사, 2008
성인간호학, 전시자 외, 현문사, 2005
김옥숙 외, 『응급 및 재해간호』, 수문사, 2017, p89-100, p227
대한응급의학회, 『응급의학Ⅱ』, 군자출판사, 2011, p1907-1913
박상규 외, 『응급처치』, 라이프사이언스, 2015, p185-187
1) 최초 내원 병원에서 시행한 초기 동맥혈검사에서 COHb 농도가 25% 이상인 경우, 2) 임산부의 경우 COHb 농도가 15% 이상인 경우, 3) 실신 등 일시적 의식소실이 있는 경우, 4)급성 심근 허혈의 증거가 있는 경우, 5) 혼돈 및 의식변화가 있는 경우, 6) 경련의 증거가 있는 경우, 7) 혼수상태인 경우, 8) 국소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고압산소치료 횟수는 환자 및 보호자가 거절하거나 이통 등으로 고압산소치료를 중단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소 3회 이상을 시행하고 그 후에도 지속적인 급성기 일산화탄소 중독증상이 남아있는 경우 추가 치료를 고려하여 시행한다. 절대압을 적용하였고 30분 가압, 60분 유지, 30분 감압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고압산소챔버는 단일체 고압산소챔버를 이용한다. 환자는 입원 도중과 퇴원 시에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의 증상에 대해 교육받고 증상 발생 시 즉시 재내원 할 것 및 1달 뒤에 외래 추적관찰 할 것을 설명받고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에 관한 안내문을 받는다.
그리고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환기가 가장 중요한데 보일러, 배기가스 누출 등의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한다. 가스 온수기 사용 시 좁은 욕실에서 환기 시설이 없이 사용하면 중독될 수 있다. 밀폐된 공간이나 차량 내부에서 가스나 석탄, 목재 등을 이용한 난방기구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자동차는 시동을 켜놓으면 엔진에서 CO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부에서는 춥더라도 수시로 환기는 필수다.
유기성 물질 연소기 주변에는 검사기관으로 부터 승인을 받은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기를 설치하거나 환기구가 있더라도 신선한 공기가 제대로 순환되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6. 참고 자료
임상독성학, 김기운 외, 군자출판사, 2006
김옥숙 외,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2005, p201-202
Practical Emergency medicine, 김기운, 군자출판사, 2001
Sheehy\'s 응급간호학, 성명숙 외, 군자출판사, 2008
성인간호학, 전시자 외, 현문사, 2005
김옥숙 외, 『응급 및 재해간호』, 수문사, 2017, p89-100, p227
대한응급의학회, 『응급의학Ⅱ』, 군자출판사, 2011, p1907-1913
박상규 외, 『응급처치』, 라이프사이언스, 2015, p185-187
추천자료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사건
LED 제품과 시장 특성 및 LED 산업의 분야별 특성 분석 - 에너지 절약 사업, 환경친화적, 경...
[대기오염]대기오염의 원인과 심각성, 대기오염 문제와 해결을 위한 대책, 대기오염 물질의 ...
환경오염의 원인, 종류와 문제점 및 대책 분석(다양한 사례 중심)
생명과환경2017/ 영화 투모로우를 보고 기후변화의 최악의 결과에 대해 논하시오.
생명과환경2017 - 영화 투모로우를 보고 기후변화의 최악의 결과에 대해 논하시오.
(인간과과학 1학년) 5. 지난 10년간 발생한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사례를 조사하고 그 원인을 ...
2022년 2학기 인간과과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5(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