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국내 배합사료 생산과 이용현황 및 문제점
2) 국내 조사료 생산과 이용에 대한 문제점의 효율적 개선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국내 배합사료 생산과 이용현황 및 문제점
2) 국내 조사료 생산과 이용에 대한 문제점의 효율적 개선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의 사료비 절감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경관의 개선 및 수변의 관리 등의 측면에서 공공재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한국도 이에 대한 적극적 정책적 배려가 요청된다. 또한, 강유역 등 유휴지에 조사료를 재배하면서 비료를 최소화하고 수확을 원활히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현재 활용되고 있는 간척지는 생산 확대를 위해서 쌀 이외의 작물의 모작 및 장기간의 임대를 허용하고 있다. 이는 사료용 벼의 재배활성화 및 축산농가의 부담경감을 위한 조치로서 농어촌공사의 위탁관리지구 중에서 일부를 임대하고 있으며, 시험 재배지역을 두어 지속적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간척지를 이용할 경우 사료 작물 생산가능을 추정하면 수입조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조사료의 생산이 가능하며 더불어 쌀 생산의 대체는 벼 재배면적의 감소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안정된 벼 재배의 소득과 비교하여 비교적 소득이 불안정한 배수관리와 염분 등 농지의 특성을 고려한 작물재배의 유도가 쉽지 않으며, 일시적으로 다량 생상 된 조사료의 보관방법 및 판로확보 등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부는 조사료의 생산기반을 확충사업을 통해 기계 및 방비를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수요급증에 대비한 농기계 은형(농협)등을 통한 임대사업을 시행해야 한다. 또한, 생산성의 향상 및 소득의 보전을 위한 재배기술의 보급에도 힘써야 하며, 배수관리 및 토양특성에 적합한 품종선택과 토양특성 그리고 지역여건 등을 고려한 표준작부 체계 등을 현실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더 나아가 벼의 재배 대비 소득보전을 위한 다각적 지원을 통해 조사료 재배지역의 확대 및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해야 한다.
3. 결론
이렇듯 축산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축산물의 생산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에 있어 대다수의 양축농가가 농후사료를 과다하게 급여할 뿐 아니라 조사료를 사료가치가 낮은 볏짚위주의 왜곡된 축산을 영위하고 있어 영양 생리적으로 반추동물에 매우 중요한 조사료보다 배합사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가축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배합사료의 원료를 거의 전량 수입하고 있는 우리 축산에서 배합사료의 가격 상승은 바로 축산농가의 경영악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양질의 조사료가 부족한 현실에서 논이나 휴경지 그리고 하천 등에서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이용하는 것은 조사료의 자급과 외화절약적 차원에서 매우 시급한 과제이며, 조사료의 자급률이 낮은 현 상태에서 수입 조사료를 수입할 경우 양질의 조사료를 수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축협의 하천부지 활용방안 계획 및 일본의 하천부지 활용 그리고 국내의 간척지를 통한 조사료 재배 등의 조사를 통해서 국내 조사료의 생산기반 확대를 현실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4. 참고문헌
· 이효원 외 2인 공저, 「사료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15
· 이효원 외 2인 공저, 「축산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16
· 한인규 외 공저, 「사료자원 핸드북」, 한국사료협회
한편, 현재 활용되고 있는 간척지는 생산 확대를 위해서 쌀 이외의 작물의 모작 및 장기간의 임대를 허용하고 있다. 이는 사료용 벼의 재배활성화 및 축산농가의 부담경감을 위한 조치로서 농어촌공사의 위탁관리지구 중에서 일부를 임대하고 있으며, 시험 재배지역을 두어 지속적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간척지를 이용할 경우 사료 작물 생산가능을 추정하면 수입조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조사료의 생산이 가능하며 더불어 쌀 생산의 대체는 벼 재배면적의 감소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안정된 벼 재배의 소득과 비교하여 비교적 소득이 불안정한 배수관리와 염분 등 농지의 특성을 고려한 작물재배의 유도가 쉽지 않으며, 일시적으로 다량 생상 된 조사료의 보관방법 및 판로확보 등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부는 조사료의 생산기반을 확충사업을 통해 기계 및 방비를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수요급증에 대비한 농기계 은형(농협)등을 통한 임대사업을 시행해야 한다. 또한, 생산성의 향상 및 소득의 보전을 위한 재배기술의 보급에도 힘써야 하며, 배수관리 및 토양특성에 적합한 품종선택과 토양특성 그리고 지역여건 등을 고려한 표준작부 체계 등을 현실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더 나아가 벼의 재배 대비 소득보전을 위한 다각적 지원을 통해 조사료 재배지역의 확대 및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해야 한다.
3. 결론
이렇듯 축산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축산물의 생산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에 있어 대다수의 양축농가가 농후사료를 과다하게 급여할 뿐 아니라 조사료를 사료가치가 낮은 볏짚위주의 왜곡된 축산을 영위하고 있어 영양 생리적으로 반추동물에 매우 중요한 조사료보다 배합사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가축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배합사료의 원료를 거의 전량 수입하고 있는 우리 축산에서 배합사료의 가격 상승은 바로 축산농가의 경영악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양질의 조사료가 부족한 현실에서 논이나 휴경지 그리고 하천 등에서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이용하는 것은 조사료의 자급과 외화절약적 차원에서 매우 시급한 과제이며, 조사료의 자급률이 낮은 현 상태에서 수입 조사료를 수입할 경우 양질의 조사료를 수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축협의 하천부지 활용방안 계획 및 일본의 하천부지 활용 그리고 국내의 간척지를 통한 조사료 재배 등의 조사를 통해서 국내 조사료의 생산기반 확대를 현실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4. 참고문헌
· 이효원 외 2인 공저, 「사료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15
· 이효원 외 2인 공저, 「축산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16
· 한인규 외 공저, 「사료자원 핸드북」, 한국사료협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