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권리
1) 아동권리
2) UN 아동권리협약
3) UN 아동권리협약이 우리나라 아동권리보장에 미친 영향
2. 아동복지의 원칙과 사례
1) 권리와 책임의 원칙
2)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3) 개발적 기능의 원칙
4) 개별성과 종합성의 원칙
5) 전문성의 원칙
3. 아동복지 정책
1) 코로나19와 아동특별수당
2) 아동특별수당 분석
4. 아동학대
1) 보육기관 아동학대의 원인
2) 아동학대에서 아동을 보호하는 복지서비스의 특징
3) 아동학대의 예방
5. 문제행동 아동의 부모 대상 상담서비스
6. 참고문헌
1) 아동권리
2) UN 아동권리협약
3) UN 아동권리협약이 우리나라 아동권리보장에 미친 영향
2. 아동복지의 원칙과 사례
1) 권리와 책임의 원칙
2)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3) 개발적 기능의 원칙
4) 개별성과 종합성의 원칙
5) 전문성의 원칙
3. 아동복지 정책
1) 코로나19와 아동특별수당
2) 아동특별수당 분석
4. 아동학대
1) 보육기관 아동학대의 원인
2) 아동학대에서 아동을 보호하는 복지서비스의 특징
3) 아동학대의 예방
5. 문제행동 아동의 부모 대상 상담서비스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료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상담자의 능력이나 방식에 따라 상담의 진행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한 상담의 과정과 방법은 첫 번째로, 관계의 수립 즉, 라포 형성의 단계이다. 이 첫 단계는 초기상담에 대한 저항감을 낮춰주고 내담자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며 치료적 도움 관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 라포m형성은 상담의 성공이나 실패에 크게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라포 형성에 중요한 것은 신뢰, 수용, 공감적 이해이다. 먼저 신뢰는 친근감과 성실성, 공감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관심을 통해 만들어진다. 수용은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거부당하지 않으며 받아들여지는 것을 인식하고 본인 스스로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감적 이해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의 도식을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는 단계는, 내담자의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여 치료를 목표로 한 개입 계획을 세우는 단계이다. 내담자와 면담을 통해 라포 형성과 문제를 파악했다면, 상담자는 내담자의 정서 및 감정에 반응하면서 그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 내담자가 하는 말과 비언어적인 표현에 민감성을 가지고 반응해야 하는데, 이 두 가지가 일치하지 않거나 표현이 일관성이 없더라도 관련된 감정 표현에 격려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면서 문제나 욕구가 왜 발생하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에 대한 이전 경험과 해결 방식을 파악한다. 추가로 내담자의 사회경제적인 배경과 생활력·가족력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들 정보의 면밀한 검토 아래에 치료적인 개입 계획을 세워야 한다.
세 번째로 문제 개입과 대처 활동은 내담자의 문제에 개입하는 것인데 이때 적극적으로 문제에 대처하며 개입하는 것을 말한다.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나 고민을 가지고 있을 텐데 이를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내담자가 표현하기 꺼려 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서 사회적 관계를 다시 전개해가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상황과 원인에 대해 자료를 최대한 수집하여, 내담자와 함께 그러한 정보에 대해 분석하며 진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담자는 내 남자 스스로 자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검토와 피드백을 주는 역할을 한다. 즉 목표를 설정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을 찾고 개발하며,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를 극복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구체화시키고, 이러한 것들이 내담자가 원하는 방법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그렇지 않을경우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마지막으로 상담의 종결은 문제에 적응할 수 있는 대처 방법을 강화하며, 함께 겪어온 경험과 행동을 짧게 정리하면서, 다가올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을 도와주는 작업이다. 종결 후에 올 수 있는 허탈감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기 위한 과정으로, 성공적으로 사용한 방법을 강화시키면서 미래에 위기 상황이 다가오더라도 현재의 경험이 도움 될 것이라는 확신과 그러한 방법을 의논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필자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있다면 이는 아동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족 전체가 이 아동을 위해 상담과 치료를 받고 움직여야 된다고 생각한다. 만약 아동만의 문제라 하더라도 가족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부모상담 역시 그러한 접근으로 재가방문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지만, 필자는 가족 자체가 역기능적이거나 문제가 있어서 그러한 증상으로 아이의 문제행동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즉, 아동의 문제가 아동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아동이 IP로 지목된 것은 맞지만, 문제는 다른 가족 구성원이나 가족 전체, 가족의 기능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아이가 문제 있어서 상담이나 치료를 받게 하면, 결국 부모의 문제로 밝혀져서 부모도 상담과 치료를 받는 경우도 있고, 오히려 부모가 상담을 시작해서 가족 전체의 상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각은 상관관계가 있는 편이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상담과 치료에 대해서 몸서리치며 꺼려 하는 분들이 많은 편인데,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아플 때 병원 가듯이 상담 센터를 찾았으면 좋겠다. 가족 전체가 외부 전문가들의 개입과 가족 구성원들의 노력에 의해서 미래에는 행복한 가족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담과 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더욱 긍정적으로 바뀌길 바라며 글을 맺는다.
6. 참고문헌
사이트
1) \"전 세계 해외입양아동의 40%가 우리나라 아동\"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70142&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오마이뉴스, 2017.10.23
2) 정부, 미취학 아동·초등생에 20만원·중학생에 15만원 지급
https://www.yna.co.kr/view/AKR20200924043800530?input=1195m
연합뉴스, 2020.09.24
3) 나랏돈으로 채운 가계소득에 불황형 흑자…불평등은 더 커져https://news.joins.com/article/23924822
중앙일보, 2020.11.19
4) [경상시론]아동학대와 보육의 문제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0317
경상일보, 2020.11.26.
5) [그래픽뉴스] 아동학대 행위 76.9% \'부모\'
http://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79
이코리아, 2020.06.09
6) 아동학대 1년에 2번 신고되면 아동 즉시 분리보호
https://www.yna.co.kr/view/AKR20201202180100530?input=1195m
연합뉴스, 2020.12.02.
7) 건강한 부모되기 위해 공부해야 ...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61507322448090
아시아경제, 2016.06.15.
8) 인천광역시 아동복지관
https://www.incheon.go.kr/cwc
자세한 상담의 과정과 방법은 첫 번째로, 관계의 수립 즉, 라포 형성의 단계이다. 이 첫 단계는 초기상담에 대한 저항감을 낮춰주고 내담자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며 치료적 도움 관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 라포m형성은 상담의 성공이나 실패에 크게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라포 형성에 중요한 것은 신뢰, 수용, 공감적 이해이다. 먼저 신뢰는 친근감과 성실성, 공감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관심을 통해 만들어진다. 수용은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거부당하지 않으며 받아들여지는 것을 인식하고 본인 스스로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감적 이해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의 도식을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는 단계는, 내담자의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여 치료를 목표로 한 개입 계획을 세우는 단계이다. 내담자와 면담을 통해 라포 형성과 문제를 파악했다면, 상담자는 내담자의 정서 및 감정에 반응하면서 그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 내담자가 하는 말과 비언어적인 표현에 민감성을 가지고 반응해야 하는데, 이 두 가지가 일치하지 않거나 표현이 일관성이 없더라도 관련된 감정 표현에 격려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면서 문제나 욕구가 왜 발생하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에 대한 이전 경험과 해결 방식을 파악한다. 추가로 내담자의 사회경제적인 배경과 생활력·가족력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들 정보의 면밀한 검토 아래에 치료적인 개입 계획을 세워야 한다.
세 번째로 문제 개입과 대처 활동은 내담자의 문제에 개입하는 것인데 이때 적극적으로 문제에 대처하며 개입하는 것을 말한다.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나 고민을 가지고 있을 텐데 이를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내담자가 표현하기 꺼려 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서 사회적 관계를 다시 전개해가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상황과 원인에 대해 자료를 최대한 수집하여, 내담자와 함께 그러한 정보에 대해 분석하며 진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담자는 내 남자 스스로 자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검토와 피드백을 주는 역할을 한다. 즉 목표를 설정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을 찾고 개발하며,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를 극복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구체화시키고, 이러한 것들이 내담자가 원하는 방법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그렇지 않을경우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마지막으로 상담의 종결은 문제에 적응할 수 있는 대처 방법을 강화하며, 함께 겪어온 경험과 행동을 짧게 정리하면서, 다가올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을 도와주는 작업이다. 종결 후에 올 수 있는 허탈감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기 위한 과정으로, 성공적으로 사용한 방법을 강화시키면서 미래에 위기 상황이 다가오더라도 현재의 경험이 도움 될 것이라는 확신과 그러한 방법을 의논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필자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있다면 이는 아동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족 전체가 이 아동을 위해 상담과 치료를 받고 움직여야 된다고 생각한다. 만약 아동만의 문제라 하더라도 가족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부모상담 역시 그러한 접근으로 재가방문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지만, 필자는 가족 자체가 역기능적이거나 문제가 있어서 그러한 증상으로 아이의 문제행동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즉, 아동의 문제가 아동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아동이 IP로 지목된 것은 맞지만, 문제는 다른 가족 구성원이나 가족 전체, 가족의 기능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아이가 문제 있어서 상담이나 치료를 받게 하면, 결국 부모의 문제로 밝혀져서 부모도 상담과 치료를 받는 경우도 있고, 오히려 부모가 상담을 시작해서 가족 전체의 상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각은 상관관계가 있는 편이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상담과 치료에 대해서 몸서리치며 꺼려 하는 분들이 많은 편인데,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아플 때 병원 가듯이 상담 센터를 찾았으면 좋겠다. 가족 전체가 외부 전문가들의 개입과 가족 구성원들의 노력에 의해서 미래에는 행복한 가족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담과 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더욱 긍정적으로 바뀌길 바라며 글을 맺는다.
6. 참고문헌
사이트
1) \"전 세계 해외입양아동의 40%가 우리나라 아동\"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70142&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오마이뉴스, 2017.10.23
2) 정부, 미취학 아동·초등생에 20만원·중학생에 15만원 지급
https://www.yna.co.kr/view/AKR20200924043800530?input=1195m
연합뉴스, 2020.09.24
3) 나랏돈으로 채운 가계소득에 불황형 흑자…불평등은 더 커져https://news.joins.com/article/23924822
중앙일보, 2020.11.19
4) [경상시론]아동학대와 보육의 문제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0317
경상일보, 2020.11.26.
5) [그래픽뉴스] 아동학대 행위 76.9% \'부모\'
http://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79
이코리아, 2020.06.09
6) 아동학대 1년에 2번 신고되면 아동 즉시 분리보호
https://www.yna.co.kr/view/AKR20201202180100530?input=1195m
연합뉴스, 2020.12.02.
7) 건강한 부모되기 위해 공부해야 ...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61507322448090
아시아경제, 2016.06.15.
8) 인천광역시 아동복지관
https://www.incheon.go.kr/cwc
키워드
추천자료
유엔아동권리협약(국제연합아동권리협약, UN아동권리협약)의 종류, 유엔아동권리협약(국제연...
[아동복지론]시설보호의 의미와 목적 및 시설보호의 기본원리와 발달과정
[아동복지 공통] UN의 아동권리협약의 개념을 기술하고, 이 협약이 세계 아동권리 향상에 미...
[아동복지 공통] 2.아동권리 이념의 발달과정을 기술하고, UN의 아동권리협약이 우리나라 아...
아동복지 공통) UN의 아동권리협약의 개념을 기술하고, 이 협약이 세계 아동권리 향상에 미친...
2018년 2학기 아동복지 출석수업대체과제물
2020년 2학기 아동복지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주관식 문제)
아동복지 ) 아동복지의 원칙 5가지를 설명하고, 각 원칙이 적용된 사례를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