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 ‘영양’부문의 ‘건강식생활실천율(초등학생(만 6세) 이상)(%)’에 관한 과제입니다.
(1) 건강식생활실천율 지표의 정의는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되는가? (5점)
(2) 2018년 기준치, 2030년 목표치, 2019년 및 2020년의 결과 수치를 각각 찾아 쓰고, 2019년과 2020년의 달성도(%)를 각각 계산하여 이를 달성/개선/유지/악화/평가불가 중 하나로 평가하시오. (10점, 기준치와 목표치는 교재 표 10-1 참고, 최근 수치는 담당교수 홈페이지 참고, 달성도 및 평가는 교재 172, 173페이지 참고)
(3) 2020년의 결과를 성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점, 연령에 따른 성별 비교 미포함)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점, 성별에 따른 연령 비교 미포함)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를 찾아쓰시오(5점, 예: 본인이 45세 남성이라면 해당수치는 42.5%)
(6) 참고문헌
(1) 건강식생활실천율 지표의 정의는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되는가? (5점)
(2) 2018년 기준치, 2030년 목표치, 2019년 및 2020년의 결과 수치를 각각 찾아 쓰고, 2019년과 2020년의 달성도(%)를 각각 계산하여 이를 달성/개선/유지/악화/평가불가 중 하나로 평가하시오. (10점, 기준치와 목표치는 교재 표 10-1 참고, 최근 수치는 담당교수 홈페이지 참고, 달성도 및 평가는 교재 172, 173페이지 참고)
(3) 2020년의 결과를 성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점, 연령에 따른 성별 비교 미포함)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점, 성별에 따른 연령 비교 미포함)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를 찾아쓰시오(5점, 예: 본인이 45세 남성이라면 해당수치는 42.5%)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10% 이상 100% 미만의 달성도에 해당하므로, ‘개선’이라는 평가결과가 나온다. 또한 2020년 달성도의 경우도 10% 이상 100% 미만에 해당하므로, ‘개선’이라는 결과평가가 나왔다.
(3) 2020년의 결과를 성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점, 연령에 따른 성별 비교 미포함)
아래 그림을 보면, 남자의 경우 2020년 건강식생활실천율은 37.7%이고, 여자는 48.9%로 확인된다. 즉, 여자는 남자보다 11.2% 더 높은 결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남녀 모두 2030년 목표치인 50.6%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아래 그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남녀의 건강식생활실천율의 달성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2030년의 성별 목표치가 따로 없으므로, 2030년 목표치 인 50.6%를 사용하여 계산했다.
2020년 건강식생활실천율의 남녀차이는 11.2%로 꽤 큰 차이를 보이는데, 달성도를 비교하면 남녀차이는 1.4% 수준이다. 이는 남녀별 2018년의 기준치에 차이(남 36.0, 여자 47.0)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녀별로 2030년 목표치를 따로 설정하지 않는 이상, 위 달성도 결과의 비교는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점, 성별에 따른 연령 비교 미포함)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이 36.1로 가장 낮고 40~49가 51.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40대 이상 60대 이하의 연령층의 수치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건강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장년 층 이상에서 건강관리에 더 높은 관심을 보이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각 연령대 수치 8개의 평균은 42.9, 표준편차는 5.09이다.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를 찾아쓰시오. (5점, 예: 본인이 45세 남성이라면 해당수치는 42.5%)
남성의 경우 30대라면 31.4%의 건강식생활실천율에 해당한다.
(6) 참고문헌
- 지역사회영양학, 김동우·이수경·이윤나·정상진, 출판문화원, 2021.
- 2020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 보건복지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 \'21~\'30)
https://www.khealth.or.kr/board/view?linkId=1001876&menuId=MENU00907
-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3) 2020년의 결과를 성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점, 연령에 따른 성별 비교 미포함)
아래 그림을 보면, 남자의 경우 2020년 건강식생활실천율은 37.7%이고, 여자는 48.9%로 확인된다. 즉, 여자는 남자보다 11.2% 더 높은 결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남녀 모두 2030년 목표치인 50.6%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아래 그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남녀의 건강식생활실천율의 달성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2030년의 성별 목표치가 따로 없으므로, 2030년 목표치 인 50.6%를 사용하여 계산했다.
2020년 건강식생활실천율의 남녀차이는 11.2%로 꽤 큰 차이를 보이는데, 달성도를 비교하면 남녀차이는 1.4% 수준이다. 이는 남녀별 2018년의 기준치에 차이(남 36.0, 여자 47.0)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녀별로 2030년 목표치를 따로 설정하지 않는 이상, 위 달성도 결과의 비교는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점, 성별에 따른 연령 비교 미포함)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이 36.1로 가장 낮고 40~49가 51.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40대 이상 60대 이하의 연령층의 수치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건강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장년 층 이상에서 건강관리에 더 높은 관심을 보이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각 연령대 수치 8개의 평균은 42.9, 표준편차는 5.09이다.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를 찾아쓰시오. (5점, 예: 본인이 45세 남성이라면 해당수치는 42.5%)
남성의 경우 30대라면 31.4%의 건강식생활실천율에 해당한다.
(6) 참고문헌
- 지역사회영양학, 김동우·이수경·이윤나·정상진, 출판문화원, 2021.
- 2020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 보건복지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 \'21~\'30)
https://www.khealth.or.kr/board/view?linkId=1001876&menuId=MENU00907
-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키워드
추천자료
2021년 2학기 지역사회영양학 기말시험 과제물(‘영양’부문의 성과지표 중 과일,채소)
(방송통신대 지역사회영양학 기말과제물)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에서 영양 부문...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지역사회영양학(공통)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
사회영양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에서 영양 부문의 성과지표 중 과일,채소를 1...
사회영양학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에서 영양 부문의 성과지표 중 과일채소를 ...
지역사회영양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에서‘영양’부문의 성과지표 중 과일채소...
2022년 2학기 지역사회영양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지역사회영양학 2022)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지역사회영양학 영양부문의 건강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