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성,사랑,사회, 공통)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의 독후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2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성,사랑,사회, 공통)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의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책 소개

2. 독후감
1) 한국 남성의 식민성과 여성주의 이론/정희진
2) 근대 전환기 한국의 남성성/권김현영
3) 남성 신체의 근대적 발명/루인
4) 보편성의 정치와 한국의 남성성/엄기호
5) 이성애 제도와 여자의 남성성/한채윤
6) 트랜스 남성은 어떻게 한국 남자가 되는가/준우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남자를 혐오하거나 선망하는 여자가 아니다. 레즈비언은 이성애 성규범에 포섭되지 않는 여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여자에게도 남성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레즈비언의 남성성은 이성애자 남자의 남성성을 직접적으로 위협한다. 레즈비언이 위반하고 있는 것은 성별 규범과 이성애 제도라는 두 차원 모두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자기 글을 통해 풍부한 역사적 사료들을 흥미진진한 분석과 함께 제시하면서 여자의 남성성을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재배치해냈다. 이 글은 여자의 남성성과 이성애자 남자 남성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6) 트랜스 남성은 어떻게 한국 남자가 되는가/준우
트랜스남성이 상대방 여자를 통해 남성성을 느끼면서 상대방의 불쾌함에는 조금도 관심 없고 단지 자신이 남자인지를 확인받은 것만 기뻐하는 그런 모습은 보통 한국 남자들의 유치함과 똑같다. 트랜스남성의 남성성은 일견 전형적인 ‘한남’이 되고 싶은 욕망과 다름이 없어 보인다. 한국 사회에서 남성으로 살아가는 이들은 모두 이런 한남의 남성성 속성에서 벗어날 수 없다. 각각의 남성집단에서 발현되는 남성성이 그러하듯, 트랜스남성 역시 ‘한남으로서 남성성’이 지니는 수행 불가능성을 잘 이행하면서 살고 있다. 그래서 트랜스남성에게 남성성이란 언제나 획득할 수 없음으로써 얻어지는 역설적인 것으로 트랜스남성성은 ‘한남’이 됨으로써 한국 남자의 남성성을 충실히 따라갈 수도 있지만, 지금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이 그 다른 방향의 변화를 만들지도 모른다. “트랜스 남성이 되고 싶은 것은 ‘한남’인가?” 저자인 준우는 이 글에서 트랜스남성(Female to Male)의 욕망을 광범위하게 분석했다. 트랜스남성은 사회적으로 남자로 인정받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의 특별함(차이)을 지우면서 보통 남자로서 자신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트랜스남성들이 되고싶어하는 그 ‘평범한 남자’란 대체 누구인가?, 어쩌면 그 평범한 남성성의 정체를 트랜스남성의 욕망과 남성성의 수행과정을 통해 밝혀낼 수도 있지 않을까?
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이 생각하는 ‘보통 남자’의 보통은 늘 ‘보통’ 이상의 존재이다. 트랜스남성은 여자가 아니라는 것의 증명을 통해 보통 남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여자와는 달리’, ‘여자보다는’ 같은 성별위계의 성별 이분법에서 남자란 여자보다 나은, 보통 이상의 존재다. 보통을 통해 보편을 대표하는 동시에 여자보다 우월하다고 간주되는 남자의 위치가 트랜스남성의 욕망으로 드러난다.
이 글 저자인 준우는 트랜스남성의 위치가 ‘여자 아님’에 대한 증명에서 시작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트랜스남성은 ‘보통 남자’가 굳이 증명하지 않아도 되는 영역에서 ‘들킬 위험’이라는 일상적 긴장속에서 산다. 이는 남자들만의 공간(기숙사, 화장실, 사우나 등)에서 페니스를 통해 남성성을 끊임없이 확인·검증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저자는 비단 트랜스남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남자는 남자 공간에서 성기의 과시와 확인이라는 문화적 강박 속에 살아간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글 중 ‘하체의 옷맵시’와 ‘성욕’에 대해 트랜스남성들과 필자가 나눈 대화를 보면 맞춤 정장에서 트랜스남성들은 특히 사타구니 앞섶의 불룩 튀어나온 부분에 주목한다. 페니스 부재는 트랜스남성 서사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이 점은 한국 남자의 남성성에 페니스가 얼마나 큰 의미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거울처럼 비춰준다. 이 글은 심층 면접 인터뷰를 통해 당사자의 언어를 구체적으로 가시화 했다는 점에서도 방법론적 성취를 보여준다.
3. 참고문헌
권김현영,루인,엄기호,정희진,준우,한채윤 저,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2017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10.11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6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