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Bandura(1977, 1986)의 자기효능감 4가지 원천
1) 수행경험, 성공경험, 숙달경험
2) 대리경험, 모델링
3) 언어적 설득
4) 생리적, 정서적 상태
2. 생활체육 지도 시 참여자의 자기효능감 향상 전략
1) 수행경험, 성공경험, 숙달경험
2) 생리적, 정서적 상태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Bandura(1977, 1986)의 자기효능감 4가지 원천
1) 수행경험, 성공경험, 숙달경험
2) 대리경험, 모델링
3) 언어적 설득
4) 생리적, 정서적 상태
2. 생활체육 지도 시 참여자의 자기효능감 향상 전략
1) 수행경험, 성공경험, 숙달경험
2) 생리적, 정서적 상태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츠에 참가하여 활동을 지속하던 개인이 여러 요인에 의하여 스포츠를 중단하거나 탈락 및 은퇴하는 경우를 말한다. 스포츠로의 재사회화는 스포츠로부터 탈사회화한 후 다시 스포츠로 사회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사람이 스포츠에 참여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 그 중에서 스포츠로의 사회화는 특정 개인이 수많은 자극 가운데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회화 주관자나 준거 집단의 영향을 수용하여 스포츠에 참가하게 되는 과정이다. 특히 교사와 친구는 학생과 빈번하게 상호작용 하기 때문에 스포츠 사회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화 주관자 중 하나이다. 그렇게 때문에 교사는 학생이 스포츠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많은 스포츠 친화적인 학교 및 수업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스포츠를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에게 스포츠가 삶의 일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Bandura(1977, 1986)의 자기효능감 4가지 원천에 대해 서술하고, 생활체육 지도 시 참여자의 자기효능감 향상 전략을 4가지 원천 중 1가지를 통해 기술해 보았다. 이상과 같이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및 정서적 상태의 요인들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쳐서 인간의 행동 변화를 유발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그 자체가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바로 변환되어 인간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인지적으로 조직화되고 재구성되는 방식 등에 의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이라는 변인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자기효능감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인지적 매개 과정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원천에서 온 효능감 정보들은 인지과정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도 하지만, 서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즉, 특별한 요인이 효능감 정보의 다른 유용한 근원에 의존해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효능감 정보에 가중치를 두고 통합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자기효능감 판단의 근거가 되는 자원들은 성공경험이든 대리경험이든 또는 언어적 설득과 정서적 상태이든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자원들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처리가 중요한 것이다.
참고문헌
김아영 (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연구.
신명희 외(2018). 교육심리학(4판). 서울: 학지사.
김영재(2001). 여가운동 지속행동모델의 이론적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김관훈(2015).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들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학교행복감 간의 인과적 관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예원, 김경숙(2012). 체육교과태도가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송기현, 허진영, 최헌혁(2013).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기대-가치와 문제해결행동의 관계에서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신선혜 (2016). 자기효능감 근원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이처럼 사람이 스포츠에 참여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 그 중에서 스포츠로의 사회화는 특정 개인이 수많은 자극 가운데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회화 주관자나 준거 집단의 영향을 수용하여 스포츠에 참가하게 되는 과정이다. 특히 교사와 친구는 학생과 빈번하게 상호작용 하기 때문에 스포츠 사회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화 주관자 중 하나이다. 그렇게 때문에 교사는 학생이 스포츠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많은 스포츠 친화적인 학교 및 수업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스포츠를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에게 스포츠가 삶의 일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Bandura(1977, 1986)의 자기효능감 4가지 원천에 대해 서술하고, 생활체육 지도 시 참여자의 자기효능감 향상 전략을 4가지 원천 중 1가지를 통해 기술해 보았다. 이상과 같이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및 정서적 상태의 요인들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쳐서 인간의 행동 변화를 유발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그 자체가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바로 변환되어 인간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인지적으로 조직화되고 재구성되는 방식 등에 의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이라는 변인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자기효능감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인지적 매개 과정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원천에서 온 효능감 정보들은 인지과정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도 하지만, 서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즉, 특별한 요인이 효능감 정보의 다른 유용한 근원에 의존해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효능감 정보에 가중치를 두고 통합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자기효능감 판단의 근거가 되는 자원들은 성공경험이든 대리경험이든 또는 언어적 설득과 정서적 상태이든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자원들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처리가 중요한 것이다.
참고문헌
김아영 (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연구.
신명희 외(2018). 교육심리학(4판). 서울: 학지사.
김영재(2001). 여가운동 지속행동모델의 이론적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김관훈(2015).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들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학교행복감 간의 인과적 관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예원, 김경숙(2012). 체육교과태도가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송기현, 허진영, 최헌혁(2013).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기대-가치와 문제해결행동의 관계에서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신선혜 (2016). 자기효능감 근원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추천자료
[진로태도][진로발달이론][진로태도성숙][진로태도와 자기효능감][진로태도와 독서치료]진로...
자아존중감(自我尊重感)과 자기효능감(自己效能感)의 정의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
인간특성 - 지능, 창의력, 동기, 성취동기, 자아개념, 자아효능감의 개념과 요인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태권도지도자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 스타일에 따른 선수 경기력
[스포츠심리학 2022년 출석] Bandura(반두라)의 자기효능감 4가지 원천에 대해 서술하고, 생...
2022년 2학기 스포츠심리학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참여자의 자기효능감 향상 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