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합교육 성공을 위한 조건들에 대해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부모들이 많은 것이다. 이제 통합교육도 지역수준, 학교수준, 학급수준, 장애학생 수준별로 그 교육과정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과정이 더욱 세분화될 때, 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은 물론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한국교육계에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여섯째. 통합교육이 장애학생, 비장애학생 그리고 교사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통합교육을 진행하는 것은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라 할 것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 통합교육은 교사가 아닌 장애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발달적 특성, 장애의 특성, 교육적 욕구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교사도 사람이고 자신만의 욕구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통합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교사의 욕구를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통합교육이 장애학생, 비장애학생 그리고 교사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그런 다원적인 통합교육으로 발전될 수 있다면,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한국사회에 안착할 것이라 생각한다.
2. 참고자료
현장 사례 중심 장애아 통합 교육 이진숙 저자(글) | 이희란 저자(글) | 이효정 저자(글) 어가 2020년 10월 30일 출간
여섯째. 통합교육이 장애학생, 비장애학생 그리고 교사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통합교육을 진행하는 것은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라 할 것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 통합교육은 교사가 아닌 장애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발달적 특성, 장애의 특성, 교육적 욕구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교사도 사람이고 자신만의 욕구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통합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교사의 욕구를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통합교육이 장애학생, 비장애학생 그리고 교사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그런 다원적인 통합교육으로 발전될 수 있다면,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한국사회에 안착할 것이라 생각한다.
2. 참고자료
현장 사례 중심 장애아 통합 교육 이진숙 저자(글) | 이희란 저자(글) | 이효정 저자(글) 어가 2020년 10월 30일 출간
소개글