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작물학_씨감자 생산의 중요성과 생산방법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작물학_씨감자 생산의 중요성과 생산방법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감자의 소개
2) 감자의 특징

2. 본론
1) 씨감자의 중요성
2) 씨감자 생산 방법
3) 씨감자 수확 과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산태질소가 흡수가 되면서 pH가 상승이 된다. 그러나 줄어든 만큼 새로운 배양액을 첨가하연 이와 같은 pH의 급상승 방지가 가능하다. pH 조절에는 질산암모늄(NH4NO3), 인산암모늄(NH4H2PO4), 유안((NH4)2SO4) 등의 비료가 쓰일 수도 있다.
배양액 및 근권은 15~20°C를 유지하고, 고온기에는 차가운 지하수를 유통시켜서 온도를 20°C 이하로 유지하고, 복지발생기 이후에는 더 이상의 배양액의 온도를 높이지 않으며, 11~15°C를 유지하여서 관리한다.
3) 씨감자 수확 과정
씨감자는 아래의 3단계를 거쳐서 수확 및 저장이 된다.
① 수확
씨감자 수경재배 시 아주심기 후 60~70일 정도에 잎줄기 성장이 최고점에 도달하고, 그 이후 서서히 감소된다. 그리고 아주심기 후 90일 쯤 괴경 수량, 전력, 원수, 배양액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서 수확하는 것이 보편적이고, 효율적이다. 수경재배 씨감자의 비중은 1.03~1.07 정도로 괴경의 크기와 비례하여 높아지거나, 10~50g까지는 차이가 없고, 50g 이상부터는 오히려 감소한다.
② 큐어링(녹화처리)
다습한 환경에서 생산이 되는 수경재배 씨감자의 경우에는 표피가 비교적 연해서 쉽게 벗겨진다. 그래서 수확 이후 온도 17~18°C, 습도 80~85%의 산광에서 표피를 경화시키고,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 큐어링을 한다. 씨감자는 큐어링을 통해서 병원균의 침입, 그로 인한 부패를 방지하고, 수확 후 약 2주 정도 시행을 하는 것이 비교적 효과적이다.
③ 저장
큐어링 후 씨감자는 크기, 형태, 신선도에 따라서 분류를 하고, 기형, 썩은 것을 제외를 하고는 다음해의 생산을 대비하여 저장한다. 저장 기간에 따라서 온도를 조절하는데 단기 저장일 경우에는 3~4°C의 저온에서, 장기 저장의 경우에는 10~20°C의 고온에서 저장을 한다.
저온 저장을 한다고 하여도 감자의 수량이 과도할 때, 호흡열과 암조건으로 내부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감자의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3. 결론
감자는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접근이 가능하고, 재배, 수확이 편리한 작물 중 하나이다. 생산성과 안정성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양질의 씨감자 재배와 적절한 관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단순하게 양질의 감자를 생산하기 위해서가 아닌, 이전 세대의 감자와 비교하여서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웰빙에 대한 관심도는 높아지고 있다. 같은 식품도 건강하고, 안전하게 섭취를 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서 감자를 포함한 각종 작물들이 품질 개량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감자는 다음 세대의 작물을 위해서 우량 씨감자의 확보를 우선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4. 참고문헌
조재영 외(2021) 전작 식용작물학. 향문사.
류수노 외(2017) 식용작물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숭열, 정진철, 안수용, 김정간, 임명순. (1993). 인공씨감자의 재배법 확립을 위한 연구.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11(1). pp. 112-113.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10.11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6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