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식물병원세균의 형태,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라. (24점)
1) 식물의 기능
2) 식물병원세균의 형태
3 식물병원세균의 구조 및 기능
4) 식물병원세균의 특징
2. 식물바이러스의 감염(침입)과 증식의 과정을 설명하라. (6점)
1) 식물의 기능
2) 식물병원세균의 형태
3 식물병원세균의 구조 및 기능
4) 식물병원세균의 특징
2. 식물바이러스의 감염(침입)과 증식의 과정을 설명하라. (6점)
본문내용
뿌리혹병균으로 호기성 간균, 주모, 백색에서 회백색의 콜로니를 형성한다. 포도 나무줄기혹 병균이 속한다.
- 호기성 간균으로 1개 또는 수개의 편모로 형광색소를 형성하지 않는다. 벼세균성 알마름 병균이 속한다.
- 통성혐기성 간균, 주모, 회백색 콜로니 16sRNA 로 구분하며 채소무름병균, 배나무 불마름병균이 속한다.
- 호기성 간균, 단극모, 백색에서 담갈색 콜로니, 형광색소 생성균이 많다. 오이세균 성 점무늬 병균, 공세균성 점무늬 병균이 속한다.
- 호기성 간균 1개 단극모, 무모, 형광색소를 형성하지 않는다. 가짓과 풋마름 병균이 속한다.
- 편성호기성 간균, 단극모, 원형의 점질성의 노란 콜로니를 형성한다. 고추점무늬병균, 벼흰잎마름병균이 속한다.
2. 식물바이러스의 감염(침입)과 증식의 과정을 설명하라. (6점)
1) 식물바이러스의 전염
스스로 기주식물체를 침입하지는 못한다.
① 즙액(접촉)전염
- 이병된 식물체 즙액이 접촉이나 기계적 상처를 통해 전염된다.
-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쥬키니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② 접목전염
- 수박, 오이, 참외 등 접목 시 전염되는 것을 말한다.
③ 종자전염
- 주요 바이러스 230여 종에서 60여 종이 종자전염 된다.
-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고추마일드모틀바이러스, 오이노박모자이크바이러스, 쥬키니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콩모자이크바이러스가 있다.
④ 충매전염
- 진딧물, 매미충, 멸구류, 가루이 등에 의한 전염이다.
- 식물바이러스 전염에 가장 큰 역할은 전염속도가 빠르고 넓은 지역에 퍼질 위험성이 크다.
⑤ 식물바이러스는 접촉(즙액), 충매(진딧물 구침), 접목, 종자, 화분, 균류, 기생 식물에 의하여 기주에 침입한다.
2) 증식과정
① 기주식물에 침입한 바이러스가 외피단백질을 벗고 기주식물의 도움으로 핵산이나 외 피단백질을 합성한다. 그리고 기주세포는 바이러스의 합성, 증식에 필요한 물질이나 합성기구를 제공한다.
② 바이러스는 번역과 복제를 통하여 합성되어 핵산이나 외피단백질을 결합해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만든다.
③ 증식된 바이러스는 세포 간 이동과 원거리 이동해 국부 마 전신감염을 일으킨다.
④ 바이러스 증식과 기주의 대사 작용의 혼란에 의하여 기주식물은 변색, 변형의 병징 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1. 최재을외(2018)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 김형무외(2008) 신제 식물병리학. 향문사
3.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의 길잡이
- 호기성 간균으로 1개 또는 수개의 편모로 형광색소를 형성하지 않는다. 벼세균성 알마름 병균이 속한다.
- 통성혐기성 간균, 주모, 회백색 콜로니 16sRNA 로 구분하며 채소무름병균, 배나무 불마름병균이 속한다.
- 호기성 간균, 단극모, 백색에서 담갈색 콜로니, 형광색소 생성균이 많다. 오이세균 성 점무늬 병균, 공세균성 점무늬 병균이 속한다.
- 호기성 간균 1개 단극모, 무모, 형광색소를 형성하지 않는다. 가짓과 풋마름 병균이 속한다.
- 편성호기성 간균, 단극모, 원형의 점질성의 노란 콜로니를 형성한다. 고추점무늬병균, 벼흰잎마름병균이 속한다.
2. 식물바이러스의 감염(침입)과 증식의 과정을 설명하라. (6점)
1) 식물바이러스의 전염
스스로 기주식물체를 침입하지는 못한다.
① 즙액(접촉)전염
- 이병된 식물체 즙액이 접촉이나 기계적 상처를 통해 전염된다.
-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쥬키니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② 접목전염
- 수박, 오이, 참외 등 접목 시 전염되는 것을 말한다.
③ 종자전염
- 주요 바이러스 230여 종에서 60여 종이 종자전염 된다.
-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고추마일드모틀바이러스, 오이노박모자이크바이러스, 쥬키니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콩모자이크바이러스가 있다.
④ 충매전염
- 진딧물, 매미충, 멸구류, 가루이 등에 의한 전염이다.
- 식물바이러스 전염에 가장 큰 역할은 전염속도가 빠르고 넓은 지역에 퍼질 위험성이 크다.
⑤ 식물바이러스는 접촉(즙액), 충매(진딧물 구침), 접목, 종자, 화분, 균류, 기생 식물에 의하여 기주에 침입한다.
2) 증식과정
① 기주식물에 침입한 바이러스가 외피단백질을 벗고 기주식물의 도움으로 핵산이나 외 피단백질을 합성한다. 그리고 기주세포는 바이러스의 합성, 증식에 필요한 물질이나 합성기구를 제공한다.
② 바이러스는 번역과 복제를 통하여 합성되어 핵산이나 외피단백질을 결합해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만든다.
③ 증식된 바이러스는 세포 간 이동과 원거리 이동해 국부 마 전신감염을 일으킨다.
④ 바이러스 증식과 기주의 대사 작용의 혼란에 의하여 기주식물은 변색, 변형의 병징 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1. 최재을외(2018)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 김형무외(2008) 신제 식물병리학. 향문사
3.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의 길잡이
추천자료
[식물의학 A형 A+] 식물병의 전염원의 종류 및 전반방법을 설명하라.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물의학(A형) 발병과 환경(온도, 수분 및 강...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물의학(A형)발병과 환경(온도, 수분 및 강...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물의학(A형)발병과 환경(온도, 수분 및 강...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물의학(B형) 해충의 발생 예찰에 관하여 설...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물의학(C형) 해충의 재배적 방제법을 설명...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물의학(C형) 해충의 재배적 방제법을 설명하라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물의학(D형) 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전...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물의학(E형) 잡초의 피해, 제초제의 분류, ...
식물의학 =) 식물바이러스의 형태, 구조 및 조성을 정리하고 세균과의 차이점과 방제의 어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